[이재정 칼럼] '기록 : 화산도,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예의'전에 부쳐 작성일 06-25 3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11명의 예술가들이 함께하는 그룹전, ‘제주 생태보호’ 전국구 블록 눈길<br>6월 28일부터 7월 4일까지 인사동 아지트 미술관 지하 3층 티음홀 열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qJAca2XF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e995f6e80d09c34dfc93e7b73a5d9695833e11899d38a0efb885ce0700f6812" data-idxno="276424" data-type="photo" dmcf-pid="BcY301rR3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인사동에서 열리는 '기록 : 화산도,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예의' 전시 포스터.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2993ihhz.jpg" data-org-width="600" dmcf-mid="Hd9u70Ii3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2993ihh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인사동에서 열리는 '기록 : 화산도,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예의' 전시 포스터.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d119aac93faefb396d15ac4ea20a8e570f3272a7283c6641c02708af7fa8944" dmcf-pid="KEHpUFsd7L" dmcf-ptype="general">한국 관광지의 대표 공간이었던 화산섬 제주가 흔들리고 있다. 고물가 대비 가성비라는 이유로 가까운 일본에 밀리고 청정을 내건 강원도, 무비자 확대에 따른 서울-부산-대구 등에도 밀린 까닭이다.</p> <p contents-hash="0e9a0c588afe176d1b142b0f2764aeba299fcaca7e3b6fa3ecb387e8e18be5fd" dmcf-pid="9DXUu3OJun" dmcf-ptype="general">엄밀히 말해 국책 사업에 따른 난개발에 의한 생태 파괴로 섬의 정체성을 잃어가는 까닭이 더 클 것이다. </p> <p contents-hash="fd66ecda722ea3defddce3f15c0d8583dcebdd0d5d42f0da21147c4d6b84d879" dmcf-pid="2wZu70Ii3i" dmcf-ptype="general">섬 고유의 신성성이 소멸되어 가는 중에 아주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전국의 팔도 각지 많은 아티스트들이 함께하는 간절함이 모였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8e681cfa0b0d5bab53315bd544398c831d3286eda2b0caf9d12e5546965f83a" data-idxno="276429" data-type="photo" dmcf-pid="fm1zqUhLz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6월 28일부터 7월 4일까지 서울 인사동 문화예술 중심지 아지트 미술관 지하 3층 티음홀에서 전시된다. 사진=이재정"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7021glyv.jpg" data-org-width="600" dmcf-mid="U2oDwc8tU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7021gly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6월 28일부터 7월 4일까지 서울 인사동 문화예술 중심지 아지트 미술관 지하 3층 티음홀에서 전시된다. 사진=이재정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ec000ab597eca74d208bb973552d0e81c3dfd82434b32304b72db411443be32" dmcf-pid="8C0K9qTNUR" dmcf-ptype="general">"사람뿐 아니라 자연과의 관계에도 저마다 갖고 있는 패턴이란 게 존재한다. 좋은 생태을 만나고 싶으면 아끼고 보존하는 사랑의 형태가 있어야 한다."</p> <p contents-hash="da00422983df6b9073df38a7dd744aa261d1aa12e2044603768317b6034dd747" dmcf-pid="6hp92Byj0M" dmcf-ptype="general">시인의 짧은 문장(?)에도 어떤, 또 묘한 울림이 있어야 하듯 전시에도 관계와 패턴이 존재한다. 열릴 전시 '기록 : 화산도,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예의'도 어떤 관계와 패턴이 존재한다.</p> <p contents-hash="542e9d49b22cb3859a7166e754eed0eae5093944b1a1e1157ed8d23d1d610dbf" dmcf-pid="PlU2VbWA0x" dmcf-ptype="general">우선 공동 작가 시스템이다. 6월 28일부터 7월 4일까지 서울 인사동 문화예술 중심지 아지트 미술관 지하 3층 티음홀에서 진행되는 이 전시에도 공동 작가 시스템을 도입했다</p> <p contents-hash="0aca28b4c25f1600553012d7cd3e6d8bf0f4aeb95610c3da5df2646b2da99484" dmcf-pid="QSuVfKYcFQ" dmcf-ptype="general">화선섬 제주 생태 파괴를 기록해 생태보호에 관심과 동참을 격려하는 전시다. 미쓰김-재아-조규창 작가 등 다수의 팔도 예술가들이 함께하는 공동 작가전이라는 의미에서 단순한 그룹전을 넘어 근대기 엑스포를 통해 유럽의 존재감을 드러낸 전람회를 차용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c7421ad897481ff933c38c25defd8b6b767880012b80a0c6944981ba4941150" data-idxno="276441" data-type="photo" dmcf-pid="yPkChse7F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8309unhp.jpg" data-org-width="600" dmcf-mid="uMZu70IiF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8309unhp.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e75ef6b06e9340fc5fa03540ec7fbdbed76d6d9e489d17fbdd4a1f6f3c3bc0b4" dmcf-pid="YxDlSIJq34" dmcf-ptype="general">북금곰과 소녀를 소재로 기후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상징적으로 담아낸 재아 작가의 컴포지션이 특별하다. 조규창, 정문희, 재아 작가 등 수도권 작가들의 그림은 물론 대구 미쓰킴 또 김미옥, 백금아, 부윤의, 신해정, 안정래, 이재정, 조선희 등 제주 시너지 사진 그룹의 조형적 사진을 함께 만날 수 있다. </p> <p contents-hash="ee3450b95de3e68e2c8d84de0740efc57aff49c65a0c716f01300c57ef90f8b6" dmcf-pid="GMwSvCiB0f" dmcf-ptype="general">이번 전시회는 생태 보호의 전국구 블록을 구성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시너지(Cnergy)라 불리는 생태 보호의 전국구 블록 시스템은 제주를 거점으로 이번 서울 전시는 물론 향후 또 다른 지역 전시 활동과 다양한 장르 예술가 참여로 연계될 계획이다. <br> <br> 화산섬 제주에서 사라져가는 존재들을 기록한다는 건 '앓음'이다. 사라져가는 존재에 불과한 인간이 남겨질 제주 생태와 더 나아가서 지구 생태 앓음에 공감한다는 건 스스로 아프겠다는 의지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5c56a725d48e3887f1168d8ad65b5c80fa0a486a2efba171dd6918ebb3e17bc" data-idxno="276426" data-type="photo" dmcf-pid="XDXUu3OJu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사동 아지트미술관.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5573moqw.jpg" data-org-width="600" dmcf-mid="pbSmsDQ07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5573moq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사동 아지트미술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b8e92c82fec2d5a07c7770bd9911c6f2be2e5bfe253d7f45f2874b8aa29b42a" dmcf-pid="5r57zpCnuK" dmcf-ptype="general">관람자들은 전시 관람을 통해 앓음의 행렬에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질문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관광의 이면에서 마주하는 화산섬 생태에 대한 앓음에 더 이상 방관하지 말아달라는 주문이다. </p> <p contents-hash="120c715d8d8ab83aee89a7960ed2e2b2aeecfc0497420f9b7c854d7c44660360" dmcf-pid="1m1zqUhLzb" dmcf-ptype="general">위기를 너머 위험 단계 문턱에 이른 지구인들의 무례에 대한 질책에 화산섬도 예외일 수 없는 타이밍 덕분에 준비 과정 역시 순탄치 않았다. 수년간 화산섬 생태 현장 기록자들과 그 활동에 동조하는 팔도 작가들의 동참이 순조로울 리 없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305ddaa1921043cd0af9464c23b2463b5419beefdf8fa0f4e2129ecfa9ae058" data-idxno="276442" data-type="photo" dmcf-pid="FOFBb7Sgz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9677lcol.jpg" data-org-width="600" dmcf-mid="74tqBulo7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9677lcol.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0fa8f4a7cc65b08e4018c6cce7649e536a536b9c449cd901c19780f5e64bd8b" dmcf-pid="0C0K9qTNU7" dmcf-ptype="general">특히 지역 문화예술재단이나 행정의 예산 지원 없이 생태 보호라는 공익적 활동을 통한 전시의 어려움이 새삼스러울 리 없지만 이번 전시는 양한모 서울아지트 미술관장의 의지와 채수호 시인의 역할이 절실했다. </p> <p contents-hash="7589045e8d5f04a1666c753de9d1821937628a033018dbdbeda4355c2119ba93" dmcf-pid="pX2MRPFO7u" dmcf-ptype="general">글로벌 레지던시 전문 그룹 스페이스 D9, 지역 문화 스페이스들인 창동 갤러리, 대전의 갤러리 탄, 제주그래피 등 동조한 지역 예술 그룹들의 도움 역시 무시할 수 없다. </p> <p contents-hash="90508ff418ad040aaf62adc0b5cdc0c3be211c5455d8beaa3cdf50ed6b954916" dmcf-pid="UZVReQ3I0U" dmcf-ptype="general">개관 일주년을 눈앞에 두고 큰 전시장으로 자리매김, 보통 작가들은 엄두가 쉽지 않은 전시 공간의 방대함이 전시의 가치를 더했다. 제주 설문대 할망의 너른 품처럼 이번 전시가 넉넉해 보였으면 좋겠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6e46714c4a6efdd63ec1e473a1cbd9809510a9a43b2cdb5428ee6c8ae7df5c0" data-idxno="276425" data-type="photo" dmcf-pid="714dJMph7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재정 전시 칼럼니스트. 사진=이재정"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4295vswm.jpg" data-org-width="600" dmcf-mid="0vmAca2X0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HankyungGametoc/20250625131814295vsw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재정 전시 칼럼니스트. 사진=이재정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dbae1f363ce28db6862c1915b742dffcb4f7e5e88d4d62e32f10dbf624fb6e3" dmcf-pid="qF6ineuSpF" dmcf-ptype="general"><strong><span>■ 이재정은?</span></strong></p> <p contents-hash="8f434dd35de62a15793be5a47f188aa83d461ee06376830750daf7c9464a6b7f" dmcf-pid="B3PnLd7v3t" dmcf-ptype="general"><span>이재정 작가는 제주사름들전(2016), 박근혜 하야전(2017), 대구사진비엔날레(프린지),수원국제사진축제, 제주신화 한일전(2018), 화산섬국제사진제, 대한민국국제포토페스티벌, 이중초상화연작전(2019),사라진정원전, 마을극장DMZ레지던시전(2020), 슬기로운살림살이전(2021), 새.펜데믹을두려워하지않는다전(2022), 화산도전(2023), 칠실파려안전(2024), 천 개의 카메라(2025) 등 시각예술을 매개로 한 다수의 전시와 두 개의 매체 칼럼, 최근 시집 발표를 통해 다양한 기억 에디톨로지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span></p> <p contents-hash="0a8bcb1e93b53eab5da55861d33f2afdc417f469b8ac467cf6626eb494b92a75" dmcf-pid="b0QLoJzTu1" dmcf-ptype="general"> pnet21@gametoc.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프라다 입은 이도현, 전역과 동시에 '핫한' 행보 06-25 다음 오버워치2 한일전 출사표 던진 '러너'와 '류제홍'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