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원은 이미 아니다…로드FC 새 챔피언 뽑는다 작성일 06-27 22 목록 <div style="display:box;border-left:solid 4px rgb(228, 228, 228);padding-left: 20px; padding-right: 20px;">2022년 7월 최연소 챔프 박시원<br>제4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br>그해 12월에는 타이틀 1차 방어<br>2023년 제1회 글로벌 토너먼트<br>“토너먼트 시작=박시원 챔프 끝”<br>토너먼트 정복자가 챔피언 계승<br>제1회 토너먼트 우승 솔로비예프<br>제5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br>2025년 6월28일 제2회 결승전<br>박시원 솔로비예프 다음 챔프는?</div><br><br>대한민국 종합격투기(MMA) 단체 로드FC가 제4대 라이트급(70㎏) 박시원(23·다이아MMA)은 진작 왕좌에서 내려왔다고 밝혔다.<br><br>서울특별시 중구 장충체육관(4507석 규모)에서는 6월28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로드FC 73이 열린다. 박시원은 5분×3라운드 2부 제4경기 웰터급(77㎏)으로 윤태영(29·팀더킹)을 상대한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1_20250627200206647.png" alt="" /><em class="img_desc"> 박시원과 윤태영이 2025년 6월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컨벤션센터 로드FC73 2부 제4경기 공개 계체 촬영을 하고 있다. 박시원은 제4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을 지냈다. 사진(서울 홍은동)=천정환 기자</em></span><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2_20250627200206706.png" alt="" /><em class="img_desc"> 멘겐초오시 난딘예르데네와 카밀 마고메도프가 2025년 6월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컨벤션센터 제2회 글로벌 토너먼트 결승전 및 제6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결정전 공개 계체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 홍은동)=천정환 기자</em></span>로드FC73 2부 제5경기, 즉 박시원 vs 윤태영 다음 시합은 멘겐초오시 난딘예르데네(38·몽골)와 카밀 마고메도프(33·바레인/러시아)의 제2회 글로벌 토너먼트 라이트급 결승전이다.<br><br>우승상금 1억 원을 획득하는 토너먼트 우승자가 로드FC에서 정확히 어떤 위상을 갖는지, 2022년 7월 로드FC 라이트급 정상을 차지한 박시원과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되는지 궁금증을 낳고 있다.<br><br>김동욱 로드FC 본부장은 2025년 6월27일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컨벤션센터 MK스포츠 인터뷰에서 “제1회 글로벌 토너먼트 라이트급 시작과 함께 챔피언으로서 박시원의 타이틀은 끝났습니다”라고 답변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3_20250627200206755.png" alt="" /><em class="img_desc"> 제4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 박시원이 2022년 12월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에서 타이틀 1차 방어전 계체 통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김재현 기자</em></span><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4_20250627200206808.png" alt="" /><em class="img_desc"> 아르투르 솔로비예프가 2024년 4월 러시아 3위 및 유럽 7위 규모 종합격투기 단체 OFC 라이트급을 제패한 후 제1회 글로벌 토너먼트 우승 겸 제5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 벨트를 어깨에 멘 채 소감을 말하고 있다. 사진=Open Fighting Championship</em></span>제1회 글로벌 토너먼트 라이트급 일정은 2023년 6월 23일부터 10월29일까지 진행됐다. 우승자 아르투르 솔로비예프(31·러시아)가 박시원의 뒤를 이어 제5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이 됐다는 것이 김동욱 본부장 설명이다.<br><br>김동욱 본부장은 “박시원은 2022년 12월 타이틀 1차 방어 성공까지 제4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으로서 역할을 다했다. 제2회 글로벌 토너먼트 우승자가 제5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 아르투르 솔로비예프에 이어 제6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이 된다”라고 덧붙였다.<br><br>따라서 2025년 6월28일 멘겐초오시 난딘예르데네 vs 카밀 마고메도프는 제2회 글로벌 토너먼트 결승전과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결정전을 겸하게 된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5_20250627200206855.png" alt="" /><em class="img_desc"> 제4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 박시원이 2022년 12월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에서 타이틀 1차 방어 성공 후 울고 있다. 사진=천정환 기자</em></span>박시원은 로드FC 최연소 타이틀매치 참가 및 챔피언 등극 기록을 세웠다. 20세3개월20일은 당분간 깨지기 힘들어 보이는 업적이다. 이번 윤태영전은 아마추어 포함 종합격투기 데뷔 3004일(8년2개월21일) 및 16경기 만에 첫 웰터급 시합으로 관심을 끈다.<br><br>카밀 마고메도프는 러시아종합격투기연맹 시절 ▲2013년 전국선수권대회 웰터급 및 2015년 전국 컵대회 라이트급 우승▲ 2015년 북캅카스 연방 관구 대회 페더급(66㎏) 준우승을 차지했다.<br><br>2014년 남부 연방 관구 및 볼고그라드주(이상 라이트급) 2017년 니즈니노브고로드주 웰터급까지 러시아종합격투기연맹 주관대회를 4차례 우승한 화려한 아마추어 경력을 자랑한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6_20250627200206918.png" alt="" /><em class="img_desc"> 러시아 다게스탄공화국 출신 정체성을 드러낸 카밀 마고메도프 프로필. 사진=BRAVE Combat Federation</em></span>카밀 마고메도프는 프로 전향 후 2017년 ProFC(러시아) 그랑프리 준우승 및 2023년 Brave CF(바레인) 타이틀매치 등 라이트급에서 성과를 냈다. 브레이브는 ‘파이트 매트릭스’ 세계랭킹 103명을 보유한 글로벌 12위 및 아시아 5위 규모 단체다.<br><br>멘겐초오시 난딘예르데네는 제24회 아시아 아마추어복싱선수권대회 은메달리스트 및 사단법인 한국복싱커미션(KBM) 69.9㎏ 챔피언이다. 카밀 마고메도프를 꺾으면 제1회 글로벌 토너먼트 준우승의 아쉬움을 만회하고 상금 1억 원과 함께 제6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이 된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7_20250627200206965.png" alt="" /><em class="img_desc"> 멘겐초오시 난딘예르데네가 2019년 9월 대구체육관 로드FC 55 계체 통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김영구 기자</em></span><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역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div></strong>제1대 챔피언 남의철<br><br>제2대 챔피언 권아솔<br><br>제3대 챔피언 만수르 바르나위<br><br>제4대 챔피언 박시원<br><br>제5대 챔피언 아르투르 솔로비예프<br><br>제6대 챔피언 ?<br><br><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박시원 종합격투기 주요 커리어</div></strong>2017년~ 14승 1패<br><br>프로 10승 0패아마 04승 1패<br><br>KO/TKO 5승 0패<br><br>서브미션 3승 1패<br><br>2022년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br><br>2022년 로드FC 타이틀 1차 방어<br><br>2025년 웰터급 데뷔전 vs 윤태영<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8_20250627200207006.png" alt="" /><em class="img_desc"> 박시원이 2025년 6월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컨벤션센터 로드FC73 2부 제4경기 공개 계체 촬영을 하고 있다. 박시원은 제4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을 지냈다. 사진(서울 홍은동)=천정환 기자</em></span><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멘겐초오시 난딘예르데네 MMA 경력</div></strong>2014년~ 19승 10패<br><br>KO/TKO 16승 4패<br><br>서브미션 00승 3패<br><br>2021년 Dragon House(미국) 챔피언<br><br>2023년 로드FC 토너먼트 준우승<br><br>2025년 로드FC 토너먼트 결승전<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09_20250627200207051.png" alt="" /><em class="img_desc"> 멘겐초오시 난딘예르데네가 2025년 6월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컨벤션센터 제2회 글로벌 토너먼트 결승전 및 제6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결정전 공개 계체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 홍은동)=천정환 기자</em></span><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카밀 마고메도프 프로 MMA 경력</div></strong>2012년~ 19승 4패<br><br>KO/TKO 03승 0패<br><br>서브미션 15승 1패<br><br>2017년 ProFC(러시아) 그랑프리 2위<br><br>2023년 Brave(바레인) 타이틀매치<br><br>2025년 로드FC 토너먼트 결승전<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6/27/0001075873_010_20250627200207096.png" alt="" /><em class="img_desc"> 카밀 마고메도프가 2025년 6월 스위스그랜드호텔 서울컨벤션센터 제2회 글로벌 토너먼트 결승전 및 제6대 로드FC 라이트급 챔피언결정전 공개 계체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 홍은동)=천정환 기자</em></span>[서울 홍은동=강대호 MK스포츠 기자]<br><br><!-- r_start //--><!-- r_end //--> 관련자료 이전 이효리♥이상순→제아, 제주살이 끝내고 서울 돌아온 ★ [리-마인드] 06-27 다음 장갑으로 터치?…43년 만의 황당 ‘아웃’ 06-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