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앤티씨, 독자 'TGV 유리기판' 수율·성능 자신…관건은 상용화 작성일 06-30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대규모 양산체제 구축 중…국내외 잠재 고객사와 상용화 추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o1MJc8tnN"> <p contents-hash="96461202639be99d835b508cab005203aa8f1ba4f3f128f6f72d7df622213f58" dmcf-pid="GgtRik6Fia"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장경윤 기자)국내 커버글라스 전문기업 제이앤티씨가 신사업인 반도체용 유리 코어기판 사업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독자 기술을 기반으로 높은 수율과 성능을 구현해 올 하반기부터 양산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8a75a28d547c0fae91c75259487f674586c2b8f92a60b8013fc74d3b1e088de3" dmcf-pid="HaFenEP3eg" dmcf-ptype="general"><span>이를 위해 회사는 이달 국내에 유리기판 제조라인을 갖추고, 올 하반기 베트남에도 설비를 들일 계획이다. 다만 실제 사업 확대를 위해선 최종 고객사의 제품 상용화가 담보돼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span></p> <p contents-hash="ace59ad3a9e4cbeda49c8a1e9292148a74a9e879a46850021e6a5ecd40d9d17a" dmcf-pid="XN3dLDQ0eo" dmcf-ptype="general"><span>30일 오후 제이앤티씨는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TGV 유리기판 신제품 설명회'를 열고 향후 사업 전략에 대해 밝혔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8946464906044534a031984a03a4eac8135c8340c229294950ecedd1c6fdeb6" dmcf-pid="Zj0JowxpM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장상욱 제이앤티그룹 회장이 제이앤티씨가 자체 개발한 유리기판 시제품을 선보이고 있다(사진=장경윤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30/ZDNetKorea/20250630155246611smkc.jpg" data-org-width="640" dmcf-mid="yuPshXEQL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30/ZDNetKorea/20250630155246611smk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장상욱 제이앤티그룹 회장이 제이앤티씨가 자체 개발한 유리기판 시제품을 선보이고 있다(사진=장경윤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580a6aa81455b4f0edabfc2833a8318f4bea2e1ef4384b9bf2ea12188b602a0" dmcf-pid="5v6mCHkPdn" dmcf-ptype="general"><strong>"유리기판 수율 90% 달성…국내외서 생산라인 적극 확장"</strong></p> <p contents-hash="5f4037f381e3688430e6054ab4cbe4534227214277f58f9d425e097c234007c8" dmcf-pid="1TPshXEQRi" dmcf-ptype="general"><span>이날 </span><span>설명회에는 장상욱</span><span> </span><span>제이앤티그룹 </span><span>회장을 </span><span>비롯한 </span><span>주요 </span><span>경영진이 </span><span>참석했다. 또한</span><span> </span><span>조남혁 제이앤티씨</span><span> </span><span>대표는 </span><span>회사의 </span><span>TGV </span><span>유리기판 </span><span>기술 </span><span>경쟁력과 </span><span>중장기 </span><span>사업 </span><span>전략을 </span><span>직접 </span><span>발표했다.</span></p> <p contents-hash="85728e99094b673b9f36333ae9359853f42f487ff2cc2c399b8c7f00af75651f" dmcf-pid="tyQOlZDxeJ" dmcf-ptype="general"><span>유리기판은 반도체 패키지의 기존 소재인 PCB(인쇄회로기판)을 유리로 대체해, 전력 효율성 및 내열 특성을 높인 기판이다. </span><span>제이앤티씨의 경우 지난해 4월 유리기판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이후 1년 2개월 만에 국내에 유리기판 생산라인을 구축했으며, 오는 8월부터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span></p> <p contents-hash="323d90fc07bc451cbf0cd2196b496da0d49425eb6437c3d4bd6a43fa7ce1b6ae" dmcf-pid="FWxIS5wMed" dmcf-ptype="general"><span>유리기판 </span><span>제조의 </span><span>핵심은 </span><span>TGV </span><span>공정이다. </span><span>TGV는 </span><span>유리 </span><span>기판에 </span><span>미세한 </span><span>구멍을 </span><span>뚫고, </span><span>구리 </span><span>등을 도금</span><span>해 </span><span>전기적 </span><span>통로를 </span><span>만드는 </span><span>기술을 </span><span>뜻한다. </span><span>이외에도 </span><span>유리기판에는 </span><span>정밀한 </span><span>성능의 </span><span>식각, </span><span>평탄화, </span><span>가공 </span><span>능력이 </span><span>필요하다. </span><span>제이앤티씨는 </span><span>이들 </span><span>주요 </span><span>공정용 </span><span>장비를 </span><span>자체 </span><span>설계 </span><span>및 </span><span>제작하고 </span><span>있다.</span></p> <p contents-hash="9182c933f28a7b408be73b9a918830cf5a3fef3f734e744c78938446d10ed710" dmcf-pid="3YMCv1rRMe" dmcf-ptype="general"><span>조 대표는 "제이앤티씨는 레이저를 통해 카메라 렌즈의 커버글라스를 제조해 온 기업으로, 마킹 및 식각 기술을 이미 가지고 있어 유리기판의 마이크로크랙(미세한 깨짐) 0%를 달성할 수 있었다"며 "이외에도 자회사 코메트에서 30년간 쌓아 온 도금 기술, 설비 자회사인 제이앤티이의 기술을 결합해 성능이 뛰어난 제품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d896f0452a56efcd03082080574985ec7d229a4e4d81bef8c406a21ebc0ba28d" dmcf-pid="0GRhTtmeLR" dmcf-ptype="general"><span>생산성 역시 제이앤티씨가 내세운 강점 중 하나다. 현재 구축된 제이앤티씨의 국내 유리기판 공장 생산능력은 월 1만장이다. 올 하반기부터는 베트남에 월 3만장 규모를 추가 구축한다.</span></p> <p contents-hash="f693ee788ac634e3cd2bf2b8a946c8ca6f0807a1ac763f14d8daa288cf4551df" dmcf-pid="pHelyFsddM" dmcf-ptype="general"><span>또한 수율(생산품 대비 양품 비율)은 90% 이상으로 구현했다는 게 제이앤티씨의 설명이다. 조 대표는 "TGV, 메탈라이징 등 제이앤티씨의 처리 영역인 전공정 단에서는 90% 이상의 수율이 나오고 있다"며 "실제 고객사가 원하는 스펙 별로 차이는 있겠으나, 전반적으로는 해당 수치를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c59eee72a4963c37da318e9dedee96d5063612c9c4efb8d57131091a949aec" dmcf-pid="UXdSW3OJM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조남혁 제이앤티씨 대표가 발표를 진행하는 모습(사진=장경윤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30/ZDNetKorea/20250630155247938pndt.jpg" data-org-width="638" dmcf-mid="W2gG5zvaJ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30/ZDNetKorea/20250630155247938pnd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조남혁 제이앤티씨 대표가 발표를 진행하는 모습(사진=장경윤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4d0bcfbce3d75ead3e6a9664552413ec30b11c149a0bb275cbbc1baa3102e6f" dmcf-pid="uZJvY0IidQ" dmcf-ptype="general"><strong>향후 제품 상용화가 관건…'1조 매출' 목표 지켜낼까</strong></p> <p contents-hash="1f871382b52ff3d6ba218874b612e1f2b953adfc334c330c67f7496364fe746b" dmcf-pid="75iTGpCnnP"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현재 미국과 유럽, 동북아권, 중화 및 동남아권에서 복수의 잠재 고객사와 NDA(비밀유지계약)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논의 중인 고객사는 IDM(종합반도체기업) 3곳, OSAT(외주반도체패키징테스트) 2곳 등이다.</p> <p contents-hash="6fc04f252894c36585ce54506abd776c1d6bf019bd8170eb97a3174351ee794f" dmcf-pid="z1nyHUhLe6" dmcf-ptype="general"><span>또한 PCB(인쇄회로기판) 제조업체 8곳과도 협업을 맺고 있다. 제이앤티씨는 유리기판의 전공정 부분까지 담당하기 때문에, 후공정 처리를 위해서는 PCB 제조업체에 제품을 공급해야 한다.</span></p> <p contents-hash="95ffaefe8f4ea830406051ae615c980fa052a8170b761d83ede9131d554178ba" dmcf-pid="qtLWXulon8" dmcf-ptype="general"><span>PCB </span><span>제조업체에 </span><span>유리기판 </span><span>제품을 </span><span>공급하는 </span><span>시기는 </span><span>이르면 </span><span>올 </span><span>연말로 </span><span>예상된다. 이에 따른 기대 매출은 올해 200억원이다. 향후에는 생산능력 확장, 유리기판의 대규모 양산 등으로 오는 2026년 매출 2천억원, 2027년에는 6천억원, 2028년에는 1조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회사 측은 내다봤다.</span></p> <p contents-hash="3b2073fd54f9367f6d042b1ee48920c21b04abd90df0cb6bc1878d72cdd55fbc" dmcf-pid="BFoYZ7SgM4" dmcf-ptype="general"><span>다만 관건은 최종 고객사의 유리기판 상용화 계획이다. 올해 전공정 수준의 유리기판 양산을 본격화하더라도, IDM·OSAT·파운드리 등이 이를 활용한 칩을 출시하지 못한다면 매출을 확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span></p> <p contents-hash="ab357f91895493a4e7e0fa0135f66c5fe67c83f2321d4bb39b2d32206a214b28" dmcf-pid="bTPshXEQif" dmcf-ptype="general">장경윤 기자(jkyo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KT 해킹 사태 위약금 면제될까···이번주 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나온다 06-30 다음 콘텐츠 명가에서 AI 제작소로…CJ ENM, ‘AI 스튜디오’ 시대 연다 06-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