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아닌 AI부 신설된 듯…AI와 과학 반드시 함께 가야" 작성일 06-30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기초과학학회협의체 정책포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gdTVeuSW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529b95596f34255abcd2bfddbd4a1d9e93f2169eb8c2603f797f9118574ec19" dmcf-pid="WaJyfd7vC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유인권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가 기초과학 학회협의체가 30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기초과학 연구의 안정적 지원체계: 기초과학의 안정적 생태계를 위한 연구지원 패러다임의 전환' 주제로 개최한 정책포럼에서 말하고 있다. 이채린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30/dongascience/20250630173018815deei.jpg" data-org-width="680" dmcf-mid="xsj1RNVZS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30/dongascience/20250630173018815dee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유인권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가 기초과학 학회협의체가 30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기초과학 연구의 안정적 지원체계: 기초과학의 안정적 생태계를 위한 연구지원 패러다임의 전환' 주제로 개최한 정책포럼에서 말하고 있다. 이채린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5e619922b7acc18ba8ce8ad83b3b278c6df951e39a4fd5020dd72099e161fb3" dmcf-pid="YNiW4JzTvc" dmcf-ptype="general">"수석부터 장관까지 인공지능(AI) 전문가가 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AI부가 신설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물론 AI는 국가가 집중 투자해야 할 시급한 과제입니다. 하지만 과학과 함께 가야 미래가 있을 것입니다."(유인권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p> <p contents-hash="16351c8d6f377725cb68b29836b41d458b62e29625b93013186fea372cdd54a4" dmcf-pid="GjnY8iqySA" dmcf-ptype="general">유 교수는 기초과학학회협의체(기과협)가 30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기초과학 연구의 안정적 지원체계: 기초과학의 안정적 생태계를 위한 연구지원 패러다임의 전환' 주제로 개최한 정책포럼에서 이렇게 말했다.</p> <p contents-hash="58358ae9d663df41dca4d6387011474f1ca34a8cb2fd97e682a8887d97239dc3" dmcf-pid="HALG6nBWvj" dmcf-ptype="general">유 교수는 지난 5월 한국과학기자협회,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이 대선을 앞두고 개최한 토론회에서 대선후보 캠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지난 정부의 R&D 예산 삭감으로 과제수가 대폭 줄어 기초과학계가 죽어간다"고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낸 바 있다. </p> <p contents-hash="5fecb350683746114e3dff9635b148aadcbf095c7c3917d275f7f6ec1f66f198" dmcf-pid="XcoHPLbYyN" dmcf-ptype="general">이날 포럼에서 유 교수는 발제자로 나서 '과학'과 '기술'의 차이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과학은 연구 중심, 지식 창출, 장기적인 성격, 문화 생산 등의 특징을 갖지만 기술은 발전 중심, 돈 창출, 단기적인 성격, 경제 생산 등의 특징을 가진다. </p> <p contents-hash="8e91095b2011e39605a07096d9015ea317f088be451e1864e7bea005c584f6ab" dmcf-pid="ZkgXQoKGva" dmcf-ptype="general">유 교수는 "과학과 기술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두 개념이 섞여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제시한 사례가 헌법이다. 현재 헌법 127조 내용은 '국가는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통해 국민경제의 발전에 노력하여야 한다'다. </p> <p contents-hash="544e4a0d079fbd3f415783f2b62f6116e32a11141cf157175cd8ca0528202985" dmcf-pid="5WhKcCiBSg" dmcf-ptype="general">유 교수는 "헌법은 국민경제 발전에 도움이 안 되는 과학기술은 쓸모가 없다는 뜻을 시사한다"면서 헌법 내용이 과학기술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국민에 심어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 교수는 헌법 제1조 총강에 '국가는 학술활동과 기초연구를 장려할 의무가 있다'라는 조항을 신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p> <p contents-hash="87950f1475e7a4b0031fc529180b5d2449364c75e2f1fb5390d7a087d8bdc648" dmcf-pid="1Yl9khnbWo" dmcf-ptype="general">또 수석부터 과기정통부 후보자가 AI 전문가가 지명된 데에 대해 유 교수는 "AI부가 신설된 것 같다"며 "AI가 시급한 과제이기 때문에 주요 과제로 내세울 수 있지만 AI는 과학과 함께 가야 선진국 연구를 뒤쫓지 않고 한국이 주도할 수 있는 기술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0b6098cfd93b7d4b02f926cb8acc54605d25a9b7c044344b184ab19a9998012e" dmcf-pid="tGS2ElLKWL" dmcf-ptype="general">유 교수는 "부처에서 정책을 만들고 전문가 집단이 승인하는 형태가 아닌 과학 전문가 집단에 의해 먼저 정책이 수립되는 연구개발(R&D) 거버넌스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p> <p contents-hash="46ac811cd0427e56c11c7f7cfa66e54e3f10c68264e28b16b7f9cc8adda809b6" dmcf-pid="FHvVDSo9yn" dmcf-ptype="general">신석민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기초연구사업군 선정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정률이란 연구자가 지원한 총 과제 중 선정된 과제의 비율을 가리킨다.</p> <p contents-hash="fff97978b38eff4d5bf6b24c4591bbcc3185402b77141d47b80772b7a1b5d3c0" dmcf-pid="3XTfwvg2li" dmcf-ptype="general">신 교수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지난해 펴낸 '일본의 기초연구 지원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지난 7년간 선정률은 26~29%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같은 기간 한국의 선정률은 22.4~46.8%로 변동이 크다"며 "일본이 선정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이유는 연구종목간 예산 배분의 유연성 덕분이다"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c885bba1d7caa73e0dc2094c91e272eb2b77016fd33a82da10c341ea38cb28a1" dmcf-pid="0Zy4rTaVvJ" dmcf-ptype="general">일본은 과제 공모 시 연구종목별 예산 및 선정예정 과제 수는 공개하지 않고 지난 선정률과 연구비 단가와 기간을 공개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과제 공모 시 연구 예산, 선정 과제 수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p> <p contents-hash="34e24b194a017f3a072e7ec85728564ff853c4d2dca2e1a48a05f1f5ed32e9a8" dmcf-pid="p5W8myNfSd" dmcf-ptype="general">신 교수는 "대부분 연구자가 바라는 것은 새로운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안정적으로 연구비 지원을 받는 것이다"며 "한국에서 연구과제 선정과 배분의 유연성이 필요한 이유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53e4d78b1a2ea7ae6f8ba7361e06e2a6f86d781ca4916c4c2027d23def7f6fd6" dmcf-pid="U1Y6sWj4he" dmcf-ptype="general">이밖에 강기훈 한국외대 통계학과 교수(한국통계학회 회장), 박문수 세종대 기후환경융합학과 교수가 각각 'AI와 기초과학의 융합', '기초연구 생태계 강화-대기과학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발표했다. </p> <p contents-hash="0997c14c79116ac1d3ac403430e2c6d25edabe01d1a0a957639ee9a5969af726" dmcf-pid="utGPOYA8hR" dmcf-ptype="general">이어진 패널토론에는 발제자와 윤진희 인하대 물리학과 교수(한국물리학회 회장), 이은정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장우동 연세대 화학과 교수, 홍성금 교수 조선대 융합수리과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p> <p contents-hash="905551384f19737fef4d856f3ca9fef18758a395951a41d8b8937bb11de69dce" dmcf-pid="7FHQIGc6CM" dmcf-ptype="general">포럼은 기과협이 주관하고 김우영·박민규·황정아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가 후원했다. </p> <p contents-hash="55a64819bfa05a62b9afccc0a3e3f01d8377e79cf1d029c2918879f71fbeefc9" dmcf-pid="z3XxCHkPvx" dmcf-ptype="general">[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W키트] 美·日 CISO 커뮤니티 '활발'…韓선 후순위 취급 06-30 다음 [스타트업리뷰] AI로 4050세대 맞춤 라이프스타일 제시...'퀸잇' 06-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