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AI 모델' 프로젝트에 LG·KT·네이버·카카오 등 관심 작성일 06-27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4UST9GkX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853c1e46b00ef742fe14f2c436742eca3a35126bf06aa0bd24ab7e5f3386e55" dmcf-pid="p8uvy2HEZ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서울 역삼동 포스코타워에서 민·관 협력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박종진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etimesi/20250627152606343gicm.png" data-org-width="700" dmcf-mid="3PGEw3OJt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etimesi/20250627152606343gicm.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서울 역삼동 포스코타워에서 민·관 협력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박종진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69d6c16bd4ef9bbc4a391e5ab9661fe7595661c9c6dc3967efe584719c8beba" dmcf-pid="U67TWVXDHO" dmcf-ptype="general">국가대표 거대언어모델(LMM)을 개발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설명회에 수십개 기업에서 200여명이 참석했다. 사업 참여 열기가 뜨거울 전망이다.</p> <p contents-hash="8b6ac9c47788c6d2e483dbf0a3fc89a54c8f7e40a9c3e8fbc15d79e629ed82b9" dmcf-pid="uPzyYfZwXs"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서울 역삼동 포스코타워에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민·관 협력형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일부 참석자는 자리가 부족해 계단에 앉는 진풍경이 연출됐다.</p> <p contents-hash="92ea1a568c82dcaed560d55559df3f28e216381c862e6e2ebf4aa50e1298b82e" dmcf-pid="7B5mOulo5m" dmcf-ptype="general">LG AI연구원, KT, 네이버, 카카오, 롯데이노베이트, NHN, NC AI 등 대기업을 비롯해 뤼튼테크놀로지스, 모레, 업스테이지, 이스트소프트, 플리토, 코난테크놀로지 등 강소 AI·데이터 기업과 KAIST 등 대학·기관 관계자가 대거 참석했다.</p> <p contents-hash="0acad5792df806a630a7d2751f2e0a2c0488a4ee1786c6460b4ec5cdfa545d45" dmcf-pid="zb1sI7Sg1r" dmcf-ptype="general">설명회는 민·관 협력으로 개발되는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공모 착수를 계기로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력있는 AI 기업·기관 등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마련됐다.</p> <p contents-hash="57c2614bd998fff86ba6facbf2ddc0d3dbd8dd7676df1f0861858be63a460b00" dmcf-pid="qKtOCzvaXw"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와 NIPA·NIA·IITP는 사업 추진내용과 계획, 그래픽처리장치(GPU), 데이터, 인재 등 파트별 상세 지원내용 등을 공유하고 기업의 질문을 받았다. 참여를 희망하는 AI 기업·기관 등이 구체적 지원방안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p> <p contents-hash="e98a2d4ee85ed99124a6a8eff93c6f5955141e4354018526e964472f4099d989" dmcf-pid="B9FIhqTNYD"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해당 프로젝트로 6개월 이내 출시된 최신 글로벌 AI 모델 대비 최소 95% 이상 성능을 갖춘 최대 5개의 K-AI 모델을 확보할 계획이다. 참여 사업자 또는 컨소시엄의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경험과 기술력이 필수로 요구된다.</p> <p contents-hash="30dbf0d723a35f832d45e17bc2dcfbce54f1bf3793dea600d1e5984bbd736420" dmcf-pid="b23ClByj5E" dmcf-ptype="general">올해 지원되는 GPU는 엔비디아 H100 1000장, B200 1000장 등 총 2000장이다. 2026~2027년에도 첨단 GPU를 추가로 조건부 제공할 예정이다. LLM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와 인재 채용도 지원한다.</p> <p contents-hash="58ac7792efb440945bbb75aadf34dee1917ff72a3533896230fab13de28104f4" dmcf-pid="KV0hSbWAHk" dmcf-ptype="general">참여를 희망하는 사업자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GPU, 데이터, 인재 등 희망 자원을 사업 신청 과정에서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다. 정부는 추후 평가를 통해 적정규모를 검토·지원할 계획이다. 국민 AI 접근성 증진, 공공·경제·사회 AI 전환 지원 등 국내 기여 계획도 제시해야 한다.</p> <p contents-hash="7303aa88b28441a22c5db8f5f46ba46de11da1f38453d5a1427492cebab45eb5" dmcf-pid="9fplvKYcYc" dmcf-ptype="general">참여기업 규모와 오픈소스 공개 정도에 따라 지원 매칭 비율이 차등화된다. 평가는 국내외 AI 전문가가 참여하는 별도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진행한다. 참여 신청접수는 7월 21일까지다.</p> <p contents-hash="4df051f117d387122ba72be3ab73c79f1525ae50a4a542bcd65232b3973cf6aa" dmcf-pid="24UST9GkHA" dmcf-ptype="general">장기철 과기정통부 인터넷진흥과장은 “정예팀을 선발해 2027년까지 경쟁평가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며 “AI 시대 우리나라만의 AI 모델을 확보하고, 모두의 성장을 이끌 AI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ee6f64832ee3d8a2921151563756bd39bc1c2ee6422674ec9ed8c47b07448af" dmcf-pid="V8uvy2HEHj" dmcf-ptype="general">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장동민, 26kg 감량 후 10년 유지..킴 카다시안도 주목한 비결 공개 [세 개의 시선] 06-27 다음 이즈나 방지민, '엠카' 스페셜 MC 맹활약… 다재다능 올라운더 06-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