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A, AI 접목 ‘제로터치 네트워크’ 등 39건 표준 채택 작성일 06-29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 기반 네트워크·교육·산업·안전·여가까지<br>디지털 포용 사회 위한 기반 마련</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2MIujf5l8"> <p contents-hash="5b4ccf9fb6760013661c641c30ee27876b68ca3e5ff93201c2cb598797958811" dmcf-pid="2VRC7A41W4"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회장 손승현)는 지난 27일 열린 제107차 정보통신표준총회에서 총 39건의 정보통신단체표준(TTA표준)을 신규 채택했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0d78d4541fc60f5ed59ffe34f84977b8dde4d4b0da48f0c5463716a70ab07620" dmcf-pid="Vfehzc8tTf" dmcf-ptype="general">이번 채택안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네트워크 자동화, 고등교육, 철강·수산 산업뿐만 아니라 범죄 피해자 안전, 전기차 충전, 스쿠버 다이빙 등 국민 삶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겨냥한 내용이 다수 포함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9d2a51ce5e82a52a3a8477a29d3c31ef31dd87007860307e01a557976d38a2c" dmcf-pid="f4dlqk6FC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107차 정보통신표준총회 사진. 사진=TTA"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Edaily/20250629112907176ydlc.jpg" data-org-width="670" dmcf-mid="KWCzLZDxy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Edaily/20250629112907176ydl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107차 정보통신표준총회 사진. 사진=TTA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f83f27311682ddaedfe803e60c99ce88b2a5261fc294128cc9c0a81a2bd735d" dmcf-pid="4sy2A0Iiy2" dmcf-ptype="general"> <strong>차세대 AI 네트워크 ‘제로터치’ 본격 도입</strong> <br> <br>이번 표준 채택 중 주목할 기술은 AI가 네트워크를 스스로 관리하는 ‘제로터치 네트워크 및 서비스 관리(ZSM)’다. <br> <br>ZSM은 네트워크 디지털 트윈과 의도 기반 자율 운영을 통해 ▲운영비용 절감 ▲서비스 품질 향상 ▲보안 강화 등 미래형 지능형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br> <br>이와 함께 고정밀 통신을 위한 ‘DetNet MPLS 데이터 평면 운용’도 표준화되었다. 시간 확정형 네트워킹(DetNet)을 위한 패킷 손실 최소화와 정시 전송 기능을 보장해 산업용 및 고신뢰 네트워크 운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r> <br><strong>교육·산업 전반으로 AI 확산</strong> <br> <br>‘AI 기반 고등 교육 지원 시스템’ 표준은 교육기관 간 상호운용을 보장하고, AI 도우미를 활용한 맞춤형 학습을 가능케 해 학생 역량 강화와 학습 효율 제고를 꾀한다. <br> <br>산업 측면에선 철강 기업 간 데이터 공유를 위한 ‘철강산업용 메타데이터 표준’과, 스마트 수산양식 시스템 구동기 데이터 구조 등이 포함됐다. 이는 기존 제조 기반 산업의 AI 도입을 촉진하는 기술 기반으로 기능할 전망이다. <br> <br><strong>‘디지털 포용’ 기술도 다수 포함</strong> <br> <br>TTA는 이번에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는 ‘PDF 접근성 가이드라인’ ▲범죄피해자 위치추적 플랫폼 요구사항 ▲20kW급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 ▲스쿠버 다이빙용 지능형 부력 제어 시스템 등 국민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분야의 표준도 함께 제정했다. <br> <br>‘범죄피해자 위치추적 플랫폼’은 긴급상황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가능케 하며, ‘지능형 부력 제어 시스템’은 안전한 수중 활동과 기술 고도화를 이끄는 핵심 표준으로 평가된다. <br> <br>TTA 손승현 회장은 “AI, 통신, 네트워크뿐 아니라 국민 일상 속 ICT 융합 표준까지 아우르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나갈 것”이라며 “민간 기술이 공공기반 인프라로 확산되도록 표준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br> <br>표준총회 오승필 의장(KT)도 “이번 표준들은 AI 전환(AX)의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며 “정부, 산업계, 학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기술 표준 생태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br> <br>김현아 (chaos@edaily.co.kr)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세븐’ 데이빗 핀처, 미국판 ‘오징어게임’ 스핀오프 12월 촬영 돌입[해외이슈] 06-29 다음 ‘101세 어르신, 3대 가족 출전’ 실버태권도 페스티벌, 청주서 개최 06-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