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성장동력 정책 재정립 시급…“R&D 중심 접근 한계” 작성일 06-26 3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세계 각국 산업보호 정책 속 韓, 성장전략 흔들<br>중복 지정된 전략기술 체계 정비·통합관리 필요<br>STEPI, 위상·비전·내용·체계 등 5대 과제 제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wxdmLbYW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326404935e705b0be2492cf02f47f5f897983ff33f4dc9909ad3ae739b36b12" dmcf-pid="WrMJsoKGC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챗GP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6/dailian/20250626085235896igwe.png" data-org-width="700" dmcf-mid="x5uBJ2HEy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6/dailian/20250626085235896igwe.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챗GP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8aadfc71f71ce51d37ab305795d2616b92e8ba81af219b60614b046ea0b8617" dmcf-pid="YmRiOg9Hy8" dmcf-ptype="general">국가 성장전략의 근간이 되는 성장동력 정책을 전면 재정립해야 한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 국내외 산업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기존 R&D 중심의 분절적 접근으로는 한계가 명확해졌다는 판단이다.</p> <p contents-hash="444fecfcf1f718502faa8dafefddb0dc4c5801e2f88b50adeaef161c491dfe36" dmcf-pid="GsenIa2Xy4"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최근 발간한 STEPI 인사이트 제346호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성장동력 정책이 대내외 산업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p> <p contents-hash="b5c4850879745a4af3986baa0959cb64b568392c06a8249d0e72c08336dd9c85" dmcf-pid="HOdLCNVZhf" dmcf-ptype="general">세계 각국이 자국 이익을 극대화하는 산업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우리나라 성장동력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e0a6a776a1264befc00e025c49a69bf10c97cb1ddb1773c954edf03f3e0fc6b2" dmcf-pid="XIJohjf5WV" dmcf-ptype="general">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 반도체 및 과학법, 중국은 14.5 규획, 수출통제법을 시행 중이다. 일본도 경제안전보장추진법, 유럽은 핵심원자재법, 유럽 칩스법 등을 추진해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경쟁국을 견제하는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p> <p contents-hash="6b0c4344d49970c6a9d42859789d81027b764a4e368f737410fe8eaee0757687" dmcf-pid="ZbWX9tmel2" dmcf-ptype="general">우리나라는 최근 국가전략기술 정책이 추진되고는 있으나 모호성과 중복성이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p> <p contents-hash="639cbb97dd12266bae5ea24d1fdd38fc0326c308b859718b343d050816ed8c1a" dmcf-pid="5KYZ2FsdT9" dmcf-ptype="general">지난 정부에서는 성장동력이 발표되지 않은 대신 12대 국가전략기술이 발표됐다. 하지만 역대 정부 성장동력과 관계 및 연계방안에 대한 언급이 부재했다.</p> <p contents-hash="29abe706e19f7a29133aaa78e074c6fefa23eb82116b6aafefde4ca60e0ad4b3" dmcf-pid="19G5V3OJWK" dmcf-ptype="general">또 정부 부처별로 국가전략기술, 국가첨단전략기술, 국가핵심기술 등 명칭이나 목적이 유사한 기술들을 별도 법률을 통해 중복 지정하고 있어 정책 중복 우려도 제기된다.</p> <p contents-hash="32b20515cfadb721eb23990ec90d643fa17aa610adf1863860c3cf0161b6a91b" dmcf-pid="t2H1f0Iivb"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전략기술(국가전략기술육성법)과 산업통상자원부의 국가핵심기술(산업기술보호법)·국가첨단전략기술(국가첨단전략산업법) 등이 중복되고 있다는 지적이다.</p> <p contents-hash="d0a9a54845979626b8fab1e6c65b3b80279c4b2b5fa71fdf424932203071249d" dmcf-pid="FVXt4pCnSB" dmcf-ptype="general">이에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해 국가 성장동력 정책 방향을 재정립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조언했다.</p> <p contents-hash="223dad282fd1450a24e42b2c8a422d48f6214a93603522d9be85a595d7376a81" dmcf-pid="3fZF8UhLvq" dmcf-ptype="general">성장동력 정책은 국가를 어떤 방향으로 성장시킬 것인지, 어떤 국가를 지향할 것인지에 대한 거시적 방향성을 국가혁신생태계에 제시하는 중요한 시그널이 된다.</p> <p contents-hash="1f2923448ac9f4f6a4cbe03dde0a8867489461de4eeee6944cc769bbdd7039d2" dmcf-pid="04536uloyz" dmcf-ptype="general">위상·비전·내용·체계·관리의 측면에서 향후 국가 성장동력 정책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ee30e180c08de5030b087d8f2273d26f8a7cbdfa644fcd547ce0eace1e70eda9" dmcf-pid="p810P7SgT7" dmcf-ptype="general">위상 측면에선 성장동력 정책을 국가 과학기술 및 산업정책의 최상위 정책으로 위상을 격상하고, 국가전략기술 등 기존 제도들과 통합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d9188f454e5810939dc20d3546bde6e7d121b463aa1cd9b6deeeb33844eb30a8" dmcf-pid="uPFUxqTNTU" dmcf-ptype="general">비전은 기존 양적 성장 중심에서 질적 성장과 글로벌 기여를 포함한 ‘양·질·격’의 성장 비전 수립해야 한다고 봤다.</p> <p contents-hash="5957738fe9cb264f5aaebbd1f14044a241a7d97d9ce6a83d7bdb41cd5a67f283" dmcf-pid="zbWX9tmeS0" dmcf-ptype="general">내용 부문에선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국가 성장동력 풀(pool)’ 구성, ‘집중투자 그룹’과 ‘경제안보 그룹’으로 이원화, 분야별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d3d7a7b579bd5bd83a90874081ece6377d1fd14e84ac38870a50c34f2f25329d" dmcf-pid="qKYZ2Fsdv3" dmcf-ptype="general">체계는 대통령실 또는 국무조정실 산하 국가성장동력위원회(가칭) 설립을 통해 총괄조정과 부처 간 협력 구조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리의 경우 부처별 정책 수단의 유기적 연계와 성과 모니터링 체계화 등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93d88dcfc465b280e59794cb25993194a39727db1ed70f9e1a757c3d75330504" dmcf-pid="B9G5V3OJlF" dmcf-ptype="general">최병삼 STEPI 선임연구위원은 “저성장 및 기술주권 시대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신성장 분야를 발굴하고 기존 산업을 강화하는 이중 전략을 균형있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0d10928c2cadae04247ae53ba83b0ea84cee9009267307fc3ee80e285c55511" dmcf-pid="b2H1f0IiTt" dmcf-ptype="general">이어 “성장동력 정책은 특정 기술을 선정해 투자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혁신 방향과 미래상을 설정하는 거시 전략”이라며 이번 제언이 단순한 정책 제도 개선을 넘어, 국가의 미래상을 그리는 시작점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벤츠 문도 갤럭시로 연다”…삼성전자, 메르세데스 벤츠에 삼성월렛 디지털 키 적용 06-26 다음 [공식] 하정우 '건물주' 된다..'히트' 이후 19년 만에 전한 희소식 06-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