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 88%, 이미 생성형 AI 활용 중”…콘텐츠·데이터 분야서 두각 작성일 06-26 3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하이드릭앤스트러글스, 국내 C레벨 설문조사 발표<br>비용 절감과 의사결정 효율화가 주요 동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PhJEd7vTQ"> <p contents-hash="d621a9cc829b2b504cf9408758067dc26f24f6afe2e034c42401f94a2257ae14" dmcf-pid="7QliDJzTTP"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생성형 인공지능(Gen AI)이 한국 기업 현장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리더십 자문기업 하이드릭앤스트러글스(Heidrick & Struggles)가 국내 주요 산업의 최고경영자(C레벨) 8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8%가 이미 업무에 Gen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p> <p contents-hash="5d6bc0765916bca557f154ed9ca994629f7f323a754d544d811f9217900208d1" dmcf-pid="zxSnwiqyS6" dmcf-ptype="general">하이드릭앤스트러글스(나스닥: HSII)는 임원 서치, 리더십 평가, 조직문화 개선, 온디맨드 인재 솔루션 등 글로벌 리더십 자문 전문기업으로, 세계 각지의 선도 기업을 위한 인재 전략을 지원하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f04cc12da495af0ae7b6bc7feb4a2212ad12723604103053a2a3bbc0f5d7283" dmcf-pid="qMvLrnBWS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6/Edaily/20250626105839161mjeb.jpg" data-org-width="670" dmcf-mid="pAmxNQ3Il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6/Edaily/20250626105839161mjeb.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ed912d36c7af2247c538e5644093d169c6fd07f84b9755ed58b9a45506d5ee78" dmcf-pid="BRTomLbYy4" dmcf-ptype="general"> <strong>콘텐츠 제작·데이터 분석 중심 활용…기업 간 준비도 차이 뚜렷</strong> </div> <p contents-hash="e841dab98a98e13d2fbeee270c961e31a6e3630b67a61eb531e16362b843cc2b" dmcf-pid="beygsoKGWf" dmcf-ptype="general">조사에 따르면 Gen AI의 활용 분야는 콘텐츠 제작(80%)과 데이터 분석(64%)이 가장 많았으며, 고객 서비스 자동화(30%), 제품·서비스 추천(29%), 번역·요약 등 기타 용도(9%)에서도 활용 사례가 있었다.</p> <p contents-hash="d72815a045262cba2ce3a49855e830d4eb6d52d8351639ceca8977420a5bcc4f" dmcf-pid="KVmxNQ3IhV" dmcf-ptype="general">활용에 따른 효과에 대해 84%가 ‘긍정적’ 또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응답했으며, 부정적으로 평가한 경우는 없었다.</p> <p contents-hash="13f40388f385405c2102712c46864936df70be3428112edf7669102bbe3cab3a" dmcf-pid="9fsMjx0Cy2" dmcf-ptype="general">다만, 자사의 AI 활용 준비도에 대해서는 73%가 준비돼 있다고 평가한 반면, 27%는 ‘전혀 준비되지 않았다’고 답해 기업 간 편차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bdc78902e85ed388689f0b258a5dea701a4471d913b8807dd586bdb59b10c664" dmcf-pid="24ORAMphl9" dmcf-ptype="general"><strong>도입 결정 요인은 ‘비용 절감’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strong></p> <p contents-hash="898cc3a205d8deed62d1f97ebee68b6ea773930fe0fd6ca1dab8b9b2e5d83afe" dmcf-pid="V8IecRUlyK" dmcf-ptype="general">기업들이 Gen AI 도입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비용 효율성(73%)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강화(73%) ▲고객 경험 개선(61%)으로 나타났다. 이는 Gen AI를 단순한 자동화 도구가 아니라, 경쟁력 강화의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p> <p contents-hash="193ee0eda03fd9559f2dcfa9d99e1426fc07dfb84431d6fb6bbc149648f47dd6" dmcf-pid="f6CdkeuSyb" dmcf-ptype="general"><strong>윤리적 기준 수립은 아직 미진…전체의 63% “제도 없어”</strong></p> <p contents-hash="088e4493cc242d0fe6be5f75f6704e85861822b0a42a8a10eabc6871b7a5465f" dmcf-pid="4PhJEd7vWB" dmcf-ptype="general">기술 도입 속도에 비해 윤리적 활용 기준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3~5년 내 윤리적 방식의 Gen AI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 자신한 응답자는 61%에 달했지만, 실제로 윤리 기준이나 내부 가이드라인을 갖춘 기업은 37%에 불과했다.</p> <p contents-hash="4756ba82ee2735703020a067792ea21cf3d0c8b25466a5218c9b8a6fccc81cd6" dmcf-pid="8QliDJzTlq" dmcf-ptype="general">이는 기술 도입과 동시에 윤리 체계 구축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Gen AI의 지속 가능성과 책임성 확보를 위한 향후 과제로 지적된다.</p> <p contents-hash="370c8f74c8a3d1dd149efe52bb4e5ec9ae15066ee4ab7bb49e6c95363b1b12e2" dmcf-pid="6xSnwiqyhz" dmcf-ptype="general"><strong>미국·한국 모두 시장 확산 중…“AI는 더 이상 IT만의 과제 아냐”</strong></p> <p contents-hash="74e8d84fd99dcc42ea68fc779963f76c74bf39591520335b045bec381aad7ffd" dmcf-pid="PMvLrnBWv7" dmcf-ptype="general">참고로 미국의 경우, Gen AI 확산 속도는 더욱 빠르다. 해킷그룹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기업의 89%가 Gen AI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이는 전년 대비 5배가량 증가한 수치다.</p> <p contents-hash="e82f3f768e0fcdd7200fe755689fbe4d9b99a879eed7815b81d1d34c34dd2ddf" dmcf-pid="QRTomLbYyu" dmcf-ptype="general">한국에서도 정부는 2025년 시장 규모 13억3천만 달러, 연 20% 이상 성장률을 목표로 생태계 조성에 나서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 AI 활용률을 2027년까지 50%로 확대하고자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311ccce3d31f9f38f579b1480f8f2f012504c6c7b6ba26cd808d22ef769f9e5" dmcf-pid="xeygsoKGl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6/Edaily/20250626105841305zlwf.jpg" data-org-width="670" dmcf-mid="UjKy0TaVW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6/Edaily/20250626105841305zlwf.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dfbf5eaa3460f590319c7479bb245c52da3b43785b48ed1997017c0d2892bc78" dmcf-pid="yYQtK1rRvp" dmcf-ptype="general"> <strong>“경영진이 기술의 원리와 리스크 이해해야”…리더십 전환 시급</strong> </div> <p contents-hash="d402d4884beaec781a67f93810b3767293be4c7b76554969674d0964b6e912b3" dmcf-pid="WGxF9tmev0" dmcf-ptype="general">하이드릭앤스트러글스는 Gen AI 시대에는 기술과 전략을 동시에 이해하는 C레벨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8c5633eb9062531a15390c9b57faf22babc5f161783e9338f85e36267ea1b56" dmcf-pid="YHM32Fsdy3" dmcf-ptype="general">최은영 파트너겸 부사장은 “AI는 이제 기술팀의 과제가 아니라, 기업 전략 전체와 맞닿아 있는 핵심 과제다. 경영진 스스로 기술의 작동 원리, 한계, 편향까지 이해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d38e126c82b2cfbf3dce1f2ad972c8ddf1fa7322f1855d6c54e8952584e6618" dmcf-pid="GXR0V3OJWF" dmcf-ptype="general">김민교 파트너는 “이메일 교정이나 문서 요약 수준에서 멈춰선 안 된다. 워크플로우 자동화, 지식 자산 체계화, 의사결정 구조 개편이 Gen AI의 진짜 잠재력”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f2b008d0088e4babcd0d09afcbad6052516d46b05f33d28550c9e1822066d534" dmcf-pid="HZepf0IiSt"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배경훈·하정우 듀오, '국가AI컴퓨팅센터' 성공 이끌까…민간 중심 전환 '신호탄' 06-26 다음 [현장] "국방도 AI 전쟁"…전문가들, 실전형 AI 확보 '한목소리' 06-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