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클라우드 영토까지 넘본다…아마존·MS·구글 '불편한 동거' 작성일 06-26 3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 클라우드 서비스 'DGX 클라우드' 가파른 성장…거대 클라우드 기업들과 경쟁 불가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agq9tmeds"> <p contents-hash="0d9c7c08d85065fc91ea64cf8e0a5893456774a0e6755299eae4e44a5a89f9ce" dmcf-pid="WLnuBZDxem"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한정호 기자)<span>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가 클라우드 컴퓨팅 영역까지 본격 진출하면서 기존 시장 강자인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MS)·구글 등 빅3 클라우드 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330370b81c164340cb27e26e497e8ae53da1286e54e437996e16338d87b739b5" dmcf-pid="YoL7b5wMdr" dmcf-ptype="general">2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2년 전 출시한 AI 인프라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인 'DGX 클라우드' 수요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p> <p contents-hash="2ebf5f2c47d219f602b9a6f19fddf5c5dd6035b2a892210b59945cec503df1ca" dmcf-pid="GgozK1rRiw" dmcf-ptype="general">DGX 클라우드는 단순 인프라 제공을 넘어 기업 고객에게 고성능 AI 컴퓨팅 환경과 소프트웨어(SW), 전문가 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a8ead0e5bb4d8851284d3e10cb85bb71a55481cfeb98ba8feced855e1f987cc" dmcf-pid="Hagq9tmed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6/ZDNetKorea/20250626091844762hxfi.jpg" data-org-width="640" dmcf-mid="xy6XtlLKd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6/ZDNetKorea/20250626091844762hxf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4e9fbab139429ecb64fcd43fe2928745e9943d27c30f4926fa3d9a6ec7d1dd2" dmcf-pid="XNaB2FsdeE" dmcf-ptype="general"><span>이와 함께 엔비디아는 AI 클라우드 스타트업인 코어위브와 람다에 투자하면서 시장 저변 확대에도 나섰다. 이들 업체는 엔비디아의 AI 칩을 기반으로 급성장 중이다. 코어위브는 최근 나스닥에 상장했으며 올해 50억 달러(약 6조8천억원) 매출을 전망하고 있다.</span></p> <p contents-hash="4865573ebc303ca6c9b9108d6392dabe8cfef06c3a1f41a2e9ec942b47b1b50a" dmcf-pid="ZjNbV3OJdk"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DGX 클라우드 역시 조만간 연간 매출 100억 달러(약 13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이는 아마존의 연간 클라우드 매출인 1천70억 달러(약 145조원)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p> <p contents-hash="2462134727096baf21fb8e6b0c27276d096d07b1111880c416a249cfc0099143" dmcf-pid="5AjKf0IiRc" dmcf-ptype="general">문제는 수익 구조다. 아마존의 전체 매출 중 클라우드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9%에 불과하지만, 영업이익의 60% 이상을 이 부문이 책임지고 있다. 마진이 높은 만큼 시장 점유율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클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p> <p contents-hash="f56a2fa76ac3919ea877b8df57adec0c01c646198d85ca55607de7aab3daa55d" dmcf-pid="1cA94pCndA" dmcf-ptype="general">반면 DGX 클라우드는 독특한 운영 방식을 택하고 있다. 아마존·MS·구글 등 클라우드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칩이 탑재된 장비를 구매·운영하고 엔비디아는 이를 다시 임대해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구조다. 기존 클라우드 업체들이 인프라를 공급하고 엔비디아가 이를 다시 빌려 활용하는 셈이다.</p> <p contents-hash="bf5c1e26b657d462df6765d7917c68d98f5671acb5962dfd09d5c2ac43ff7f86" dmcf-pid="tkc28UhLnj" dmcf-ptype="general">이에 구글은 지난달 DGX 클라우드의 칩 임대 마켓플레이스 발표 당시 참여사 명단에서 빠지며 미묘한 입장을 드러냈다. 자체 AI 칩 개발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만큼 굳이 경쟁 잠재력이 있는 DGX 클라우드에 협력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p> <p contents-hash="b8ddf1ac63555c6176c32c20ac34528699aa564305b8b3c30e31801b22cd87fe" dmcf-pid="FEkV6uloeN" dmcf-ptype="general">엔비디아 측은 "기존 클라우드 기업들과 경쟁하기보다는 AI 고객에게 더 나은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이다.</p> <p contents-hash="2dfa2d11d2820318037f56f6e66c419df21bd7feee63afb7f561cb3f93b04908" dmcf-pid="3DEfP7SgLa" dmcf-ptype="general">업계는 엔비디아 DGX 클라우드가 향후 기존 사업자들을 위협할 것으로 보고 있다.</p> <p contents-hash="89f1ef3da339e07a3b9555581f97b1cb3b925c8d05b992ece8b6935e9b229590" dmcf-pid="0GYgAMphJg" dmcf-ptype="general">실제 엔비디아는 작년 회계연도 기준 109억 달러(약 14조원) 규모의 다년 계약을 확보하며 DGX 클라우드 사업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35억 달러(약 4조원)를 기록한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p> <p contents-hash="b40fafd1068fcbc8258107e74c424c638971fcf1cad3243fa31787398e80916e" dmcf-pid="pHGacRUlMo" dmcf-ptype="general">이에 클라우드 기업들도 반격에 나서고 있다. 아마존은 '그래비톤'을 비롯한 AI 전용 칩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구글과 MS 역시 자사 AI 칩을 통해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p> <p contents-hash="668d3d26c0d91ba993adcf2ffad4ce79d5a27bdc92255ad38a85fc9ff5314584" dmcf-pid="UXHNkeuSnL"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AI 수요가 폭증하면서 엔비디아와 클라우드 기업 간 협업이 불가피해졌지만, 장기적으로는 서로의 영역을 넘보는 경쟁 구도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며 "DGX 클라우드는 엔비디아의 선택지가 아닌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02fe031ec2ab9514cfec05f1558c374d39e429ab5b065b88de4e42338bb9c61" dmcf-pid="uZXjEd7vdn" dmcf-ptype="general">한정호 기자(jhh@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NCT 유타·정우, 유럽 패션위크 올해도 완벽 접수 06-26 다음 [리뷰] 리매치 "창의성은 빛났으나 갈 길도 멀다" 06-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