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농업으로 식량안보·기후변화 동시 해결...기계연, 기계기술정책 제119호 발간 작성일 06-30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VUyTx0C5c"> <p contents-hash="fa08f924413def24198919f2e068b6a090462c149a636fa77e6720a5e9fc65a2" dmcf-pid="xfuWyMphXA" dmcf-ptype="general">우리나라 글로벌 스마트 농업 선도를 위한 차세대 아이템으로 '미래형 도시농업' '스마트 곤충 농업' '농수작업 로봇시스템'이 제안됐다.</p> <p contents-hash="ba78d4acb8368671c443f219d96f4b39f9acb516e1006a0be88c14de797daa0f" dmcf-pid="yi8p0jf5tj" dmcf-ptype="general">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은 미래형 스마트 농업 관련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스마트 농업 선도 제안 기술을 담은 기계기술정책 제119호 '미래형 스마트 농업 연구동향과 시사점'을 발간하고, 국가 차원 스마트 농업 육성을 위한 지속적 연구개발(R&D) 투자·기업유치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30일 밝혔다.</p> <p contents-hash="35cbc0a0fee92a096598cb97b541d086640d13eb44540139d43b095808bec45a" dmcf-pid="Wn6UpA41ZN" dmcf-ptype="general">시장 조사 기관인 테크나비오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 농업 시장 규모는 2023년 175억 달러에서 2028년 285억 달러로 연평균 10.2% 성장할 전망이다. 이미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여러 주요국은 국가전략산업으로 스마트 농업을 육성 중에 있다.</p> <p contents-hash="46aebc2c7e5688404879457140aa29ffe8c80253fe58814ec95bfb795889c098" dmcf-pid="YLPuUc8t5a" dmcf-ptype="general">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기후변화로 인해 글로벌 농업 생산량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으며, OECD에서는 기후변화 및 식량안보 해결을 위해 '지속가능 농업전략'을 수립해 스마트 농업 활성화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p> <p contents-hash="0b05445bffd9ddac8f4c73bc0749b6e2856100f194a1bc5852622369e72a6e44" dmcf-pid="GoQ7uk6FZg" dmcf-ptype="general">주요국들은 정책적으로 기후변화, 인구노령화 등 국가사회적 문제 대응책으로 스마트 농업을 적극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특히 세계 최고 수준 스마트농업 역량을 보유한 네덜란드는 농가 중심 규모화 및 전문·첨단화 추진을 통해 국제경쟁력를 강화하고 있다.</p> <p contents-hash="5157daba7f7169babcbe4af1e0cd3fa419606a125191d7aace15e004075947d2" dmcf-pid="Hgxz7EP31o" dmcf-ptype="general">대규모 농업이 발달한 미국은 정부 주도의 대규모 자금 지원, 부처 간, 공공-민간 간 유기적 협업으로 첨단기술 도입을 통해 소농 지원 및 생산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6ee283c2c51336b9fbc484e9b186b3c8679dceee90b48bb8c9d5aa4edf9dc53" dmcf-pid="XaMqzDQ05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래농업환경 자율 농수작업 AI로봇 개념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30/etimesi/20250630102138747tssa.png" data-org-width="700" dmcf-mid="PQUyTx0CG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30/etimesi/20250630102138747tssa.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래농업환경 자율 농수작업 AI로봇 개념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8c8b611cbcc24e7f73d0a8dc87e7e2bf1dd646921f76aa9ae36e51d56c37f3e" dmcf-pid="ZNRBqwxp1n" dmcf-ptype="general">우리나라 스마트 농업 관련 기술력은 선도국인 EU 대비 3.4년 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R&D 역량에 있어서도 스마트 농업에 직접 관련이 있는 '친환경 맞춤형 신재배기술' 및 '스마트팜 기술'의 기초연구는 보통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p> <p contents-hash="57bf8017815dbeb82e17f5a3ea3feab7aeb5fb8fb5532e14a9940865f9f53be8" dmcf-pid="5jebBrMUXi" dmcf-ptype="general">우리나라는 이런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스마트 농업 육성 기본계획' '스마트농산업 발전방안'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 농업 확산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p> <p contents-hash="6dd05ec685f3a4821176dcf66c9414eba99fdc137e295d11b0e6d5f65bf7a437" dmcf-pid="1HCag3OJGJ" dmcf-ptype="general">기계연은 우리나라 스마트 농업 산업 육성을 위해 △스마트 농업의 핵심인 IT 기반 농업 확산을 위한 법·제도 정비 △지속적인 R&D투자 및 관련 인재양성을 통한 경쟁력 확보 △기업 유치 활성화를 통한 스마트 농업 생태계 조성 등 필요성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e22646b977bae9cd5e86acf4182550e68bf20f28426a3c5c71481a3ff924bd54" dmcf-pid="tXhNa0IiZd" dmcf-ptype="general">더불어 우리나라의 글로벌 스마트 농업 선도를 위한 핵심 기술로 △미래형 도시 농업 기반 기술 확보 △스마트 곤충 농업 시스템 △농수작업 로봇 시스템을 제안했다. 미래형 도시 농업 시스템은 식량 수요와 생산 동력이 있는 도시에서 수직농장, 옥상온실 등의 형태로 작물을 직접 재배하는 신개념 농업 형태로 최근 유럽, 미주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기술이다.</p> <p contents-hash="318440c74faf48de9ddc0c5acea849e0ea9e401c9b048a8143459b5a792d0b40" dmcf-pid="FZljNpCnHe" dmcf-ptype="general">스마트 곤충 농업 시스템은 기존 스마트 재배 시설을 활용 가능하여 대체육 관련 기술 도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사업형 축산업 대비 온실가스 감소 효과가 크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주목받는 기술이며, 농수작업 로봇 시스템은 농업 작업 중에서도 고난도 작업인 '작물 수확'이 가능한 로봇을 개발하여 농작물의 안정적인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이다.</p> <p contents-hash="f34bda8139398f6649c77c7c772a078d230b1623234920a533481f9a8daf0e1d" dmcf-pid="35SAjUhLXR" dmcf-ptype="general">기계연은 이 같은 핵심 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2월 '미래농생명공학연구단'을 발족하는 등 우리나라의 스마트 농업 구현을 위한 기반 기계기술 개발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p> <p contents-hash="78416c35680c9a50fd13600be307ab490109e127ef7ec0cd4971fdc606c79f9a" dmcf-pid="01vcAuloZM" dmcf-ptype="general">기계연 기계정책센터의 김철후 책임연구원은 “스마트 농업은 기후변화, 식량안보와 같은 사회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대 시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대형 건물마다 스마트 도시 농장이 보편화되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관련 R&D 및 투자 확대는 물론, 스마트 농업의 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지원 또한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2ab285b65d37c63cac6e54a0823f8ee9cf5a401159fabf3160c59c754b44f9e" dmcf-pid="ptTkc7SgHx" dmcf-ptype="general">기계연은 기계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전문지식지 '기계기술정책'을 매년 4회 이상 발간하고 있으며 기계분야 국책연구기관으로서 싱크탱크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기계기술정책은 <span>기계연 홈페이지</span>에서 정기구독 신청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다.</p> <p contents-hash="3dcd155c376d1866f08f186828309fbaf00e5875e137fd58fc19ef8cf969f721" dmcf-pid="UFyEkzvaGQ" dmcf-ptype="general">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국내 인기 앱 70개 보안 실태 분석 결과 95.7% C등급 이하 06-30 다음 계단 오르는데 몸이 가벼워졌다… ‘눈치 빠른 로봇’으로 향하는 의료로봇 06-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