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정밀 약물전달 등에 활용 작성일 06-30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AIST 연구팀, 관련 기술 선보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4k2eHkPAW"> <p contents-hash="416d4a998027465d49b7eecdb96dd8fe42027d46bd31108a2222a09e26ff6f8e" dmcf-pid="0nSdc7Sgjy"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국내 연구팀이 세포 기반 시스템의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세포로봇을 개발했다. 앞으로 정밀 약물 전달이나 차세대 세포 기반 치료법의 원천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b06a13e2db23d822567e93f973c906d6ce5738f4960fc219bc5747b88433df9b" dmcf-pid="pLvJkzvagT" dmcf-ptype="general">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화학과 최인성 교수 연구팀이 외부 동력 장치나 복잡한 기계 구조 없이 생체 부산물인 ‘요소(urea)’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가 추진 세포로봇을 개발했다고 30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3522082d56ed0578efec23f4051b947481dc105a1c99af94ab89d605029d6f9f" dmcf-pid="UoTiEqTNNv" dmcf-ptype="general">연구팀이 구현한 세포로봇은 방향성을 갖고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원하는 물질을 운반하거나 주변 환경 제어 기능을 탑재할 수 있는 다기능성 플랫폼으로 설계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68c80246ec60704c5164a9b9c2443e238ca7777a944faa7cec9e80b29f6ecd3" dmcf-pid="ugynDByjN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연구팀이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세포로봇을 개발했다. [사진=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30/inews24/20250630075525846ojgu.jpg" data-org-width="580" dmcf-mid="FljbxWj4j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30/inews24/20250630075525846ojg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연구팀이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세포로봇을 개발했다. [사진=KAIS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9f32d09b3e960667343d3022bc65c8f091402ae23b4093b29eeff31730bda3e" dmcf-pid="7aWLwbWAal"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쉽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생명체이면서 부산물로 생성된 에탄올 활용 가능성이 있고 인공적 복잡한 외부 장치 없이 생명체 스스로 만들어내는 물질을 활용할 수 있는 ‘효모’에 주목했다.</p> <p contents-hash="36674ec2fc13cc2ccdb9659551b77922ffc5a706d3c34f96999e6746b1bed190" dmcf-pid="zNYorKYcah" dmcf-ptype="general">제빵과 막걸리 발효에 사용되는 효모(이스트, yeast)는 포도당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대사 과정에서 알코올(에탄올)을 부산물로 생성한다. 연구팀은 이때 생성된 에탄올을 활용해 효모 표면에 생체친화적 방식으로 나노 껍질을 형성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51d8c76845e185debde8c8795624099d0bac555c4f044ca7bb3b52c4b2cb3562" dmcf-pid="qjGgm9GkcC" dmcf-ptype="general">알코올산화효소(AOx)와 겨자무과산화효소(HRP)로 구성된 효소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효소 시스템은 효모의 포도당 분해 반응과 연계된 연쇄적 효소 반응을 유도하며 그 결과로 멜라닌 계열의 나노 껍질이 효모 표면에 형성된다.</p> <p contents-hash="9c601e7fb8bea0505a2043f858fa7d26e1c36af5cb73d726231119cf4f2672ff" dmcf-pid="BAHas2HEjI" dmcf-ptype="general">이번에 개발된 화학적 방법론은 효모가 성장하고 분열하는 동안에도 나노껍질 형성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도록 설계돼 있어 세포의 형태 변화에 따라 비대칭적 세포-껍질 구조가 자연스럽게 생성된다.</p> <p contents-hash="42f4a45df0f46bf197107dde9edeb75aec19edf3dfdcb587ef6c55ba963233d6" dmcf-pid="bcXNOVXDaO" dmcf-ptype="general">분열 중인 세포 전체를 감싸는 껍질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모세포 부분에는 껍질이 생성되고 딸세포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 구조도 만들어진다.</p> <p contents-hash="296f432334876b9134d62244d2acf1acbb1b6c74aaa48cb3ec35964462b2a751" dmcf-pid="KkZjIfZwgs"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세포를 감싸는 나노껍질에 우레아제(urease)를 부착하고 세포로봇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우레아제는 요소를 분해하는 촉매 역할을 하며 세포로봇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력을 만들어내는 핵심 역할을 한다. 비대칭 구조를 가진 세포로봇이 보다 명확한 방향성을 갖고 자가 추진하는 현상을 확인했다.</p> <p contents-hash="1922b2ffbe4a3603ca2e0f5ac49d7883c88659a15a36763ba93dd7d3a2ad9d3f" dmcf-pid="9E5AC45rom" dmcf-ptype="general">이번에 개발된 세포로봇은 세포 주위에 존재하는 물질만으로 자가 추진이 가능하고 자석이나 레이저 등 복잡한 외부 제어 장치에 의존하지 않아 구동 메커니즘이 훨씬 간단하고 생체친화적이다.</p> <p contents-hash="4a26895b06f84453851c7f85e99302399d013e803f99bc1898b20208b32f0630" dmcf-pid="2D1ch81mgr" dmcf-ptype="general">나노껍질에 다양한 효소를 화학적으로 접합할 수 있어 다양한 생체 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세포로봇의 확장 개발도 가능하다.</p> <p contents-hash="b01bd491a244fa9d364e4148c9c30a79ebdf97d2cf8c08db2f31223246e95d91" dmcf-pid="Vwtkl6tsgw"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의 제1 저자인 KAIST 화학과 김나영 박사과정은 “자가 추진 세포로봇은 스스로 환경을 감지하고 반응하며 움직이는 능력을 지닌 새로운 개념의 플랫폼”이라며 “앞으로 암세포 표적 치료나 정밀 약물전달시스템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ab9ff632f3f4fe3540fd840b67576f22a8ac60f79d95d0dfdec55e6507655e2" dmcf-pid="fAHas2HEaD"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논문명 : Autonomous Chemo-Metabolic Construction of Anisotropic Cell-in-Shell Nanobiohybrids in Enzyme-Powered Cell Microrobots)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지난 6월 25일 온라인판에 실렸다.</p> <address contents-hash="35af0df5f72fa4cbac2723fcf1ebe814f8e6929e401a06a343a562d44f26a2b3" dmcf-pid="4cXNOVXDAE" dmcf-ptype="general">/정종오 기자<span>(ikokid@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친절하고 가벼운 로슈 장비”…VENTANA SP400 설명하는 세 키워드 06-30 다음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472] 럭비에서 왜 ‘트라이’라고 말할까 06-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