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레협 주최 음악 컨퍼런스 '킨디 서밋' 성황 작성일 06-27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3hctMphYr">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91ba824a4957f4cf158a9a62028ed9b8bfedbcd376dd556bc5670bf2a2b8170" dmcf-pid="60lkFRUlX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제공|음레협"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spotvnews/20250627153541204jmad.jpg" data-org-width="600" dmcf-mid="4yi4r0IiZ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spotvnews/20250627153541204jma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제공|음레협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9e13afd0a7f2a2220c7f042932e48b0ab59e8f4c437f70d083a31e10edf3e00" dmcf-pid="PpSE3euSXD" dmcf-ptype="general">[스포티비뉴스=김원겸 기자]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음레협)가 주최한 ‘킨디 서밋’이 지난 6월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간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 핸드볼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행사를 통해 아시아 음악 산업 간의 협력과 확장을 위한 의미 있는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p> <p contents-hash="1cc43ed2f61547bc1dc34aa560ffe6079c41919df2621f8f9a95c46f82b4ea38" dmcf-pid="QUvD0d7vHE" dmcf-ptype="general">‘킨디 서밋’은 ‘마이케이 페스타(MyK FESTA)’와 연계해 개최된 국제 음악 산업 컨퍼런스로, 음악 산업의 유통 생태계를 중심으로 아시아 각국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p> <p contents-hash="2dfa04655dc37e8fb3c9877d12e7c29012943a27af6d1e8f6c50d62a6e444644" dmcf-pid="xuTwpJzTHk" dmcf-ptype="general">행사 첫날인 19일에는 ‘아시아 음악 네트워크: 지속 가능한 협력과 확장의 방향성’을 주제로 한 세션이 진행됐다. 노건식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부회장 겸 사운드리퍼블리카 공동대표가 모더레이터를 맡았다. </p> <p contents-hash="ec5ee1db1ab857fed733d1f463654c6d7dbd48db5456cbd9a54811141667e926" dmcf-pid="ycQBjXEQtc" dmcf-ptype="general">한 샤오(XAA 엔터테인먼트 그룹 CEO, 중국), 키스 탄(슬레이트 엔터테인먼트 창립자 겸 대표, 싱가포르), 미미 시마다(IMCJ 글로벌 마케팅 이사, 일본), 쇼고 코미야마(자포니쿠스 창립자, 일본), 웨이닝 헝(9 KICK 에이전시 창립자, 대만) 등 아시아 각국을 대표하는 인사들이 패널로 참여했다. 약 2시간 동안 진행된 이 세션에서는 아시아 음악 시장의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과 확장 전략에 대해 열띤 토론이 펼쳐졌으며, 세션 종료 후에도 연사와 참관객 간의 자발적인 네트워킹이 이어졌다. </p> <p contents-hash="b4bf8df5978c92671ee767c023dbc62849135d129296baec01936ddfe5d99a69" dmcf-pid="WkxbAZDxHA" dmcf-ptype="general">20일에는 ‘디지털 시대의 음악 유통과 마케팅: 글로벌 플랫폼별 전략 인사이트’를 주제로 두 번째 세션이 개최됐다. 해당 세션에서는 곽영호 한터글로벌 대표가 좌장을 맡아 K팝 빅데이터와 AI 기술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김아론(시드엑스 대표), 서희(YG플러스 플랫폼데이터팀 리더), 장서현(NHN벅스 IP제작팀 팀장), 차상수(플럭서스 전략사업본부 본부장)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이들은 각 플랫폼의 디지털 음원 유통 전략, 데이터 기반 음악 마케팅 사례, IP 가치 제고를 위한 방안 등을 공유하며 참가자들과 인사이트를 나눴다. </p> <p contents-hash="5309713fe39637e2cf1ca1365ba9fcd44baa608a0f904c377a2b6a7b82a99867" dmcf-pid="YSNMhqTNYj" dmcf-ptype="general">이번 행사 기간 동안에는 닷뮤직(.MUSIC), 키트베러(뮤즈라이브), 루비레코드, 뮤직가이드 등 음악 제작 및 유통 분야의 주요 기업들이 참가한 전시 부스도 함께 운영되어 현장 방문객들의 큰 관심을 모았다. </p> <p contents-hash="624f05893856015b4e5a27012ebb0554c1ad01a5889386538fab71452b1b3948" dmcf-pid="GvjRlByjHN" dmcf-ptype="general">‘킨디 서밋'은 아시아 음악 산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는 국제 컨퍼런스로서, 레이블 관계자, 아티스트, 업계 종사자, 실용음악 전공자 등 다양한 음악 관계자들의 활발한 참여 속에 성료됐다.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는 앞으로도 국내 음악 산업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49f3c336df1e987c369b4bd0f7045be147bd66e49ec31eb380d9372026aebfc5" dmcf-pid="HTAeSbWAta" dmcf-ptype="general"><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티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박성웅, '내안의 그놈'·'웅남이'로 다낭 아시아 영화제 공식 초청 06-27 다음 [공식]차은우, 입대 전 마지막도 뜨겁다…솔로 팬미팅 초고속 매진 06-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