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제임스웹, 110광년 밖 원시행성원반서 준목성급 외계행성 포착 작성일 06-26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佛 연구팀 "JWST가 발견한 첫 외계행성…초기 행성 형성과정에 대한 새 단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JR2h1rRuI"> <p contents-hash="c974681b880dfb2145c799d95e922235631455c9e7766facf7b7d84ff0a9f3de" dmcf-pid="0ieVltmeFO"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111광년 떨어져 있는 태양 절반 크기의 어린별(TWA 7) 주위 원시행성원반(protoplanetary disk) 속에서 준목성급(sub-Jupiter) 가스형 외계행성을 직접 발견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3536dea27da3a18a05038ea33cc461d211d651a12ea948d19d318126d835182" dmcf-pid="pndfSFsd0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첫 외계행성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발견한 첫 외계행성 'TWA 7B'(CC #1)와 주변. 사진은 유럽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으로 촬영한 111광년 밖의 어린별 'TWA 7'과 주변 원시행성원반을 합친 것. 원시행성원반에는 먼지·가스 등으로 이뤄진 고리 3개(R 1·2·3)가 있고, 이중 R2 고리에 목성 질량 30% 크기의 외계행성 'TWA 7B'(CC #1)가 있다. [A.-M. Lagrange and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6/yonhap/20250626050132645wjzh.jpg" data-org-width="499" dmcf-mid="tAeVltmeu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6/yonhap/20250626050132645wjz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첫 외계행성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발견한 첫 외계행성 'TWA 7B'(CC #1)와 주변. 사진은 유럽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으로 촬영한 111광년 밖의 어린별 'TWA 7'과 주변 원시행성원반을 합친 것. 원시행성원반에는 먼지·가스 등으로 이뤄진 고리 3개(R 1·2·3)가 있고, 이중 R2 고리에 목성 질량 30% 크기의 외계행성 'TWA 7B'(CC #1)가 있다. [A.-M. Lagrange and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52c8f301186e467a705d773d7c5be88deca72b6f56c7cad2caec8094b8414c3" dmcf-pid="ULJ4v3OJ7m" dmcf-ptype="general">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파리천문대 안-마리 라그랑주 박사팀은 26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JWST에 탑재된 중적외선 관측장치(MIRI)와 코로나그래프를 이용해 TWA 7 주위 원시행성원반 속에서 목성 질량 0.3배 크기의 외계행성(TWA 7B)을 포착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cfa267ee4d5a5562ef7a818390af7a208a6b196a645d176ba9468f999d62ab4" dmcf-pid="uoi8T0Ii7r"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TWA 7B는 JWST가 발견한 첫 외계행성으로 지금까지 직접 영상으로 관측된 외계행성 중 질량이 가장 작다며 이 발견이 원시행성원반에서 초기 행성이 형성될 때 역학적 과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a190cd3861fbad50b3c481c2c7b00994bc2a4818c012307f8923fcf6ba5e2ab" dmcf-pid="7gn6ypCnzw" dmcf-ptype="general">행성은 새로 형성된 별 주위에서 발견되는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원시행성원반에서 물질들이 뭉쳐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시행성원반은 목성 고리처럼 물질이 흩어져 있는 고리와 그 사이에 틈(gap) 구조로 돼 있다.</p> <p contents-hash="5b6fb4955633645e4df29a5d4d3e18d2182690234f9548c3be423a84cb4be35b" dmcf-pid="zaLPWUhL0D"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런 고리와 틈 구조는 주변 물질을 밀어내거나 정렬시키는 중력을 가졌지만 보이지 않는 소위 '양치기 행성'(shepherd planet)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런 행성을 직접 관측하기는 어려웠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f20b7e71a6c7361183121bd1fd2731d347230e8e80529d2a0f6ec1a1a30dbe6d" dmcf-pid="qNoQYuloFE" dmcf-ptype="general">이들은 이 연구에서 TWA 7 주위에 있는 세 개의 고리를 가진 원시행성원반에서 행성을 찾기 위해 현재 가장 뛰어난 관측 성능을 지닌 JWST를 사용했다.</p> <p contents-hash="0ee458e5e076adc0156e681ef99d6d3dce822feaad6fecad6a24f8f00551f72a" dmcf-pid="BjgxG7Sg3k" dmcf-ptype="general">TWA 7은 지구에서 111광년 떨어진 아주 젊은 별 집단인 'TW 히드라 성협'에 있는 별로, 질량은 태양의 46% 수준이며 나이는 약 640만년으로 추정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05c791b07f7af7311a7025950d46adc5a316e67ce339a59dfa0386cc71f7cd1" dmcf-pid="bf90cSo97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TWA 7 별과 주변 원시행성원반 사진(a)과 원반 시뮬레이션 모습 원반 시뮬레이션(b)에는 목성 질량의 34% 수준인 원시 외계행성 'TWA 7B'(빨간 점)가 나이가 640만년밖에 안 된 별 'TWA 7'을 52천문단위(AU : 1AU=지구-태양 평균 거리=1억5천만㎞) 떨어진 궤도에서 공전하고, 주변 물질이 이 행성의 영향을 받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Nature / Anne-Marie Lagrange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6/yonhap/20250626050132825qizc.jpg" data-org-width="1200" dmcf-mid="FSBtNCiBU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6/yonhap/20250626050132825qiz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TWA 7 별과 주변 원시행성원반 사진(a)과 원반 시뮬레이션 모습 원반 시뮬레이션(b)에는 목성 질량의 34% 수준인 원시 외계행성 'TWA 7B'(빨간 점)가 나이가 640만년밖에 안 된 별 'TWA 7'을 52천문단위(AU : 1AU=지구-태양 평균 거리=1억5천만㎞) 떨어진 궤도에서 공전하고, 주변 물질이 이 행성의 영향을 받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Nature / Anne-Marie Lagrange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0154ee7771f561d168cbb18843ee81960c3b8fa65656598a57b40f832ff0baf" dmcf-pid="K42pkvg2pA"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JWST에 탑재된 중적외선 관측장비(MIRI)에 별의 빛을 가려 주변 천체들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코로나그래프를 장착해 관측하는 방법으로 원시행성원반 고리 속에 있는 TWA 7B를 발견했다.</p> <p contents-hash="7a325f1e170d0377781b161921cd9766a5bbfe1fd520a49c4095b84251094562" dmcf-pid="98VUETaV7j" dmcf-ptype="general">원시행성원반 속에 새로 형성된 행성들은 아직 뜨거워서 오래된 행성들보다 더 밝게 보이고, 질량이 작은 행성은 원칙적으로 중적외선 영역에서 더 쉽게 탐지되기 때문에 JWST는 이 영역에서 독보적인 관측 성능을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534a5965ffbbc6ea034e050c1325419289578dd8154f145d119a20fb34d1152" dmcf-pid="26fuDyNfUN" dmcf-ptype="general">TWA 7B는 목성보다는 작고 해왕성보다는 큰 준목성급 행성으로 질량은 목성의 0.3배로 추정되며, TWA 7을 52천문단위(AU : 1AU=지구-태양 평균 거리=1억5천만㎞) 떨어진 궤도에서 공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2e085e8fab29b4fddfda65e3b0b0a4e01b9a846180ba257c1646ca7383bc1183" dmcf-pid="VP47wWj4Ua" dmcf-ptype="general">TWA 7B의 질량과 궤도 특성은 이 행성이 원시행성원반의 첫 번째 고리와 두 번째 고리 사이에서 형성될 경우 때 갖게 되는 특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61f1e58c4b0348b09cafdbdc8ced4e250032ad2178148fa7446c52630e6ae472" dmcf-pid="fQ8zrYA8ug"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TWA 7B는 질량이 목성의 30% 수준으로 지금까지 영상으로 포착된 외계행성 중 가장 작다며 이는 더 작은 외계행성을 영상화하는 연구의 새로운 진전이며 지구에 더 가까운 외계행성을 찾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갔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5cb7d37799c966321559ecf8d5e1372e5b79206663149c5d4ba910d8d3a9357" dmcf-pid="4x6qmGc63o" dmcf-ptype="general">◆ 출처 : Nature, Anne-Marie Lagrange et al., 'Evidence for a sub-Jovian planet in the young TWA 7 disk',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9150-4</p> <p contents-hash="2373bb847f3c65714188e8723b723c002762e0bf8102a5d4bc401efd72f658c1" dmcf-pid="8MPBsHkP7L" dmcf-ptype="general">scitech@yna.co.kr</p> <p contents-hash="74d20b6ef364bfa3c0d8537d95e5cf2dc7bc0ae924ac8d96541841605afba691" dmcf-pid="PexKIZDxFi"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홍석천, "김대호, '게통령' 지진희 닮아 좋아했는데… 궁핍함 보고 언팔" ('라스') [핫피플] 06-26 다음 아빠와 사이 좋은 아이, 수명 훨씬 더 길어진다 06-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