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사이언스]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작성일 06-28 3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물보라 일으키는 '마누 점프' 분석…"V자 입수, 물에서 몸 펴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79s77SgF9">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10de32035139b5ee0f1a3441fd4a89b0658022fa28428ebdd72a3e5e5efb44e" dmcf-pid="Gz2OzzvaF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마누 점프의 입수 자세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8/yonhap/20250628080134472qjnq.jpg" data-org-width="512" dmcf-mid="QxWMhhnb3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8/yonhap/20250628080134472qjn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마누 점프의 입수 자세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587ab743cb045cf8fc3d2d463401add6342617b7d55d51f0e9dd09af38c6b94" dmcf-pid="HqVIqqTN3b"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더운 여름 수영장에 뛰어들며 누구보다도 크고 높이 튀는 물보라를 일으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p> <p contents-hash="c3c0ed255c8a6a879d1395813998bbcd49217f1370213112a27a9844b0dfb57e" dmcf-pid="XBfCBByjuB" dmcf-ptype="general">물보라를 최대한 줄이는 올림픽 다이빙과 달리 뉴질랜드에서는 물에 뛰어들며 최대한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마누 점프'가 유명하다.</p> <p contents-hash="afec27016afffe76f185cf5f95015608300a520bb74d76fb02cc6bff0b4a95b8" dmcf-pid="Zb4hbbWApq" dmcf-ptype="general">매년 대회까지 열리며 최고 10m 높이의 물보라 기둥이 기록일 정도로 거대한 물보라를 만드는 이 스포츠의 비밀을 과학자들이 풀어냈다.</p> <p contents-hash="f0e9820cff6db3414390251120a9b0afb12165a9abf958522fb015de71fcc280" dmcf-pid="5K8lKKYcUz" dmcf-ptype="general">미국 조지아공대 사드 밤라 교수 연구팀은 마누 점프의 원리를 유체역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점퍼들이 물에 빠질 때 몸을 'V'자로 만드는 데 비밀이 있다는 것을 알아내 최근 국제학술지 '인터페이스 포커스'에 발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e0f28731d74dad3d61d112f49d3f7b093b3e4b7619f320be695acc5691fbf13" dmcf-pid="196S99Gk0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마누 점프에서 큰 워싱턴 스플래시를 일으키는 모습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8/yonhap/20250628080134790oktl.gif" data-org-width="320" dmcf-mid="xPn5MMphu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8/yonhap/20250628080134790oktl.gif" width="320"></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마누 점프에서 큰 워싱턴 스플래시를 일으키는 모습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599f2e51f5ebbe9b1c748640e6d7356e9e0eb153112060328e73511eb3dfa99" dmcf-pid="t2Pv22HEFu" dmcf-ptype="general">다이빙할 때 발생하는 물보라는 몸이 수면을 뚫고 나올 때 왕관 모양으로 물이 튀는 '크라운 스플래시'와 이후 강력한 물줄기가 공중으로 높이 솟구쳐 오르는 '워싱턴 스플래시'로 나뉜다.</p> <p contents-hash="e5fd50e12f7d8faa60f1894e2806ab33c058f82be2966d075bca0c99e2006139" dmcf-pid="FpBwppCn7U" dmcf-ptype="general">마누 점프는 이 중 워싱턴 스플래시를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p> <p contents-hash="59c0f62dae90415c5dc05081b7107dac05985c02738ffb9942b76913c39532b2" dmcf-pid="3UbrUUhL7p"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마누 점프 유튜브 영상 75개를 분석한 다음 연구원들을 수영장으로 데려가 50차례 이상 점프하며 움직임을 포착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f8fe954d649dae18c970993b15885f55e8eb814581d623ebe37dd62036a4740" dmcf-pid="0uKmuuloF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마누 점프의 원리 [조지아공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8/yonhap/20250628080135127gsel.jpg" data-org-width="500" dmcf-mid="yfiZxx0CU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8/yonhap/20250628080135127gse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마누 점프의 원리 [조지아공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a8adb6cae7b4addede97f6551d9814a1d74ea1a1800d57624757d3c6fb1e1c3" dmcf-pid="p79s77Sg73" dmcf-ptype="general">그 결과 점퍼들은 공통으로 다리와 몸통을 V자로 만든 채 엉덩이부터 떨어지는 방식으로 다이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8827d477557cb2e22a777b14b5d82878c26e475cbf12ed92252baa6fe2252da8" dmcf-pid="Uz2OzzvaFF" dmcf-ptype="general">하지만 입수하는 순간 상체를 뒤로 젖히고 몸을 펴면서 몸이 물속에 만들어내는 공기 공간을 최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c310f99e3072b9ae4fb0c902a565512aa9f5c53cc5faf3a31175f72daf40126a" dmcf-pid="uqVIqqTN0t" dmcf-ptype="general">이 공기 공간이 무너지면 워싱턴 스플래시가 발생하는데, 공간을 최대로 키워 물보라의 크기도 늘리는 것이다.</p> <p contents-hash="e073a3de4299fdf7f03c6e85f121fa25cce8131a510b0d440462836f2c86fd1e" dmcf-pid="7BfCBByj01" dmcf-ptype="general">연구팀의 최대현 박사후연구원은 3차원(3D) 프린팅으로 V자로 몸을 접었다 펼 수 있는 손 크기 로봇 '마누봇'을 만들어 적합한 각도를 분석했다.</p> <p contents-hash="41bbdafe4967fdf7eaaf826893244ea7c0a439717eb9aa6812b658533dfd699e" dmcf-pid="zb4hbbWA05" dmcf-ptype="general">그 결과 몸의 각도가 45도를 유지하며 수면에 닿을 때 가장 물보라가 크게 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점퍼들이 평균 46도로 몸을 접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f38dd74716feb422578fa0e50a78a2e6fe0b8fb0906112b5eba07ce8c4e05a3" dmcf-pid="qK8lKKYc7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마누봇을 통해 분석한 입수 각도별 물보라 차이 [조지아공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8/yonhap/20250628080135341jxao.jpg" data-org-width="500" dmcf-mid="WXfCBByj3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8/yonhap/20250628080135341jxa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마누봇을 통해 분석한 입수 각도별 물보라 차이 [조지아공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01cf154d9604ee78edadda8c3605ea5297298ae3bbba415b8cc5de9cdb70a84" dmcf-pid="BK8lKKYcuX" dmcf-ptype="general">몸을 펴는 타이밍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5c7eda259b0d4dfdd9507be90af31aec667cefd6dbc8e6ee1c11c7fd628603ea" dmcf-pid="b96S99GkFH" dmcf-ptype="general">키가 165㎝인 사람이 1m 높이에서 점프할 때 물에 닿은 후 0.26~0.3초 이내에 몸을 젖혀야 가장 큰 물보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1ff27e6a61996f4c0cd533800f7094fa9e6adc9e2f8b84aa52968fa47594217a" dmcf-pid="K2Pv22HE0G" dmcf-ptype="general">3m 높이에서 점프했을 때는 0.14~0.15초 이내에 이뤄져야 하는 등 점프 높이가 높을수록 상체를 뒤로 젖히는 행동이 빨라져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p> <p contents-hash="4bad51dfac01bc44c573f4634057f4b54e1d4dc4a4b2283612d1f2d022993e2e" dmcf-pid="9VQTVVXD7Y"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마누 점프가 착지자세를 잘못 잡거나 하면 등이 물을 때릴 수 있고, 실제로 팀원 몇 명도 다쳤다며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e2fa207f1c3007107d4f7959f40c2e6e61f385f3fd0a929ced5f0968d8ff38d" dmcf-pid="2fxyffZwpW"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45도 이하로 허리를 굽혔을 때도 부상 위험이 있고 높은 고도에서 V자 형태로 다이빙하는 건 척추에 위험할 수 있다"며 "향후 수상 스포츠 관련 안전 권고에 다양한 형태의 다이빙을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543a9b090cebe2a262d0a764c15057a7dfdbc4734134e0f92f90521f4ec494d" dmcf-pid="V4MW445rzy" dmcf-ptype="general">shjo@yna.co.kr</p> <p contents-hash="aa470b700b54b8cedf191e17bb35462851b09fe5744cb1324b05b940ba650710" dmcf-pid="46eG66tsuv"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표지로 읽는 과학] 올챙이 뇌에 전극 이식해 뇌 형성 추적 06-28 다음 '팀 킴' 꺾은 주니어 챔피언·'팀 5G' 몰아 세운 '팀 하', 한국 여자컬링의 미래가 밝다 [IS 포커스] 06-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