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텀코리아2025' 가보니...양자 생태계 소·부·장 중심 '기지개' 작성일 06-27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리게티·애니온 등 글로벌 협력 눈길…"갈 길 여전히 멀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A554DQ0nP"> <p contents-hash="8b5a3c2f0f125e2d0df8b2774fc8fc4ec0d26b1d251173c05e608c9ee6e4b268" dmcf-pid="Gc118wxpe6"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우리나라 양자 생태계는 어디까지 와 있을까. 단정적으로 얘기하긴 어렵지만 소재·부품·장비를 중심으로 '기지개'는 켠 상태라는 것이 전반적인 평가다.</span></p> <p contents-hash="9fc961e6d4e91dba5b06c3e57a22880ba0c51181aaf32c33d43f6e0cb96d927d" dmcf-pid="Hktt6rMUL8" dmcf-ptype="general">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퀀텀코리아 2025' 전시를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하면 ▲소재·부품·장비 기지개 ▲글로벌 협력 강화 ▲지자체 관심 등으로 요약된다.</p> <p contents-hash="f4a8cd3e81a2c7dfab105e0124d4c1969fbbb204591cc66acac5494b077e974f" dmcf-pid="XEFFPmRuJ4" dmcf-ptype="general">이 행사 주제는 '양자 100년, 산업을 깨우다'이다. 국제협력 부문은 나름 성공작으로 평가됐다. 반면 산업을 깨우는 데는 여전히 노력과 시간이 필요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9650eb5f541fe9f5ba8b4795764df6306b9c7c5741074e2d667b372d87809c0" dmcf-pid="ZD33Qse7n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24일 열린 퀀텀코리아 개막식에서 이준구 큐노바 대표가 참관단에 양자 알고리즘을 설명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4649plen.jpg" data-org-width="640" dmcf-mid="bMi8c5wMe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4649ple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24일 열린 퀀텀코리아 개막식에서 이준구 큐노바 대표가 참관단에 양자 알고리즘을 설명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e4c15f4d08dd1d6daf1eae80d6e48a3c796eaf4eb899e757de0ac1a124a562e" dmcf-pid="5IzzJSo9MV"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덴마크나 유럽연합, 핀란드, 네덜란드, 스위스, 미국 등 주요국과 실효성 있는 협력을 위한 국가간·기관간 라운드테이블 및 4개국 공동세미나 등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상호 간 실질적인 협력을 어떻게 해나갈 것인지가 논의의 초점이었다.</p> <p contents-hash="b2b654347565846a9298bcac8893a847509d39f3370e83e32d35ec0235c3a466" dmcf-pid="1Cqqivg2R2" dmcf-ptype="general">그동안 네트워킹을 중심으로 협력 기반을 다져 왔다면, 올해는 실질적인 협력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곳곳에서 드러났다.</p> <p contents-hash="93a8cd490efb1fb0780c129a5979908d8d7bcec1740cc6d3a555b7e071c3f717" dmcf-pid="thBBnTaVe9" dmcf-ptype="general">한국연구재단 백승욱 양자기술단장은 "이번 행사는 한국의 양자 생태계를 국제협력 기반으로 확충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그동안 협력이 네트워킹 중심이었다면, 올해부터는 실질적인 협력을 모색하는 장으로 흐름이 전환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31ee6b1ce3f8ea3c7f081fb8af2faa6d47cf7d9ab4576e651511a0c43ea74ce8" dmcf-pid="FlbbLyNfdK" dmcf-ptype="general">전국 지자체 참여도 눈길을 끌었다. 서울시를 비롯한 대전시, 충남도, 세종시, 경북도 등 5개 시도가 양자클러스터 추진 현황과 지원 정책 홍보에 나섰다.</p> <p contents-hash="0918c8613d44d173fce17fcbd0bf03f0eb32f362fe045aeac3168baeba887cb9" dmcf-pid="3SKKoWj4Lb" dmcf-ptype="general">이들은 여전히 정부 사업 중심으로 소개하는 것이 전부였다. 산업과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양자 생태계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p> <p contents-hash="a1726e152526e0081e257152e053f79b5af19f9f7dae108a818a4be48c013c1d" dmcf-pid="0v99gYA8nB" dmcf-ptype="general"><strong>기업 입장에선 "생태계 조성...먹거리부터 만들어야"</strong></p> <p contents-hash="6d926249d7220562e2faedf2c75c71d016766eb89ffec3a0e584125d693881c3" dmcf-pid="pT22aGc6Jq" dmcf-ptype="general">이번 행사 전시 참여기관을 분석해 봤다. 총 58곳이 참여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연구와 관련한 대학과 기관, 협단체 17곳이 정부 과제 수행 성과를 공개했다.</p> <p contents-hash="afbd129bde2be05c70a17eca35012428f316546f8f6fd1e9c5031b988010b870" dmcf-pid="UyVVNHkPdz" dmcf-ptype="general">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한국연구재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양자산업협회가 행사 주관을 맡아 기관별 컨소시엄으로 진행해 온 연구성과를 공개했다.</p> <p contents-hash="737a4d79632d88b688844f34d0b5006ef982a7031aef124403eb89d5d7a8329e" dmcf-pid="uWffjXEQJ7" dmcf-ptype="general">또 스위스와 네덜란드 대사관에서 2 부스를 차지한 것이 눈길을 잡았다.</p> <p contents-hash="87507426cd6957d5267e66d094f8bc3cc91f7d675ee54261cd2ac162c20fdf7c" dmcf-pid="7Y44AZDxJu" dmcf-ptype="general">기업으로는 글로벌 기업 및 외국기업 17개가 참여했다. 지난해보다 늘긴 했어도, 대부분 개별 성과물 공개가 예년과 비슷했다.</p> <p contents-hash="d3c634850ef7cbd071a31bf80b71e8596fed12e2ee5c78890736975e5e4f882b" dmcf-pid="zG88c5wMdU" dmcf-ptype="general">국내 대기업군에서는 LG유플러스와 KT, SKT, 메가존 클라우드가 참여했고, 국내 양자 생태계를 떠받칠 중견 및 소기업으로는 노르마와 SDT를 포함, 12곳이 제품을 선보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9758fe9d6896d173188ad498c591d106ecc07aa7c1fc06989561edffb319c55" dmcf-pid="qH66k1rRJ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퀀텀코리아에서 KT 측이 양자암호통신 장비에 대해 설명 중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5996tjav.jpg" data-org-width="640" dmcf-mid="KWnr1x0Cn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5996tja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퀀텀코리아에서 KT 측이 양자암호통신 장비에 대해 설명 중이다.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868ffb02f6a174f776ea43e6b28a012fd3d5fdaf858a96586722c06b1788700" dmcf-pid="BXPPEtmed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양자컴퓨팅 글로벌업체 리게티 부스 전경. 리게티는 노르마와 공동관을 차렸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7291mlhv.jpg" data-org-width="640" dmcf-mid="9dMAYfZwJ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7291mlh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양자컴퓨팅 글로벌업체 리게티 부스 전경. 리게티는 노르마와 공동관을 차렸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fffe44df0f8a10eceb378e5687a46044a4a7e85002276d7c3e031c963343afa" dmcf-pid="bZQQDFsdJ3" dmcf-ptype="general">국내 기업만 따지면 전시 참여율이 전체의 20%에 불과했다. 기관과 대학, 지자체 등 공공기관은 총 23개에 40%에 육박했다.</p> <p contents-hash="3b2ae290911b5154d73727f20c89456196cc247e060d54ccf5aa46844318eb83" dmcf-pid="KoYYKjf5RF" dmcf-ptype="general">행사가 아직은 기업보다 기관 중심일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p> <p contents-hash="5cb690f1ce347cab27f547df445375d9eb3bceb2d7f6d493587fdc7e4c88083c" dmcf-pid="9gGG9A41nt" dmcf-ptype="general">함재균 한국양자산업협회 사무국장은 "양자는 이제 시작이다. 가능성에 대해서는 모두가 인정하지 않나. 참을성 갖고 들여다봐야 할 것"이라며 "컴퓨터도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에서 손바닥 안으로 들어오기까지 긴 시간이 걸렸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b0f38c32c111116e8a821369e2836a3e695f763148f2f78a6fa76131c103466" dmcf-pid="2aHH2c8tn1" dmcf-ptype="general"><strong>국내 기업-글로벌 기업 간 협업 사례 2건 관심</strong></p> <p contents-hash="096d6b921ec8472a8d449036d95d6b7c168b20c6129d64982fcacc03567186bb" dmcf-pid="VNXXVk6FL5" dmcf-ptype="general">다만, 지난해와는 달리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업이 손잡고, 국내외 시장 공략에 나선 케이스가 관심을 끌었다.</p> <p contents-hash="42a4bb718a681f6271766f675f8e9f6303faece2067e5942c03d143c2b4ddc43" dmcf-pid="fjZZfEP3MZ" dmcf-ptype="general">노르마는 리게티와 손잡고 공동 전시관을 꾸렸다. 리게티가 한국의 양자컴퓨팅 시장 교두보 확보를 위해 손잡은 것으로 파악됐다.</p> <p contents-hash="706642a78c7a3d2ea3b695e1b8b0866e96924e1f592f21ccbeaf67eb71c6e958" dmcf-pid="4A554DQ0nX" dmcf-ptype="general">SDT는 애니온테크놀로지와 손잡고 초전도 양자컴퓨터에 들어가는 냉각기를 공동 제작, 실물을 공개해 관심을 끌었다. 그동안 외산에만 의존하던 시장에서 국산화를 위한 첫 단추는 끼운 셈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5f9dbb25db8ab641a0c20b605fff0d78edaac149c7c418f0c1c953e3c418866" dmcf-pid="8c118wxpi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DT가 개발한 냉각기 핵심 부품 다일루션 유닛."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8543jpjt.jpg" data-org-width="640" dmcf-mid="2ecS7LbYe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8543jpj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DT가 개발한 냉각기 핵심 부품 다일루션 유닛.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2844147dc039b128882b3d61af4e4e4c8cff07c7c307558c04a78e98fb0f7b9" dmcf-pid="6ktt6rMUMG" dmcf-ptype="general">SDT 조수현 팀장은 "냉각기 부품 중 최종 10밀리 캘빈까지 온도를 낮추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다일루션 유닛을 우리 기술로 만들어 냈다"며 "향후 레퍼런스를 만들어, 국내외에 공급하는 데 치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a2040a5c2e5ddf4ac781c7e9004db38d7c640c9bf8f117227a2230324755808" dmcf-pid="PEFFPmRuLY" dmcf-ptype="general">대표적으로 국내 1호 양자기업인 큐노바컴퓨팅이 양자컴 알고리즘을 시연했다. 한국퀀텀컴퓨팅은 양자내성암호(PQC) 기반 하드웨어 플랫폼과 솔루션, 에스크가 양자컴퓨팅, 센싱, 통신관련 하드웨어, 큐심플러스가 양자통신용 스포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선보였다.</p> <p contents-hash="3928e30556079d58c45673bb07b6ac3a17bf6caa1fd504ecbf13fe52bc1e1c86" dmcf-pid="QD33Qse7eW" dmcf-ptype="general">또 위드웨이브가 양자컴퓨터 신호 연결에 쓰이는 극저온 세미리즈드 케이블 어셈블리 등 10여 종, 쏘닉스가 설계에서 시제품 개발에 필요한 공정설계 키트(PDK), 초이스테크닉스가 극저온 양자컴퓨터 마이크로웨이브 입출력 통신 및 센서 인터페이스를 전시했다.</p> <p contents-hash="f3e92695455c2baa3d19e1d2f9a0237ec3d7850f4aedfef0baf1c7d608d701c9" dmcf-pid="xw00xOdziy" dmcf-ptype="general">유니오텍은 레이저 다이오드 부품, 광포토닉스 디바이스 설계, 퀀텀인텔리전스는 양자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후보물질 발굴 최적화 플랫폼, 이소텍이 양자컴퓨터용 비자성, 초저온 커넥터 및 케이블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b740cef5ee9141be968e7dc0dbc23e1bc6a5e343d1e8a38ce4b1947935a7bf4c" dmcf-pid="yBNNy2HEiT" dmcf-ptype="general">이소텍 양자컴퓨터의 상, 하단에 들어가는 무자성 케이블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d94f6e185bc8b401a7d274f09a961b267d801e9dbb074f483b054e785383ed6c" dmcf-pid="WbjjWVXDMv" dmcf-ptype="general"><strong>양자 케이블 종류별로 미터당 10만~150만 원</strong></p> <p contents-hash="1961c63f0461bb8da822a9c710c0300e4a42323d4abbf9972725867732d7cb1e" dmcf-pid="YKAAYfZweS" dmcf-ptype="general">이소텍 신명용 부장은 "큐프로니켈로 만들어진 케이블은 미터당 10만~20만 원, NbTi로 만들어진 케이블은 미터당 150만 원에 이른다"고 부연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ad437f77b952e9380cf1de6506c2ca0b3e279e00c4c91b51bb63cf5aa6a6bf0" dmcf-pid="G9ccG45rMl" dmcf-ptype="general">양자통신 전문기업 큐심플러스는 통신용 통합 솔루션과 양자통신용 신호 발생 소형화 모듈인 큐심유닛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03b5e716d246dfcf6d3536c940e488ed50b53bb9dffce386e78f60f1bf3ad009" dmcf-pid="HfDDZPFOLh" dmcf-ptype="general">해외기업으로 핀란드 양자컴퓨터업체인 IQM은 3D 프린터로 제작한 양자컴퓨터 모형을 선보이며, 5큐비트 IQM 양자컴퓨터 원격 시연을 선보였다. 5 큐비트 양자컴은 지난 2월 충북양자연구센터에 설치돼 연구 및 교육용으로 활용 중이다.</p> <p contents-hash="d77ada2055aa5796b26c8c8b48a54064317d7f6331af093159c9d906bfa90771" dmcf-pid="X4ww5Q3IRC" dmcf-ptype="general">또 네덜란드 업체로 QPU를 개발하는 퀀트웨어는 25큐비트짜리 QPU를 공개했다. 5큐비트가 9만 유로 정도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QPU와 증폭기(TEPA) 등을 구입, 사용 중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125c49691164b2a48bfd527eaa459eb6024f34e9fa08cbd5ae7c29b56c8309c2" dmcf-pid="Z8rr1x0CiI" dmcf-ptype="general">김동호 메가존클라우드 양자컴퓨팅 사업총괄 부사장은 "양자 시장은 계속 확장, 진화 중이다, 시장 형성기로 보면 된다"며 "시간은 좀 걸릴지라도 현재는 소재·부품·장비를 중심으로 꿈틀거리는 움직임이 있다"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944a50550c0ebbd7ca33988a55312887e64787544ed595c933990beae5dd7c60" dmcf-pid="56mmtMphLO" dmcf-ptype="general">김 부사장은 또 "퀀텀코리아에서도 봤듯 전시 중심이 기업보다는 기관이나 대학, 지자체라는 것은 정부 예산이 어디로 쏠리고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며 "건전한 양자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부가 더욱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e706f3eb465c0e31a60064aaae5633ee447b2b9107986982af2e5eaad62b6c2" dmcf-pid="1PssFRUln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퀀텀코리아 ETRI 부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9862mxdp.jpg" data-org-width="638" dmcf-mid="VtGmtMphd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49862mxd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퀀텀코리아 ETRI 부스.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fe3729b5845e3ef819cdcbe458a120a384d8ba473b03ccd45a9f8489f932857" dmcf-pid="tQOO3euSe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네덜란드 퀀트웨어가 개발한 QPU."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51144phia.jpg" data-org-width="640" dmcf-mid="fgnfjXEQR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51144phi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네덜란드 퀀트웨어가 개발한 QPU.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a29b84b8149a5e6b9061a1e53081d4ba273f5018def4a72e48b33fc17dc1c5" dmcf-pid="FxII0d7vd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퀀텀코리아 개막식 공연 모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52376zeiy.jpg" data-org-width="640" dmcf-mid="4H7G9A41e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61452376zei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퀀텀코리아 개막식 공연 모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040e7e38dddd67db1378e976745d68593da24f720b699ccc6960cb1c7b45837" dmcf-pid="3MCCpJzTRw"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OOP에서 MSI 보면 더 재밌다 06-27 다음 송영환, 역도 남자 최중량급 용상 한국 신기록…243kg 06-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