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AI 도입 속도…관련 인프라 예산도 신청 작성일 06-29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owhFOdz1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ca933cde5428f9101a8f8bbb934fdcce29a960a7e8e6ac0695e3137ee9d1a02" dmcf-pid="fgrl3IJqG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방생성형 AI 서비스 화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etimesi/20250629170257879sxdt.jpg" data-org-width="700" dmcf-mid="2ZnAva2XZ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etimesi/20250629170257879sxd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방생성형 AI 서비스 화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fa343c529904c1bdf0fa83dca5959ce6c3500b0e46f9ebd492268fb29210eb4" dmcf-pid="4HUKJqTNZ9" dmcf-ptype="general">지난해 '국방 생성형 인공지능(GeDAI)'을 처음 선보인 국방부가 인프라 증설을 위한 내년도 예산을 신청하는 등 국방 AI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적으로 국방 AI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국방 AI를 위한 전반적 체계와 관련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진다.</p> <p contents-hash="d94eba88426f1f9e8265dae812195326b37edfb6af69bf513dfb3c18b2fecc16" dmcf-pid="8Xu9iByjXK" dmcf-ptype="general">국방부 관계자는 29일 “국방 GeDAI 서비스 안정적 지원을 위해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관련 인프라 확충을 위한 예산을 기획재정부에 신청했다”며 “내년 예산으로 확정될 경우 더 많은 관련자가 GeDAI를 안정적으로 이용·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e85c369b54afdc6c4b6dd253ae62dadca69c06eb7ec638095646452f5f76af0" dmcf-pid="6Z72nbWAGb" dmcf-ptype="general">국방부는 지난해 7월 GeDAI를 처음 공개했다. GeDAI는 방대한 국방 데이터를 학습해 군 관련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국방특화 생성형 AI 서비스다. 군사용어 번역, 내부 규정 질의응답, 문서 요약 등 다양한 업무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당시 국방부는 향후 AI 서버 등 관련 인프라를 확충해 서비스 대상을 전 군으로 확대할 것임을 전했다. 이번 인프라 예산 신청은 이 같은 계획에 따른 것이다.</p> <p contents-hash="49f392e8860a5f21ebb4737299581251d97463c1056ffd77d06494f2a62895d3" dmcf-pid="P5zVLKYcXB" dmcf-ptype="general">GeDAI는 국방부 내 여러 업무에서 활발하게 활용 중이다. 지난해 말에는 국군재정관리단의 2024년 귀속 연말정산 업무 수행 효율화를 위해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연말정산 GPT'를 개발했다. GeDAI 내 만들어진 연말정산 GPT를 이용해 각 부대·기관 급여 담당자 240여 명이 연말정산을 효율적으로 마무리했다.</p> <p contents-hash="d2078ec217a83436546056a5b6609839ea1b1d029d1e592d817628e93c54ac4d" dmcf-pid="Q1qfo9GkYq" dmcf-ptype="general">최근에는 GeDAI를 전장에서 활용하는 방안까지 추진했다. 지난 3월 열린 '2025 자유의 방패(FS) 연합연습'에서 군사비밀이 아닌 일반(평문) 데이터를 학습시킨 GeDAI를 시범도입해 전시임무 활용 가능성을 살펴봤다.</p> <p contents-hash="05e1b7d75988cc9f596257b48b0cf10f056482076f76fe1490d2ff107952883c" dmcf-pid="xtB4g2HEHz" dmcf-ptype="general">국방부는 GeDAI뿐만 아니라 국방 전반에 AI를 폭넓게 도입·활용하기 위한 체계를 구상할 방침이다. 지난해 국방 AI 인프라를 위한 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을 준비하다 현재 보류 상태다.</p> <p contents-hash="db12d6781ebd3be5310cf8aae280da72ab532593f36d93dd19c9c5234e306bde" dmcf-pid="yowhFOdzX7" dmcf-ptype="general">국방부 관계자는 “AI 도입에 필요한 인프라의 경우 국방 전반에 걸친 고민과 전략, 체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연구용역 등을 거쳐 안을 구체화하고 관련 전문가 등과 논의해 큰 방향을 잡을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f525aea401a745d80703da1b8dcea28252fa9b8178000d8b678818ef52283e4" dmcf-pid="Wgrl3IJqtu"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국방분야 AI 강화를 위해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p> <p contents-hash="421a9af6f7b0a71942a716166f443936b813aff1fc625d6b66b93365dab0af24" dmcf-pid="YamS0CiBYU" dmcf-ptype="general">국방 정보화 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이미 국방부 산하 AI 전담 조직을 만들고 육군, 공군, 해군 등 다양한 군 분야에 AI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적용한다”며 “우리나라도 민관이 협력해 국방 AI 영역에서 최신기술을 도입하고 적극 활용하기 위한 정책, 예산 등 토대가 제공돼야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8ffefdb63bc62398aadca1aeab8633a178ea85046cdc12be8aee62c5600f008" dmcf-pid="GJcsZwxp5p" dmcf-ptype="general">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현금 1만 원·포인트 1만 원? '운명의 1주일' 맞은 SKT 고객 보상안은 06-29 다음 아이온큐 CRO, “韓은 양자 투자 톱5 국가…현대차·SKT와 협력” 06-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