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별 세상’에는 뜨거운 목성도 쌍둥이로 태어난다 [아하! 우주] 작성일 06-29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Xxuj45rsd"> <p contents-hash="9393c24f81c196ce23f4d2b27f8b3d8042433322e2c62af7e6a7a57a39e0b71f" dmcf-pid="bZM7A81mOe" dmcf-ptype="general">[서울신문 나우뉴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332c68a8efe635b8681d8fa1a9975fb80b92e1656fc19b397b2717bdfd3ea5c" dmcf-pid="K5Rzc6tsE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쌍성계 주변 뜨거운 목성형 행성. 출처=마이클 헬펠바인 AI 생성 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seoul/20250629155433132lsut.jpg" data-org-width="580" dmcf-mid="q9iKwMphr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seoul/20250629155433132lsu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쌍성계 주변 뜨거운 목성형 행성. 출처=마이클 헬펠바인 AI 생성 이미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cc937347b7cd504ac27f89f9cef36bcfdd665fa24e2d81afb4ad1db2980a0b4" dmcf-pid="9gXrqyNfIM" dmcf-ptype="general">천문학자들은 몇십 년 동안 6000개가 넘는 외계행성을 발견했다. 처음 발견한 행성들은 별에서 매우 가깝고 목성보다 큰 행성으로 태양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형태의 행성들이었다. 과학자들은 이들 행성을 뜨거운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했다.</p> <p contents-hash="66af1ae521b59ec48f49562730ce8b74ae17f39fe7388c5ac0f2c2ec3be3f1a5" dmcf-pid="2aZmBWj4mx" dmcf-ptype="general">이후 과학자들은 지구와 비슷한 암석 행성을 비롯해 슈퍼지구형 외계행성, 미니 해왕성형 외계행성 등 다양한 외계 행성을 발견했지만, 뜨거운 목성형 행성은 여전히 과학계에서 뜨거운 감자로 많은 논쟁과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기존의 행성 생성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천체이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3379692b5d435b8e1aed7ba46209c094bebf014340289c78cbb7d3c720aa9d9f" dmcf-pid="VN5sbYA8sQ" dmcf-ptype="general">행성은 갓 태어난 별 주변의 가스와 먼지구름인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태어나는데, 별에 가까운 곳에서는 강한 항성풍과 높은 온도로 인해 가스와 먼지가 뭉쳐 행성을 형성하기 힘들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이론적으로 예측됐을 뿐 아니라 실제 관측을 통해서도 밝혀졌다.</p> <p contents-hash="b5adc9e3d599a9e9594e9a6360f2bfbf896dc0ad22dcd01f058d44423c3c3c4e" dmcf-pid="fj1OKGc6mP" dmcf-ptype="general">따라서 뜨거운 목성형 행성들은 가스와 먼지가 풍부한 먼 궤도에서 생성된 후 수성 궤도보다 훨씬 안쪽 궤도로 이동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목성보다 큰 행성을 이렇게 먼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큰 힘이 필요하다. 과학자들은 다른 거대 가스 행성이나 별의 중력이 아니라면 이런 힘이 설명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p> <p contents-hash="5ea4e9af2f5b9a69e41bfc8299f774fbc7ee7566997347071e217d45ea965267" dmcf-pid="4AtI9HkPr6" dmcf-ptype="general">미국 예일대학의 말레나 라이스 박사(천문학과 조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이 가운데 다른 별에 의한 중력 간섭을 연구했다. 우주에는 태양처럼 혼자 있는 별만큼 두 개의 별이 서로의 주위를 공전하는 쌍성계가 많은데, 쌍성계가 각각의 행성에 중력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를 조사한 것이다.</p> <p contents-hash="87cdef1d3a45c29408d0cc3d77a220181c6f45bacd18ebca8439aca964c3dfbd" dmcf-pid="8cFC2XEQE8"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폰 지펠-리도프-코자이 이동(ZLK·von Zeipel-Lidov-Kozai migration) 이론을 통해 이 과정을 설명했다. ZLK 이론을 기반으로 정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시행한 결과 연구팀은 뜨거운 목성형 행성이 생성될 수 있는 조건을 알아냈다. 핵심 조건은 거리였다. 적당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별 주변에 각각 목성형 가스 행성이 있는 경우 동반성의 중력이 수십억 년에 걸쳐 행성의 궤도를 안쪽으로 조금씩 이동시켜 두 개의 뜨거운 목성형 행성을 만들었다.</p> <p contents-hash="5b6df82740a347fefdf584885b42ed5701398dee71dea5f2f415c0347fc0c4c6" dmcf-pid="6k3hVZDxO4" dmcf-ptype="general">물론 뜨거운 목성형 행성이 생성되는 방식은 하나가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 혼자 있는 별 주변에서도 뜨거운 목성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다른 거대 행성의 중력 상호 작용으로 인해 하나는 별 주변으로 이동하고 하나는 먼 궤도나 혹은 아예 행성계에서 튕겨 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과학자들은 이 과정을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것이다.</p> <p contents-hash="73b80ed985b7f4e777228b1c88af2736bc1d4246ef8df42d3a0584e0f6e0118e" dmcf-pid="PE0lf5wMIf" dmcf-ptype="general">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유진아의 MZ라이프]MZ는 맛집·팝업 정보를 지도 앱으로 본다고?…“길 찾는 앱 그 너머를 기획한다” 06-29 다음 사흘 동안 버디만 24개…‘버디 폭격기’ 고지우, KLPGA 54홀 최저타 타이기록으로 시즌 첫 승 및 통산 3승 06-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