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로봇 팔이 소재 설계에서 완성까지…재료연 오토노머스랩을 가다 작성일 06-29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 기반 전주기 자동화 연구…신소재 개발 기간 획기적으로 단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A4qD7Sg0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5110e04a5d026a5edd58520b1e5711ef7f83e6bf2cd4c39f5a4ee81ac25be33" dmcf-pid="bc8Bwzva7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재료연 오토노머스 랩 [촬영 박주영]"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yonhap/20250629120143775pceg.jpg" data-org-width="1200" dmcf-mid="URaeGMph3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yonhap/20250629120143775pce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재료연 오토노머스 랩 [촬영 박주영]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02b6ac613ea9253a3cc16c173cbc6913925102b2331cdac83d46b6522d8a5a9" dmcf-pid="Kk6brqTNuI" dmcf-ptype="general">(창원=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인공지능을 이용해 신소재 설계에 필요한 연구개발(R&D) 사이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p> <p contents-hash="302c9e1177e0c92b144f68fd41eebb6cabe2d2f56f3ff8132d43532c3ae9afdd" dmcf-pid="9EPKmByj7O" dmcf-ptype="general">지난 26일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 내 무인 실험실 '오토노머스 랩'(Autonomous Lab)을 찾았다. </p> <p contents-hash="55fe6a6f93ffaf1df6bce90d7d28b5824eb090af4fc56cc8e0ced0967f518dcd" dmcf-pid="2DQ9sbWAFs" dmcf-ptype="general">오토노머스 랩은 소재 투입에서부터 완성 합금 제품 생산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전주기 자동화 연구 시스템이다. </p> <p contents-hash="e553742c429cde09a7c722b1e99a56bbd8707c08c5527ff0d863eb3fd2cf84cd" dmcf-pid="Vwx2OKYcum" dmcf-ptype="general">로봇 팔이 금속 샘플을 투입하면 두꺼운 소재를 얇게 펴는 압연공정을 거쳐 고출력 레이저 가공기로 금속을 원하는 모습으로 성형한다. </p> <p contents-hash="7cede5674c802d392879d6477f117bac19e0cc399b62be5df5c9a4ea04d580ff" dmcf-pid="fA4qD7Sg7r" dmcf-ptype="general">고온에서 금속을 녹이고 형상화하는 과정은 AI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반복 실험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p> <p contents-hash="054ad8322f5d03c3d7fb6c493bafe032a92899b9515b11b7e0e41dc18d2184cf" dmcf-pid="4c8Bwzva7w" dmcf-ptype="general">이어 적외선 파장을 사용하는 고출력 레이저에 의해 금속이 급속으로 기화되며 절단되는 과정을 거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895d00789602e52285db47f9ea3a3ca3cecdc1b67179a5f5441be5f3a1b47c6" dmcf-pid="8k6brqTNu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압연 공정 설명하는 재료연 연구원 [촬영 박주영]"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yonhap/20250629120144094aqsz.jpg" data-org-width="1200" dmcf-mid="HahDqk6F7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yonhap/20250629120144094aqs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압연 공정 설명하는 재료연 연구원 [촬영 박주영]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d21cf13a1bd35475000a646097797027988453182b179d268cda7c59bcf90d8" dmcf-pid="6EPKmByjUE" dmcf-ptype="general">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해 부상 가능성과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레이저 가공 시에도 접촉 없이 국소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기계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p> <p contents-hash="5cf1ca7d2df419063dd3cdcebe60e56f7567fbcd1de0c9da1ff7cef3dbac22a1" dmcf-pid="PDQ9sbWApk" dmcf-ptype="general">이어 만능 인장시험기를 통해 파단(끊어짐)에 이를 때까지 인장 강도를 측정한다. </p> <p contents-hash="d1dec1531b807c361a607c264344270a9eb6897908d4e3bae32a005af3e1bcf1" dmcf-pid="Qwx2OKYczc" dmcf-ptype="general">이전까지는 일일이 수기로 해체 작업을 거쳐야 했으나, 자동화 설비를 통해 하루 100∼200개의 물성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9f350f5040f5edfe66d05d828d96f8bbe652be5042c5893512f97c554dd07641" dmcf-pid="xrMVI9GkUA" dmcf-ptype="general">실험실은 1천200만 화소 카메라로 더 넓은 면적에서 다양한 각도로 부품 형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3차원 부품 스캐너도 갖추고 있다. </p> <p contents-hash="d703efd2c36a6c8e949011371e96d7e49b621c0494a1296550771fbe0c56ac44" dmcf-pid="ybWIVse7Uj" dmcf-ptype="general">로봇팔이 다양한 각도로 카메라를 조절해 빛에 의한 왜곡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p> <p contents-hash="96f6498da2990951a58ca04563a7890097a33431732df6d2064676b2845effcd" dmcf-pid="WKYCfOdz3N" dmcf-ptype="general">기존에는 고온에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금속 합금 하나를 개발하는 데 수개월, 길게는 수년이 걸렸다. </p> <p contents-hash="766c4a923e46d0b3a805a173951dbcd12a33ee37c0d1c162f0ac7191269c1979" dmcf-pid="Y1rN0g9Hua" dmcf-ptype="general">오토노머스 랩을 활용하면 신소재 개발 실험을 몇 주 안에 끝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864d36d6b4946d92311e418d61ff7cb7fd0b07257ec2fc6dff26688363f50ae9" dmcf-pid="Gtmjpa2Xpg" dmcf-ptype="general">수천가지 조합 중 가능성이 가장 높은 조건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AI 기반 실험 설계와 시편 제작부터 측정까지 모든 실험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 자동화·로봇 핸들링 시스템, AI가 실험 결과를 즉시 분석하고 다음 단계의 실험 방향을 스스로 정하는 실시간 데이터 분석 기술이 적용됐다. </p> <p contents-hash="db87096d1371037e37574d9120b4989c4a1f5095744635ae4965f83436a151b0" dmcf-pid="HFsAUNVZ3o" dmcf-ptype="general">연구원은 2022년부터 3년에 걸쳐 이런 전주기 자동화 연구환경 구축을 완료했다. </p> <p contents-hash="216b693b39f543525f6bdc77fc8283cf9b1688190f071b4b838938b8da32c9d4" dmcf-pid="X3Ocujf5zL" dmcf-ptype="general">다만 완전한 전자동화 시스템 실현을 위해 추후 글로벌 톱 전략연구단 사업 등을 통해 소재 운반까지 가능한 로봇 레일 구축을 추진한다. </p> <p contents-hash="a1a9204f040381be25c1b769492a4d26c21b7a0ffaf08e11ab3e3897772fc426" dmcf-pid="Z0Ik7A417n" dmcf-ptype="general">유봉선 재료연 부원장은 "반도체·이차전지·우주·국방 등 초정밀 신소재를 필요로 하는 첨단산업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e677df2e63a3d77d89974329eb558a1da085d9959655bd630925dcc8bc608ad" dmcf-pid="5pCEzc8tU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만능 인장시험기 [촬영 박주영]"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yonhap/20250629120144296lyoy.jpg" data-org-width="1200" dmcf-mid="XdgRYx0CU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yonhap/20250629120144296lyo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만능 인장시험기 [촬영 박주영]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11ab9659351c007a176b38b77e2bbfe98859a184f1159eaa8be87b26817182b" dmcf-pid="1UhDqk6FzJ" dmcf-ptype="general">jyoung@yna.co.kr</p> <p contents-hash="0f8c87f3a52f28346487bf0a32cb73028b72f1ecf80d6eb18ab4b03914faa97c" dmcf-pid="F7SrbDQ07e"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ISA “로봇청소기가 욕하고 거실 사생활이 다크웹에?… IoT 보안인증제도 활성화 노력” 06-29 다음 사물인터넷 보안인증, 해외 호환작업 돌입…제조사 부담 던다 06-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