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기술에 8년간 6454억, 수소환원제철에 5년간 8146억 투자 작성일 06-26 3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과기정통부, 국가R&D사업평가 총괄위 개최 <br>예타 면제된 양자기술에 8년간 6454억 투자 확정, 즉시 집행 <br>수소환원제철에 2030년까지 8146억 사업비 시행 확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qP1SKYcW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123110c793446462454f843503950e398a64f7cfbcbc36dac2133ae628f6916" dmcf-pid="3BQtv9Gkh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6/moneytoday/20250626132537360tril.jpg" data-org-width="340" dmcf-mid="tIIe2k6FC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6/moneytoday/20250626132537360tril.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c5b5ab6fed67616aa0e028f8f247b3f3e747a8ea95da7f5ca2a7fe601d87b18a" dmcf-pid="0IHAelLKhL" dmcf-ptype="general">미래 시장 선점 등 국가 차원의 지원 필요성이 인정돼 예타(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된 양자과학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에 8년간 6454억원 투입이 확정됐다. 세계 최초로 수소환원제철을 실증하는 8146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도 시행이 확정됐다.</p> <p contents-hash="62c940083a7c9c44b6dc081ebe93257f0987bd86bb7c322268e647071cea8ca6" dmcf-pid="pCXcdSo9vn"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임요업 과학기술혁신조정관 주재로 '2025년 제5회 국가R&D(연구개발)사업 평가 총괄위원회'를 열어 1개 예타 면제 사업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와 20204년 제3차 7개 국가R&D사업의 예타 결과를 확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p> <p contents-hash="46e3db485ebdc41016de9f806f78a95431863cbf50f45f9444ad3ea088443913" dmcf-pid="UhZkJvg2Si"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가 주관하는 '양자과학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선도국 수준의 양자기술 도약과 산업화 역량을 조기 확보하기 위해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싱 등 각 분야별로 도전적 과제를 수행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8월 도전·혁신적 목표, 국가안보 강화,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필요성과 시급성을 모두 인정받아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예타가 면제됐다.</p> <p contents-hash="79cc9788f83cd39eb83f202e4c148375f2fac057c8e0c4a95cca597fa214d9bc" dmcf-pid="ul5EiTaVSJ" dmcf-ptype="general">이번 회의에서 올해부터 2032년까지 8년간 6454억원의 투자가 확정됐다. 과기정통부는 2032년까지 초전도·중성원자를 기반으로 한 1000큐비트(양자정보시스템 기본 정보단위)급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개발·구축(양자컴퓨팅)하고 양자 메모리 기반 양자 중계기 개발 및 네트워크 단위의 3노드 100㎞ 양자인터넷 구현(양자 통신) 국방·첨단산업 혁신을 선도할 양자센서 융복합 플랫폼(양자센싱)을 개발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7f2330c481a4ca6b6595b8c0a9e7203436704a48347fcc0b4cb2317005150d61" dmcf-pid="7S1DnyNfCd" dmcf-ptype="general">이번 사업은 국가R&D사업 최초로 오류정정이 동작하는 초전도 기반 양자프로세서(QPU) 개발에 도전한다. 오류정정 기술은 양자큐비트 수 증가에 따른 오류 누적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꼽힌다.</p> <p contents-hash="ace970541544f9755aae8403312aa7c47212788f89c5e6db9c7f80b08bbd7cc6" dmcf-pid="zvtwLWj4Se" dmcf-ptype="general">아울러 지난해 11월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7개 사업의 시행도 확정됐다. 이 중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기술 개발 사업'은 세계 최초로 분광수소 유동 환원로 기반 30만톤급 수소환원제철을 실증하는 사업이다. 실증이 완료되면 2050년까지 탄소계 기반 현재의 고로 제철 공정을 100% 수소환원제철 공정으로 전환할 수 있다. 수소환원제철 공정은 기존 고로 공정 대비 탄소배출량을 95% 이상 감축 가능한 기술로 꼽힌다.</p> <p contents-hash="ca0d32273a633288128b86d9c5503225d16796b2293d0abebc57c7ce9613df92" dmcf-pid="qTFroYA8hR" dmcf-ptype="general">또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부처에서 파편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소규모·단기 사업들을 프로그램사업으로 통합·재기획하는 고유임무 계속사업 예타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이날 첫 사례로 5개 부처의 6개 고유임무형 계속 사업의 시행이 확정됐다. </p> <p contents-hash="026191d736d479e50453c1004b5ec11b2c66463dfa4713575812d09197b17827" dmcf-pid="By3mgGc6WM"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는 △AI·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미디어 산업을 혁신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 이노베이션 기술개발 사업'(과기정통부, 1363억원) △재난안전 문제 해결과 미래 대응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재난 및 안전관리 연구개발사업'(행정안전부, 1862억원) △반도체 첨단산업 생태계를 지원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반도체 첨단산업 기술개발 사업'(산업부, 3135억원) △대기환경 문제 대응을 위한 실증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클린에어 기술개발사업'(환경부, 972억원) △기후변화로 심화되고 있는 수재해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후변화 적응 수재해 관리 기술개발사업'(환경부, 1066억원) △건설공정의 사고 예방, 노후 시설물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 관리 기술을 개발하는 '건설 전주기 안전혁신 기술개발 사업'(국토교통부,1389억원) 등이 있다.</p> <p contents-hash="5f392602a71c4ef7f869a514612d17882566cc7fa661e065ee5be9600e024539" dmcf-pid="bW0saHkPCx" dmcf-ptype="general">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신산업 육성을 통한 성장,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등 우리 사회의 주요 문제를 관통하는 핵심 사업들의 추진이 확정돼 기쁘다"며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국가연구개발 투자가 국민 삶의 질 개선과 국가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446be5904cbc6ca91b75f741edbe20de8ff0f62b6c551b7f6dc33bad0ed9eed8" dmcf-pid="K5qSEFsdlQ" dmcf-ptype="general">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삼성SDS, 생성형 AI 출사표… 이준희 "기업 AI 에이전트 자신있어" 06-26 다음 태권도진흥재단, 전국 초중등 교원 대상 2025학년도 직무연수 06-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