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한국형 AI' 양성 본격화…"주인공은 민간, 정부는 핵심 조력자" 작성일 06-27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과기정통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추진…GPU·데이터·인재 확보에 방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SmUFUhLRr"> <p contents-hash="b61735ade2b5373053be9d5389717bb4d3e526819655317696dbbb4a8f6a46b2" dmcf-pid="8vsu3uloMw"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한정호 기자)<span>정부가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span><span> '독자 </span><span>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민간 자율성을 확대하고 경쟁형 지원 방식을 채택해 실질적인 국내 AI 생태계 자립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다.</span></p> <p contents-hash="a8335a532407f17917075b40bb95b87cf8b396673008e88608dae67be7c6c0dd" dmcf-pid="6TO707SgRD"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서울 역삼 포스코타워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국내 기업과 기관이 독자적인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가 그래픽처리장치(GPU)·데이터·인재 등의 자원을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사업 내용을 소개하는 자리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91780eb91364be2c49be3067463c31845d13545ba12610497f081c25bc22732" dmcf-pid="PyIzpzvad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기정통부 장기철 과장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71428025kfqb.jpg" data-org-width="640" dmcf-mid="2Phjojf5d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71428025kfq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기정통부 장기철 과장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2ad837c0b974e56002ce5d8c41474780b681048e8adf2997b9dbb634d9a402b" dmcf-pid="QWCqUqTNek" dmcf-ptype="general"><span>행사는 과기정통부가 주최했으며 이번 사업을 지원하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공동 주관했다.</span></p> <p contents-hash="ee59f0ba1003c23aa1b98bb8806a891b8056de8e566c64be7a1af7b2292754b9" dmcf-pid="xGlb7bWAec" dmcf-ptype="general">이날 설명회에는 카이스트·NC AI·코난테크놀로지·아마존웹서비스(AWS)·래블업·아하앤컴퍼니 등 다양한 기업·대학·실무진들이 대거 참석했다.</p> <p contents-hash="6b179fba8a2f3d783146a3464c825ce7afdb41eb3984ae352d760f9b20aa8f71" dmcf-pid="ye8rkrMULA"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장기철 과장은 "AI는 이제 기업뿐 아니라 국가 간 경쟁의 핵심"이라며 "정부는 기술 주권 확보와 AI 생태계 확산을 위해 GPU 구매, 데이터 확보, 인재 양성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3dde247faf0dc1b901902286e1f9328433d6b68442935088da2f63a0a12417ee" dmcf-pid="Wd6mEmRuLj"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최대 5개 정예팀을 선정하고 각 팀에 대해 3년간의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공모는 지난 20일부터 시작됐으며 접수 마감은 7월 21일 오후 4시다. 정예팀은 단독 또는 컨소시엄 형태로 지원할 수 있고 GPU·데이터·인재 중 1개 이상 분야에 대한 지원을 자유롭게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dfa04a426d350e27b88158294190ce49fe1b329d988d43a4a7dd0ce4a3f50ffe" dmcf-pid="YJPsDse7RN" dmcf-ptype="general">사업 추진 계획을 설명한 과기정통부 이현우 사무관은 "이번 사업은 단순히 모델 개발에 그치지 않고 오픈소스를 지향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글로벌 수준의 모델 성능 95% 이상을 달성하고 민간 주도로 전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방식을 취한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a553c607173ec37cf9d092abe60f01f0f8fe671cbc22b6c21ebbcf0098d7b2b" dmcf-pid="GiQOwOdzi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설명회 현장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71429314gsuw.jpg" data-org-width="640" dmcf-mid="VLFeQeuSi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71429314gsu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설명회 현장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8896988c1115aa557d786e2b6ce4bb1238b26305849b50bca85aa03f2efaf03" dmcf-pid="HnxIrIJqig" dmcf-ptype="general"><span>개발 목표 성능은 최신 글로벌 모델과의 비교 기준으로 정해지며 세부 모델 종류와 전략 수립은 전적으로 민간에 맡겨진다. 정부는 6개월 단위로 정예팀의 성과를 평가할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대국민 사용 평가, 오프라인 콘테스트, 전문가 활용 평가 등이 도입된다. 12월 말에 1차 단계 평가가 진행될 예정이다.</span></p> <p contents-hash="d6d586684efa64f72fd5275c91461400fec32e9b115c8801d612a0241ac9a6b2" dmcf-pid="XLMCmCiBio" dmcf-ptype="general">정부는 모델 성능과 활용성 외에도 오픈소스 공개 수준, 국민 AI 접근성 제고 방안, 공공·경제·사회 분야 기여도 등을 주요 평가 요소로 삼을 계획이다. 향후 선발된 정예팀 모델들은 'K-AI 모델' 인증 명칭을 활용할 수 있어 글로벌 진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86e60ca02afa4727886342e47369d6f5fa223444533f09fb5231ed5453ab38d5" dmcf-pid="ZoRhshnbJL" dmcf-ptype="general">지원 세부 내용에 따르면 GPU는 최대 H100 1천장, B200 500장까지 지원 가능하며 1·2차 연도는 임차 방식, 3·4차 연도는 구매 방식으로 NIPA가 주도해 진행된다.</p> <p contents-hash="58ecf4a7108f490c968066ea8ab95856fda988dd5f4a2779f0e2549ce405a343" dmcf-pid="5gelOlLKen" dmcf-ptype="general">다만 GPU 자원은 신청 물량에 따라 조정되며 일부 팀은 자원이 미배정될 수 있다. GPU 매칭 자부담률은 오픈소스 공개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기업 규모에 따른 현금·현물 부담 기준도 함께 적용된다.</p> <p contents-hash="7da2d041cc18c42e272872406d23dd1754d1e82b6bc110d55f5a7bb05c0e2f2c" dmcf-pid="1adSISo9ei" dmcf-ptype="general">데이터 부문은 NIA가 맡는다. 팀당 최대 28억 원 규모의 개별 데이터 구축 비용과 함께 100억 원 규모의 공동 구매 데이터가 제공될 예정이다. 구축된 데이터는 NIA가 지정하는 품질 검증 기관을 통해 검토받아야 하며 전체 구축량의 50% 이상은 개방이 의무화된다. 데이터 활용에 대한 학습 이력 증빙도 요구된다.</p> <p contents-hash="2523ee1ebf078b3090e7e0fa679fc24e607f0526769f9912f48b3d969f2f0241" dmcf-pid="tNJvCvg2MJ" dmcf-ptype="general">인재 부문은 IITP가 담당하며 해외 우수 연구자 유치가 주된 목적이다. 유치한 인력은 근로계약이 필수이며 국내외 어느 지역에서든 근무가 가능하다.</p> <p contents-hash="8e2051c6ac1b7f409a5595b215f1771fc53b97b5ad0f84bde11c2bc758af0c55" dmcf-pid="FjiThTaVid" dmcf-ptype="general">IITP 정재훈 팀장은 "총 사업비는 3년간 250억 원 규모로, 과제당 연간 10~20억 원씩 지원한다"며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으로 분류되며 사업 공고일 이후 채용한 인력만 인정된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92c79a52aa38bbe1ae74b591faa935e7e0734fa7c4026983e32e8aa0ca2398c" dmcf-pid="3AnylyNfi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기정통부 이현우 사무관 (사진=한정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71430634pkdh.jpg" data-org-width="640" dmcf-mid="fZbjojf5M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7/ZDNetKorea/20250627171430634pkd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기정통부 이현우 사무관 (사진=한정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8125b8c7f5b12018d133b45bc5086a75d18fcbd07c6b71f814c0b24d8c44295" dmcf-pid="0cLWSWj4eR" dmcf-ptype="general"><span>사업 평가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서류 적합성 검토 후 서면 평가 ▲발표 평가 ▲사업비 심의 및 협약 조정을 거쳐 최종 팀이 확정될 예정이다. 특히 발표 평가는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단이 진행하며 참여 기업은 영어 요약 사업계획서와 모델 시연 영상을 함께 제출해야 한다.</span></p> <p contents-hash="b1c29832a136046b9cbf6a4abf063f15aa298c98345d066c121b8633556f1ec8" dmcf-pid="pJPsDse7nM" dmcf-ptype="general">설명회 현장에서는 ▲모델 오픈소스 공개 수준에 따른 평가 반영 방식 ▲컨소시엄 내 기관 간 역할 비중 ▲GPU 자원 배분 기준 ▲데이터 라이선스 범위 ▲합성 데이터 활용 여부 등이 주요 질문으로 제기됐다.</p> <p contents-hash="87b27401772e1e6fa8c5e194c8e41802e8f5efcd45a754ff18bcd60f4f6966cf" dmcf-pid="UiQOwOdzix"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측은 "사업계획서에 제시된 전략에 따라 GPU와 자부담 구조는 유동적으로 조정된다"며 "합성 데이터도 활용 가능하고 품질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9cfea47932637f0d99f416f490f4b5e03ae92272ae06dc5cbdc4ebc458d2b6b3" dmcf-pid="unxIrIJqiQ" dmcf-ptype="general">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으로 개발될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이 필요시 향후 공공·산업 분야로의 도입이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98b28ef6d2dbf6f311266fd1aea0031d1e31e10754936c86ff2dd7ec4c59eb5" dmcf-pid="7LMCmCiBLP"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이현우 사무관은 "민간이 혁신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AI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정부는 자원을 제공하며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7266bfffbd4df3e80d350d04ac48315d6e1ecede6ad53ba9e7efd424a4b92c9" dmcf-pid="zoRhshnbi6" dmcf-ptype="general">한정호 기자(jhh@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산봉우리 이름부터 일출·일몰·행성 정보 한눈에…AR산지도 앱 활용법 06-27 다음 전쟁 멈추고 금리인하 압박하는 트럼프…빅테크는 웃는다 06-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