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세계적 석학 3명 초빙교수 임용 작성일 06-29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존 로저스·그레그 로서멜·최상혁 박사 등 글로벌 역량 강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dOl5TaVX7"> <p contents-hash="1952c88d55761774c98791a51a6e0f22006fa49615b5be647e97534d4280b096" dmcf-pid="xJIS1yNf1u" dmcf-ptype="general">KAIST는 지난 27일 세계적 석학인 존 로저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등 3명을 초빙석학교수로 임용했다고 29일 밝혔다.<br><br> 생체 통합 전자소자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존 로저스 교수는 유연 전자소자와 스마트 피부, 이식형 센서 등 첨단 융합기술 분야를 선도해 왔으며, 네이처와 사이언스, 셀 등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에 9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고, 'H-index 240(240편 이상 논문이 각각 240회 이상 인용)'을 기록하는 등 정상급 석학으로 평가받고 있다.<br><br> 신소재공학과는 로저스 교수 초빙을 통해 차세대 생체이식형 소재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구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br><br> 특히 이건재 교수가 주관하는 선도연구센터(ERC)의 핵심 과제인 생체융합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과 연계해 차세대 생체이식형 소재와 웨어러블 기기 연구를 진행한다.<br><br> 로저스 교수는 다음달 부터 내년 6월까지 근무한다.<br><br>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세계적 석학인 그레그 로서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교수는 CACM(Communications of the ACM) 저널이 발표한 세계 최고 연구자 50인 중 2위로 선정된 바 있다.<br><br> 또한 30여 년간 소프트웨어 신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한 실용적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보잉과 마이크로소프트, 록히드마틴 등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해 영향력 있는 연구 성과를 창출해 왔다.<br><br> 전산학부에서 오는 8월부터 내년 7월까지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한다.<br><br> 우주탐사와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 세계적 전문가인 최상혁 박사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랭글리 리서치센터에서 40년 이상 재직하며 200편 이상의 논문과 보고서, 45개의 특허를 출원했다.<br><br> 2022년 NASA의 기술 전수 프로그램의 일환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정됐다. 우주탐사 기술의 민간 확산에 기여한 연구자를 선정하는 상으로, 현재까지 명예의 전당에 오른 연구자는 전 세계 35명 밖에 없다.<br><br> 최 박사는 항공우주공학과에서 2028년 4월까지 근무하며, 김현정 부교수(전 NASA 연구과학자)와 협력해 달 탐사 핵심 기술(에너지원, 센싱, 우주현지자원활용) 개발에 나선다.<br><br> 이광형 총장은 "이번 임용을 통해 KAIST가 생체 융합 전자, AI 소프트웨어공학, 우주탐사 등 첨단 융합기술 분야에서 연구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br><br> 이준기 기자 bongchu@dt.co.kr<br><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05007155278904c4ceb969a1d58952f03c2b95104a13de763e18d05e0ef3c9" dmcf-pid="yXV6Lx0CH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존 로저스 신소재공학과 초빙석학교수 존 로저스 신소재공학과 초빙석학교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dt/20250629193744236rnfg.png" data-org-width="640" dmcf-mid="8bxdcnBWG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dt/20250629193744236rnfg.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존 로저스 신소재공학과 초빙석학교수 존 로저스 신소재공학과 초빙석학교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6f4e4d2357f2a193954dbbf9da56c8c69309ef61a4f37f56b40aa523d866558" dmcf-pid="WZfPoMphXp" dmcf-ptype="general"><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673bc4665d41beb1ff0cb2e99ec3043797c51924c087cfa5e81e073ea04f7f6" dmcf-pid="Y54QgRUlX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레그 로서멜 전산학부 초빙석학교수 그레그 로서멜 전산학부 초빙석학교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dt/20250629193744562nyoa.jpg" data-org-width="640" dmcf-mid="6Jigmjf5X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dt/20250629193744562nyo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레그 로서멜 전산학부 초빙석학교수 그레그 로서멜 전산학부 초빙석학교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4a46051f002625de79f66cb1ecf3f70c01e0cbbc5d98b4433b5555d418504ac" dmcf-pid="G18xaeuSt3" dmcf-ptype="general"><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332b7e7a5ff490faa6423cf7a24d5a2a9f208c445e6eabf578976d1450f0fc0" dmcf-pid="Ht6MNd7vZ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최상혁 항공우주공학부 초빙석학교수 최상혁 항공우주공학부 초빙석학교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9/dt/20250629193746061bplb.png" data-org-width="640" dmcf-mid="PmnasA411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9/dt/20250629193746061bplb.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최상혁 항공우주공학부 초빙석학교수 최상혁 항공우주공학부 초빙석학교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2ac1c69a1d9bf629b7214ab4692fbd6813a40a06e4a1e5fc64ddc9a4bf2d7e1" dmcf-pid="XFPRjJzTtt" dmcf-ptype="general"><br>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박정현, '복면가왕'서 불린 노래 27곡…"가수들과 가까워진 느낌" 06-29 다음 “전자파 나오면 어쩌죠”…전자파 괴담에 발목 잡힌 데이터센터, 신호등이 불안 걷어낸다 06-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