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혁신도전형 R&D사업군 추가 지정…선도형 체제 전환 본격화 작성일 06-25 3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과기정통부, 제3차 혁신도전 특위 개최<br>APRO 추진 경과 보고 및 지정(안) 심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zZ049Gky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524c8ca89e044ca76685df217aaf8848023e505fe591cdb0ef0c96a36673c11" dmcf-pid="0q5p82HES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사업의 향후 전략, 3R Strategy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dailian/20250625140225860zirj.png" data-org-width="522" dmcf-mid="FRiNhse7v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dailian/20250625140225860zirj.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사업의 향후 전략, 3R Strategy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dddc253d13da8b9fa94d28966bc5250d5f8e996a42b787d5faaf74be4e30aa6" dmcf-pid="pB1U6VXDT9" dmcf-ptype="general">정부가 선도형 연구개발(R&D) 체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2025년도 ‘혁신도전형 R&D사업군(APRO)’ 추가 지정 방안을 심의하고, 연구현장의 자율과 도전을 뒷받침할 제도 개선과 추진계획을 본격화했다.</p> <p contents-hash="e307d2a0c73da3bf2bbfd998e7b4c4ec1d04d69e212449910109faa85724d1eb" dmcf-pid="UbtuPfZwSK"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의 주재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혁신도전 추진 특별위원회’ 제3회 회의를 개최했다.</p> <p contents-hash="475737ed4f0ad2bb4adba1cb88af71915ae6aec32e5519275ff08eda23bce37b" dmcf-pid="uKF7Q45rvb" dmcf-ptype="general">혁신도전 특위는 우리나라 연구개발 생태계를 선도형 R&D 체제로 전환하는데 기여하고자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혁신적·도전적 연구개발 경험이 풍부한 산·학·연 전문가와의 긴밀한 소통을 기반으로 혁신도전형 R&D 육성정책 전반을 심의·조정하는 민·관 합동 기구다.</p> <p contents-hash="94bd2a197c50bbd411a88b1f9a67bc0806f5cddb5a18a87d937efc5d8ce231e6" dmcf-pid="793zx81mhB" dmcf-ptype="general">지난해 11월 개최(서면)된 제2차 혁신도전 특위에서는 혁신적·도전적 R&D의 파급력 제고를 위해 고성능 연구장비를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특례를 부여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p> <p contents-hash="95a3cba704817d61c65d72ad14a1b917463a5497ef7f249baff025843f3c8bc3" dmcf-pid="z20qM6tsTq" dmcf-ptype="general">이날 제3차 회의에서는 혁신적·도전적 R&D 육성시스템 체계화방안 수립 이후 그간의 주요 과제별 이행 현황과 향후 계획을 보고하는 ▲혁신도전형 R&D 앞으로(APRO) 추진 경과 보고(안) 및 혁신도전형 R&D사업군 추가 지정을 위한 ▲2025년도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R&D사업군 추가 지정(안) 등 총 2건의 안건을 상정해 보고 및 심의했다.</p> <p contents-hash="83d21a8698085f2c49be79ad355144d4075ced04708efe4d2729c7f33e569615" dmcf-pid="qVpBRPFOvz"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지난해 3월 우리나라 연구개발 생태계를 선도형 R&D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자 체계화방안을 수립한 이후, 정부–연구관리기관–IPL-연구자 간 혁신도전형 국가R&D사업 협의체 등 다양한 방식의 협의체를 통해 사업 운영의 애로사항을 상시로 발굴하고 현장 중심 해결방안을 마련해왔다.</p> <p contents-hash="469bcd967fddbf7d491b841a05f832405b842f1ff43861700857427c302d2899" dmcf-pid="BfUbeQ3IW7" dmcf-ptype="general">사업 관리·운영 체계 중심으로 혁신도전형 R&D사업군 유형 체계를 개편하고 자체평가 면제, 기획평가관리비 별도 편성, 연구장비 도입 시 수의계약 허용과 같은 특례를 마련하는 등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추진했다. 또 혁신도전형 R&D 정책과 사업을 소개하는 대한민국 혁신도전 연구공개전(APRO OPEN LAB)을 개최하고 2024년도 지정 사업의 이행 현황을 점검해 혁신도전형 R&D의 내실있는 운영을 지원해왔다.</p> <p contents-hash="cb623bab0ea2a90f615ad03d927dc98e71edc9ca43b49028c3d99d8feb8955aa" dmcf-pid="KPqVneuSTU" dmcf-ptype="general">향후 계획으로는 혁신도전형 R&D사업군에 대한 지속적인 추진현황 점검과 함께 IPL 권한 위탁 및 책임 부여를 위한 법령 개정, 우수 IPL 확보를 위한 역량진단 모델 마련 및 역량강화 교육과정 운영, 연구지원 서비스 산업 확대를 위한 전문지원조직 구성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p> <p contents-hash="12fafcd175b87ad311cccefbbdd56003c14d48fd3077b1bd5ce134fc9f7838e5" dmcf-pid="9QBfLd7vTp" dmcf-ptype="general">지난 2월 공고한 혁신도전형 연구개발사업군 32개 사업 목록에 후속해, 올해 추가로 지정하고자 하는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R&D사업군 사업 후보들에 대해 심의했다.</p> <p contents-hash="23da4d6c31226a1b984d2b9e7afe5b6fe1d9d1eb96c6a25bcda7281b1d2b2273" dmcf-pid="2xb4oJzTl0"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동 지정(안) 마련에 앞서 지난 4월부터 주요 R&D를 수행하는 정부부처를 대상으로 후보사업을 발굴해, 혁신도전성의 대표 요소로서 A(Aim-high, 도전성)-P(Problem-solving, 기대효과)-R(Revolutionary, 혁신성)- O(Over&over, 파급효과)와 함께 유형별 적절한 추진체계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했다.</p> <p contents-hash="05a5c9a3ca2c3c72cf3be723ba00e739f3f423aa692898640da7725b5299deec" dmcf-pid="VMK8giqyS3" dmcf-ptype="general">이번 2025년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R&D사업군 추가 지정(안) 검토 결과는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81c7e5142afb883b54cdc675f08cda848eb8203145fc9dd7d3fcf1effc15632a" dmcf-pid="4e2PNLbYWt" dmcf-ptype="general">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나날이 심화돼 가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세계 최고, 최초를 지향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과 혁신의 문화가 절실하다”며“선도형 R&D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통해 연구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데스크가 만났습니다]사공명 원장 “R&D는 성과로 인정받아...파트너 협력으로 실용화 힘쓸 것” 06-25 다음 스포츠토토, 7월 시효 만료 앞둔 미수령 환급액 12억원… 프로토 승부식 가장 많아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