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농업 R&D 강화해야…EU와 3.4년 격차 작성일 06-30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국기계연구원, "세계시장 연평균 성장률 10%넘어…정부 지속적 정책 지원 절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S8zO6tsJY"> <p contents-hash="360a493cb0b40b14b0ad61ffcf3aef82d88681e5d3492ae5655ae64740f7d22e" dmcf-pid="Fv6qIPFOeW"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우리나라가 글로벌 스마트 농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미래형 도시농업과 스마트 곤충 농업, 농수작업 로봇시스템과 관련한 기술 개발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span></p> <p contents-hash="d2aca9050a3ab82be0df64ce6b08e5371920e00299008536aa0fe487ea2b48f3" dmcf-pid="3TPBCQ3IMy" dmcf-ptype="general">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 이하 기계연)은 미래형 스마트 농업 관련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스마트 농업 방향을 제시한 기계기술정책 제119호 ‘미래형 스마트 농업 연구동향과 시사점’을 발간했다.</p> <p contents-hash="4322ce5a32a469b42e7bd8ff3e51fb89d8c88d6c86cc2e62dc7dfcb42cca5823" dmcf-pid="04CcKhnbeT" dmcf-ptype="general">기계정책센터 김철후 책임연구원은 "스마트 농업은 기후변화, 식량안보와 같은 사회문제 해결과 함께 거대 시장이 예상된다"며 "대형 건물마다 스마트 도시 농장이 보편화되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94f7f7b6eaf13fcf7f5a2c8bd1b699b751debb8d8130a8ec14685c891cfdc1d" dmcf-pid="p8hk9lLKd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스마트 농업 관련 기술 연구개발 역량 및 경향 요약(자료:KISTEP,KIM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30/ZDNetKorea/20250630105043457gxmo.jpg" data-org-width="638" dmcf-mid="4Bi8YnBWd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30/ZDNetKorea/20250630105043457gxm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스마트 농업 관련 기술 연구개발 역량 및 경향 요약(자료:KISTEP,KIM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24c6d009da10ba8b95403371c2169a55afe4c5f30fa150206c4c73e679b46dd" dmcf-pid="U6lE2So9JS" dmcf-ptype="general">김 책임은 “관련 R&D 및 투자 확대는 물론, 스마트 농업의 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p> <p contents-hash="c5b62a4c556fa66d4e7f6f433e8c9082d4760cdc477d4c9408e4c1bf6e08edc0" dmcf-pid="uPSDVvg2Rl" dmcf-ptype="general">시장 조사 기관(테크나비오)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 농업 시장 규모는 지난 2023년 175억 달러에서 오는 2028년 285억 달러로 연평균 10.2% 성장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3784a376cb2e66b8683bd844700100a39781d940dbde78aa7de43920514f1f7b" dmcf-pid="7QvwfTaVMh" dmcf-ptype="general">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여러 주요국은 국가전략산업으로 스마트 농업을 육성 중에 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농업 역량을 보유한 네덜란드는 농가 중심의 규모화 및 전문·첨단화 추진을 통해 국제경쟁력를 강화하고 있다.</p> <p contents-hash="de26d17e749ce8112275b07c3c9728ed19280c16e0caaae69030405541a07c9d" dmcf-pid="zxTr4yNfLC" dmcf-ptype="general">김철후 책임은 "우리나라 스마트 농업 관련 기술력은 선도국인 EU 대비 3.4년 격차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R&D 역량에 있어서도 스마트 농업에 직접 관련이 있는 ‘친환경 맞춤형 신재배기술’ 및 ‘스마트팜 기술’의 기초연구는 보통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9cf819570d1803109c7d03d1c770d12e378a7b7283fbad17b4d149c4aba4c576" dmcf-pid="qMym8Wj4eI" dmcf-ptype="general">김 책임은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스마트 농업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농업의 핵심인 IT 기반 농업 확산을 위한 법·제도 정비 ▲지속적인 R&D투자 및 관련 인재양성을 통한 경쟁력 확보 ▲기업 유치 활성화를 통한 스마트 농업 생태계 조성 등을 제안했다.</p> <p contents-hash="177d8e79c353d322ae44f9377cfb42791e9173c5d51b8d44440844e024d555b2" dmcf-pid="BRWs6YA8eO" dmcf-ptype="general">김 책임은 또 글로벌 스마트 농업 선도를 위한 핵심 기술로 ▲미래형 도시 농업 기반 기술 확보 ▲스마트 곤충 농업 시스템 ▲농수작업 로봇 시스템 등의 기술 개발 큰 방향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e2d584f03ba7e4f465981d00b3b71bd4f7078e8e07ba8b57ccf740e81fad2601" dmcf-pid="beYOPGc6Rs" dmcf-ptype="general">미래형 도시 농업 시스템은 도시에서 수직농장, 옥상온실 등의 형태로 작물을 직접 재배하는 신개념 농업 형태다.</p> <p contents-hash="68714ac1359c38cabd8bbb23449b8db8aef1846990838608b2bfea95b7382675" dmcf-pid="KdGIQHkPem" dmcf-ptype="general">스마트 곤충 농업 시스템은 일반적인 사업형 축산업 대비 온실가스 감소 효과가 크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주목받고 있다.</p> <p contents-hash="ad23a6108e6646de2b1791d8928f981e2494ada99ab0f362de9b8408f9311f27" dmcf-pid="9JHCxXEQLr" dmcf-ptype="general">농수작업 로봇 시스템은 농업 작업 중에서도 고난도 작업인 ‘작물 수확’이 가능한 로봇으로, 밭갈이나 파종을 스스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이다.</p> <p contents-hash="a5616d25469facc4b42f91acb1048d024eb50a0e5bc0420d28a6d6d60694bf37" dmcf-pid="2iXhMZDxMw" dmcf-ptype="general">김철후 책임연구원은 “농업이 도시 농장 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등이 도입되면서 자율 로봇 시장으로 전환 중"이라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01e17dde4b08013cb0dd50ea1bd892a07eaf9ddd06cf02d089fa988114b7f0fc" dmcf-pid="VnZlR5wMJD"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건 무조건 내가 가져야지”…‘톡파원 25시’ 이찬원 홀린 日 기념품은? 06-30 다음 [인사]국민체육진흥공단 06-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