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보다 100배 정확'…LG유플러스, 버스·철도에 초정밀측위 도입 속도 작성일 06-29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GuaEpCnX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57593bc48b061ce764cd8a2a74ae6d5f13f68e55b1dead382b60826ad38383c" dmcf-pid="uH7NDUhLZ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G유플러스 관계자가 RTK가 적용된 사례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etimesi/20250629090247660yjlo.jpg" data-org-width="700" dmcf-mid="pmuaEpCnH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etimesi/20250629090247660yjl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G유플러스 관계자가 RTK가 적용된 사례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548c0cb490fbea5964288ed417f142365d0da84f375c3fe33d0d61cebf31807" dmcf-pid="72dyZRUlGO"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가 초정밀측위(RTK) 기술을 활용한 위치정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RTK는 센티미터(㎝) 단위의 고정밀 위치보정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LG유플러스는 이를 구독형 상품으로 출시해 공공분야 수주에 나서는 등 기업간거래(B2B) 부문 새로운 먹거리로 키운다는 구상이다.</p> <p contents-hash="dbbb8c38a210bb0c6b43acad151113a916820f20dcba261a1300ecd0ea7c8843" dmcf-pid="zVJW5euSts" dmcf-ptype="general">29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최근 충청남도 공주시 시내버스 운행정보 고도화 사업을 수주했다.</p> <p contents-hash="6790726902fecbfe2c37cfb8823598c3c9c93beffec1966f6397428b5e20a6d5" dmcf-pid="qfiY1d7vYm" dmcf-ptype="general">사업은 RTK 기술을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에 초정밀 위치기반 버스정보시스템(BIS)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공급 물량은 시내버스 67대로 수주액은 10억원 규모다.</p> <p contents-hash="281ecb1e6a372d3739648ac2f9f42de8b75d88dee27f070e97559e874e0e62a2" dmcf-pid="B4nGtJzTZr"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가 공급하는 'U+초정밀측위'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신호에 지상 기준국 보정값을 더해 센티미터(cm) 단위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통신사 기준국 기반 전국 인프라망을 기반으로 차량의 위치, 속도, 주행 방향까지 정밀하게 파악 가능하다.</p> <p contents-hash="cc40986e5da8e090438d37dd2af6cdb92438c4b5ea15d95752cd499ec6d4f689" dmcf-pid="b8LHFiqyXw" dmcf-ptype="general">기존에는 RTK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기준국과 플랫폼을 별도 구축해야 했지만 LG유플러스는 이를 종량제 요금 형태의 구독형 상품으로 출시해 초기 비용 부담을 낮췄다.</p> <p contents-hash="bdeffd8787201b083298c2effb208755a48e07bfa9456a65ad957802da6cc28c" dmcf-pid="K6oX3nBWYD" dmcf-ptype="general">GPS로 대표되는 기존 GNSS방식은 오차범위가 15m인 반면, RTK는 위치측위 오차를 실시간 보정해 ㎝급의 고정밀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GPS에 비해 100배 이상 정밀도가 높아 시내버스나 철도 차량의 실시간 위치 파악 및 도착 예측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e41b50edb441adf8e266ce91c0c7953c89c078649182f083a4592209efbf24c1" dmcf-pid="9PgZ0LbY5E"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는 공주를 시작으로 구독형 초정밀 버스시스템 확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버스를 포함한 철도 등 공공교통 시장뿐 아니라 드론, 자율주행 농기계 등 모빌리티 분야 공략에도 본격 나선다. 구미, 경산, 충주 등 주요 지자체에서도 관련 사업을 잇달아 발주했다.</p> <p contents-hash="6068d29324e30ace241b6bfdf2bd79fa25b67626e80fc30f84143649a7c3a34d" dmcf-pid="2Qa5poKGZk" dmcf-ptype="general">특히 KTX와 같은 고속철도에 RTK 기술을 도입하면 터널이나 고가 구간에서도 정확한 위치 추적과 작업자의 안전 관리도 가능하다. 실시간으로 열차 간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하거나 이상 상황 발생시 관제센터가 정확한 위치 기반으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자율운행 기반 철도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도 주목된다.</p> <p contents-hash="c3e88e0040bde147eed2fc0f5e7db9bad263aa17f6789f857043803c22d44527" dmcf-pid="VxN1Ug9HXc" dmcf-ptype="general">지자체 입장에서도 RTK를 통해 교통 편의성과 시민 만족도 제고뿐만 아니라 행정 효율화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버스 배차 간격이 넓거나 정류장 혼잡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실시간 위치정보 기반 시스템을 통해 시민 대기 불편을 줄이고 교통 정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p> <p contents-hash="d4f7a0004deac91cda608bb8eb2bb15ae15a6d3b8adea0873e530fd8a0a97cc6" dmcf-pid="fMjtua2X1A"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는 교통수단 이외에도 항만 내 컨테이너 이동 차량, 크레인 등 물류 인프라에도 도입을 추진한다. 현재 농기계 자율주행 솔루션에 초정밀측위 서비스를 접목하고 있으며, 드론의 비가시권 비행과 도심 내 안전 모니터링, 노후 기반시설의 변형 감지 등에도 기술을 활용 중이다.</p> <p contents-hash="3d21c19d26745686206ccde0948780f468340e780096b097bf49d34c421ca4f1" dmcf-pid="44nGtJzTYj"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 관계자는 “공공 교통, 재난안전, 스마트농업 등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는 핵심 인프라로 RTK 기술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dee770ae8863012c85ad3ebd579524e4d2d06c67fcccf1a416a3fd79a198a5ab" dmcf-pid="88LHFiqyZN" dmcf-ptype="general">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상록수 속 물질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수명을 높인다 06-29 다음 가민코리아 넬슨 첸 “러닝 열풍 韓 시장 본격 확대… 생태계 구축 속도” 06-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