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동혁 '오징어 게임' "시즌4는 없다, 쥐어짜도 못 만든다" [인터뷰M] 작성일 06-30 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aDinEP3jo"> <p contents-hash="bb4ab63654ea477985ee2c68c9204ebdb5a4135253a3d4bcb338687639c6d583" dmcf-pid="2PJVfd7vaL" dmcf-ptype="general">역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시리즈이자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 시상식을 비롯해 국내외 유수의 시상식에서 수상을 이어가며 기념비적인 기록을 세운 '오징어 게임' 시즌1. 공개 18일 만에 역대 넷플릭스 시리즈 인기 순위 3위를 기록하며 또 한 번 핑크빛 신드롬을 일으킨 시즌2. 그리고 그 뒤를 잇는 시즌3까지. 무려 5년간 '오징어 게임' 시리즈를 만들어 낸 황동혁 감독을 만났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10b4dfe55fe23f13cedf7364515c462564dbe4daad02f8fda7c8dddb7136eba" dmcf-pid="VQif4JzTj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iMBC 연예뉴스 사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30/iMBC/20250630162608222qcxf.jpg" data-org-width="900" dmcf-mid="KjRK9Mpho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30/iMBC/20250630162608222qcx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iMBC 연예뉴스 사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08e4f35ead1e692d851bb93106031c8ad822c7e560e0f29c3d902ea0558cee4" dmcf-pid="fxn48iqyji" dmcf-ptype="general"><br>시즌1은 동심이 담긴 추억의 놀이를 무한 경쟁 사회에 빗대어 서바이벌 게임으로 재해석하며 극단적인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고찰을 이끌어냈다. 시즌2는 O와 X, 양극단으로 나뉜 참가자들의 모습을 통해 전 세계에 만연한 편가르기를 꼬집었다. 시즌3에서는 갈등이 더욱 심화되며 인간 내면의 본성과 '인간성의 유무', '존재의 가치', '희망을 지켜낼 의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p> <p contents-hash="cad5767d5a219320deba616a7b09a265dc4cea0aeef60391a163e2af16ab0e51" dmcf-pid="4ML86nBWcJ" dmcf-ptype="general">이미 분명하게 '오징어 게임'으로 더 이상의 시리즈는 없다고 선언했던 황동혁 감독이다. 하지만 '오징어 게임'이라는 IP를 생각하면 더 많은 이야기가 나왔으면 하는 시청자들의 바램도 분명히 있다. 이야기의 연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황 감독은 "미국 드라마처럼 시즌마다 다른 감독·작가가 참여하는 시스템은 가능하겠지만, '오징어 게임'은 그런 구조와는 다르다. 굉장히 예민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한 발만 잘못 디뎌도 전체의 의미가 훼손될 수 있다. 그래서 장기로 만들기에는 쉽지 않은 예민한 이야기다. 게임도 더 이상 쓸 게 없다. 그나마 쥐어 짜낸 것이다. 던지고 싶은 메시지는 이미 이번 시즌에 다 담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더 이어갈 의미는 없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40d52ffb9ca4637e5871c956c30444d5406bc0f7d8441422380a20b069b00624" dmcf-pid="8Ro6PLbYod" dmcf-ptype="general">다만 스핀오프에 대해서 그는 "예를 들어 가면을 쓴 관리자들의 과거나 사생활 같은 이야기처럼, 중심 메시지에서 조금 벗어난 가벼운 사이드 스토리라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시즌3에 벽에 공유와 선장이 낚시하고 있는 사진이 보여지는데 그 사진 가운데 프론트맨도 함께 사진을 찍은 게 있다. 이런 사진들이 어떻데 찍혔는지, 2021년과 2024년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저들은 무슨 관계이며 바깥 세상에서 어떤 인연을 쌓은건지를 풀어가는 식의 프로젝트도 재미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그러며 "제가 할수도 있지만 다른 역량있는 작가들이 만들어 내는 것도 가능하고 좀 부담이 덜한 이야기라면 해볼수 있을지도"라며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p> <p contents-hash="fb6706c9e869359b488f38c4f88bb40b48be56b3802e273c818d15ba296dd842" dmcf-pid="6egPQoKGae" dmcf-ptype="general">이번 시즌의 마지막 장면에 깜짝 등장한 케이트 블란쳇에 대한 이야기도 전해졌다. 황 감독은 "한국의 '딱지맨'이 공유 씨라면 미국에는 여성 캐릭터를 두고 싶었다. 대사 한 줄만으로도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는 배우가 누굴까 고민하다가 케이트 블란쳇을 떠올렸다"고 말했다. 이어 "자녀들이 '오징어 게임'을 좋아해서 출연 결정을 했다고 하더라. 현장에서 인사를 나누긴 했지만 바쁜 일정 탓에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미국판 제작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아무것도 정해진 바 없다. 루머는 많은데, 마지막 장면이 미국에서 끝난 탓인 듯하다"고 선을 그었다. </p> <p contents-hash="a1ce31ee2a32e7ab4db2202d47184210f38e54f0d482b77d35402b3700d32c41" dmcf-pid="PdaQxg9HjR" dmcf-ptype="general">K콘텐츠의 세계적 위상에 대한 책임감과 딜레마도 언급했다. 황 감독은 "지금 한국 콘텐츠에 대한 관심은 정말 뜨겁다. 해외에 나가 보면 완전히 달라졌다. 어느 나라를 가도 한식당이 넘쳐나고, 외국인들이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를 기본으로 한다. 그런데 그 겉모습 뒤 우리나라의 콘텐츠 환경은 다들 힘들어하고 있다. 스태프, 배우들도 고통을 호소한다. 지금 다들 너무 어려워하고 힘들어해서 노는 사람들이 많다. 스태프들도 그렇고 배우들도 그렇다. 이 불균형을 어떻게든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 <p contents-hash="1370571e5192d3c922a5e576cb5943579f117cea716e1572f1120e160a41dcb1" dmcf-pid="QJNxMa2XgM" dmcf-ptype="general">그는 "지금 콘텐츠 산업은 과도기다. 극장도, TV도 무너지고 있고, 일부 글로벌 OTT만이 살아남는 구조다. 편향된 시장은 결코 건강한 생태계가 아니다. 다양한 미디어가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창작자 입장에서는 늘 내가 맞는 길을 가고 있는지, 이게 괜찮은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오징어 게임'은 1부터 3까지 모든 걸 혼자 써내려가고 연출까지 해낸 긴 싸움이었다. 다시는 못할 것 같다"고 솔직한 심경을 밝혔다. </p> <p contents-hash="9ce881ac435f1b4f0215d737270ffc5031666ebe0784e08e6294136f6a78f921" dmcf-pid="xijMRNVZcx" dmcf-ptype="general">이런 가운데 넷플릭스에서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도 글로벌한 화제가 되고 있다. K-콘텐츠와 한국 문화에 대한 전세계의 사랑에 대해 황 감독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 같은 콘텐츠가 외국에서 먼저 만들어지는 걸 보면 아쉽다. 우리가 먼저 했으면 더 좋았을 텐데. 물론 우리 제작진이 일부 참여했지만, K팝이라는 좋은 소재를 한국이 주도적으로 다루는 기획이 더 많아졌으면 한다. 내가 직접 하진 않겠지만, 이 분야에는 훌륭한 전문가들이 많다. 좋은 작품이 곧 나오리라 믿는다"고 전했다. </p> <p contents-hash="66254c533f3ba1fd7e687cd1feeac53a714f07eeb47ea7d88dbe2342e8a77c15" dmcf-pid="yZpWY0IiNQ" dmcf-ptype="general">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게임에 참가한 기훈,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든 프론트맨, 그리고 그 잔혹한 게임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 '오징어 게임' 시즌3은 지금 넷플릭스에서 공개 중이다. </p> <p contents-hash="a135d8852a0f652779c9c1a68b81e7db949875ceb89222712ac380e3cb8f7d5a" dmcf-pid="W5UYGpCnkP" dmcf-ptype="general">iMBC연예 김경희 | 사진출처 넷플릭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BC연예.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약자만 죽는 세상…황동혁이 '오징어 게임3'에 심은 현실 [인터뷰M] 06-30 다음 고창석, 요즘 뭐하나 했더니…횟집 사장→고급 식재료 요리(푹다행) 06-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