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 '자일로스'에서 자일론산·자일리톨 동시 생산 작성일 06-29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화학연, 친환경 촉매·지속가능 분리공정 개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HWk7A41TO"> <p contents-hash="49bce8a42f9e49947e77c38375deaa21300a2b75003969b92d99f1df01690abd" dmcf-pid="UXYEzc8tCs"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진이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실온에서 당분인 자일로스를 자일론산과 자일리톨로 동시에 생산하는 친환경 촉매·지속가능 분리공정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bec1ae228c05cefe848a8a1e05b52941802afac07a5e189bf4cae95f749650ea" dmcf-pid="uZGDqk6Fvm" dmcf-ptype="general">한국화학연구원은 황영규·김지훈·오경렬 박사 연구팀이 백금 촉매 기반 전이 수소화 반응으로 자일로스를 고부가 유기산·당알코올로 동시에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88acdbda33ad997cf418cf7fd426782f93c5974e888b684828847bfe616b859" dmcf-pid="75HwBEP3h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주요 논문 기여자.(왼쪽 아래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노유림 학생연구원, Ali Awad 학생연구원, 황영규 책임연구원, 김지훈 선임연구원, 오경렬 선임연구원.(사진=한국화학연구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Edaily/20250629120010412lzcu.jpg" data-org-width="670" dmcf-mid="0eAPv81mW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Edaily/20250629120010412lzc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주요 논문 기여자.(왼쪽 아래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노유림 학생연구원, Ali Awad 학생연구원, 황영규 책임연구원, 김지훈 선임연구원, 오경렬 선임연구원.(사진=한국화학연구원)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51636d40098a03cc0cbe3b1ce19a408d0f43af2f53618c39e73a789e79447387" dmcf-pid="z1XrbDQ0yw" dmcf-ptype="general"> 최근 농업 폐기물 등 바이오 자원으로 화학제품을 만드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옥수수 심지, 자작나무 껍질 등에서 얻게 되는 ‘자일로스’라는 당분은 여러 화학제품의 중간 원료로 쓸 수 있다. 자일로스에서 ‘자일리톨, 자일론산’을 만들면, 각각 설탕 대체용 감미료·바이오플라스틱, 의약품에 활용할 수 있다. </div> <p contents-hash="c6ade52fcc799c92844935ff993140527a2035d9b32ebfe0cd5704da736aa174" dmcf-pid="qtZmKwxplD" dmcf-ptype="general">하지만 기존 자일로스 기반 공정은 고온·고압의 환경에서 수소나 산소를 투입해 생산해 에너지가 많이 필요했다.</p> <p contents-hash="95b1a22a69a18487df2cb04b73756e5e5ffc08a2e8368958480830a5a5f46a92" dmcf-pid="BF5s9rMUlE" dmcf-ptype="general">이에 연구팀은 자일로스를 동시에 산화(자일론산 생산)하고, 환원(자일리톨 생산)시키는 ‘전이 수소화 기반 일괄반응’ 기술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512cb904f07c6de2245fd6f9ea37bdaa38f40175b11ae793b8c6195956822e9e" dmcf-pid="bTla3oKGTk"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올해 3월 논문에서 지르코니아 지지체에 백금 나노입자를 고르게 분산시킨 촉매를 선보였다. 지르코니아가 백금을 잘 붙잡는 역할을 하며 다섯 번 넘게 재사용한뒤에도 80% 이상의 높은 전환율을 유지해 일반 탄소 지지체 대비 우수한 촉매 수명을 나타냈다.</p> <p contents-hash="72e4fa2070260cf0eebae4fd19848bac17c04a91a01c4d02dd4996cc00869420" dmcf-pid="KySN0g9HWc" dmcf-ptype="general">신규 촉매와 함께 상온·상압에서 물·수산화칼륨·고농도의 자일로스 용액을 반응시키면 자일론산·자일리톨을 각각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소 전이 효율 100%를 기록했다. 올해 4월에는 저에너지 통합 공정도 발표했다.</p> <p contents-hash="e5ff6f5e06a2c3fcd5b3fd584ddbd3cfd2ad30671684289732b6c5d36e6edf91" dmcf-pid="9Wvjpa2XvA"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후속 연구로 연속식 시스템으로 확장시켜 탄소중립형 바이오화학공정 실증을 할 계획이다. 황영규 화학연 센터장은 “상온 바이오매스 전환 촉매 기술과 친환경 분리공정을 바탕으로 국내 미이용 바이오매스, 폐플라스틱 활용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dbe79f3b8cba7906ca7d6375b890726af08d1b563a74a1b0122c66ade9d3944" dmcf-pid="2YTAUNVZvj" dmcf-ptype="general">연구 결과는 지난 3월과 4월 각각 국제 학술지 ‘켐서스켐(ChemSusChem)’과 ‘에이씨에스 서스테이너블 케미스트리앤엔지니어링(ACS Sustainable Chemistry&Engineering)’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p> <p contents-hash="64002dc1a356e69dbed6241e9d61fd6ee8a3ae8d1b5b12859ffb246588906cd1" dmcf-pid="VGycujf5TN"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초신성' 김영원, 하나카드 챔피언십 128강서 '방콕 AG 동메달리스트' 김정규와 격돌! 06-29 다음 과기정통부, '생활 속 전자파 바로알기' 공모전 개최 06-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