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컨테이너선 단 3척… 美 최대 아시아 무역항도 ‘텅텅’ 작성일 07-01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미국 LA 롱비치 항구 가보니</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bXBzx0C7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0fcb6bf06b6f8071c883a195fdf17992db6b48a12201784f3c7d0cafaf7a4e0" dmcf-pid="VKZbqMphF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5월 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항구의 크레인이 정박 중인 선박이 없어 멈춰선 상태다. 미국의 대(對)아시아 최대 무역항인 롱비치 항구는 관세 정책 등의 여파로 지난 5월 수입 컨테이너가 전년 대비 13% 줄었다. /AFP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chosun/20250701003447558fbmw.jpg" data-org-width="5000" dmcf-mid="KwsXGzvaU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chosun/20250701003447558fbm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5월 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항구의 크레인이 정박 중인 선박이 없어 멈춰선 상태다. 미국의 대(對)아시아 최대 무역항인 롱비치 항구는 관세 정책 등의 여파로 지난 5월 수입 컨테이너가 전년 대비 13% 줄었다. /AFP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69c1e50647d98bb819851638ee169385cafd133d01ce97146f17d9c0e305718" dmcf-pid="f95KBRUlUr" dmcf-ptype="general">지난 28일 오후 1시쯤(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롱비치 항구. 축구장 162개 크기(약 37만평)의 컨테이너 전용인 ‘롱비치 컨테이너 터미널’에는 정박 중인 선박이 한 척도 없었다. 맞은편 다른 터미널에는 소금 운반선 한 척만 보였다. 선박에서 지상 야적장으로 컨테이너를 옮기는 크레인은 대부분 멈춰 선 상태였다.</p> <p contents-hash="5a393489f33b7338cc5a85b630d0f2e8810346b7cc5b374e798842c14cdb9b46" dmcf-pid="4219beuS3w" dmcf-ptype="general">롱비치 항구는 인근 LA 항구와 함께 미국의 대(對)아시아 최대 무역항으로 미국 내에서 가장 바쁜 항구 중 하나로 꼽힌다. 중국은 물론이고 한국의 자동차, 전자제품 등 주요 수출 품목이 대부분 이곳을 거쳐 미국 내륙으로 운반된다. 롱비치항에는 하루 평균 5~6척의 컨테이너 선박이 들어오지만 이날 입항 선박은 홍콩에서 온 ‘코스코’ 선박을 비롯해 3척뿐이었다. 진 세로카 LA항 전무이사는 “하루 입항 선박 수는 예년 절반 수준”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a71d2d9548171079aaee073f6d2fced7465c5cf77990ff2f2d8500b3b3d88305" dmcf-pid="8Vt2Kd7v3D" dmcf-ptype="general">글로벌 경기 불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미국의 관세 정책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물동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 탓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말까지 나온다. 12년간 롱비치 항구에서 보안 업무를 해온 프랭크(71)씨는 “대부분의 터미널이 가동률을 줄여 운영하는 상태”라며 “경제가 어려워질 때 화물이 감소하는 건 당연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까지 겹치며 항구 전체가 혼란스럽다”고 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675aa48f545098ce396fba27531616daefe4c05cf4e0be88ff1453dbd5a787a" dmcf-pid="6fFV9JzTu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래픽=이철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chosun/20250701003448929ptdg.jpg" data-org-width="480" dmcf-mid="9GY7U6ts3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chosun/20250701003448929ptd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래픽=이철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1b0e9c031a7d68ab7b697b3f794810d6a783de3f8bced653f08bffa4e2b7ac6" dmcf-pid="P804VnBWFk" dmcf-ptype="general"><strong>◇글로벌 경기 침체에 물동량 급감</strong></p> <p contents-hash="44341558d3ddb01254b8f630f83d19a0a34a0040d602497d24afda46b6609fd0" dmcf-pid="Q6p8fLbYUc" dmcf-ptype="general">이날 롱비치 항구 야적장 곳곳에 빈 공간이 보였다. 한 직원은 “평소라면 빼곡하게 6층까지 컨테이너를 쌓아 놓지만, 최근엔 물량이 줄어서 3~4층 정도만 쌓아두는 수준”이라며 “반대편 야적장은 절반 가까이 빈 공간이다”라고 했다.</p> <p contents-hash="73dfa021af28787dbb14aab091ba1fbd949cac9bb59c47bbf4ebe041fe4ae882" dmcf-pid="xPU64oKGuA" dmcf-ptype="general">롱비치 항만청에 따르면 지난 5월 롱비치항에 들어온 수입 컨테이너는 29만 9116개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같은 달 LA항 수입 컨테이너 처리 개수도 전년 보다 9% 감소했다. LA항에서 일하는 트럭 운전기사 마누씨는 “매주 LA항에 와서 물건을 북부 캘리포니아로 옮기는데, 항구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가 확연하게 줄어든 게 눈으로 느껴질 정도다”라며 “코스트코엔 달걀이 없고, 우리도 일감이 줄고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a848469b93cfb4a3e02b6ae6764ab7921809983653c89929193fbd2e1f3d67eb" dmcf-pid="yvAShtme0j" dmcf-ptype="general">미국 서부 최대 항구의 현재 모습은 미·중 무역 전쟁과 관세 전쟁으로 촉발된 글로벌 경기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4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2.8%로 예측했다. 지난해 3.7% 전망에서 큰 폭으로 낮춘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1%였던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월 들어 2.8%로 수정했다.</p> <p contents-hash="367a2144a8aa6334c23391498cc255a7d50c063c27bb985eae78b35ffda5f8f0" dmcf-pid="WTcvlFsdpN" dmcf-ptype="general">지난해 10% 증가했던 우리나라의 대미(對美) 수출도 올 들어 부진하다. 4월과 5월 대미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7%, 8.1% 감소했다. 올 들어 5월까지 대미 수출 증가율은 -4.4%를 기록 중이다.</p> <p contents-hash="bda438307c21634a21c680ddcf737fb80ebfb9b2dd42e8bb8d438a3fa0b80b01" dmcf-pid="YykTS3OJFa" dmcf-ptype="general">미국의 관세 정책, 정부 부채 증가, 높은 인플레이션, 중동 등을 비롯한 지정학적 갈등 등이 경제 전망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글로벌 경제는 전반적으로 성장 둔화와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하반기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이다.</p> <p contents-hash="4b8f0a25bd9852252e49b954baea39e4e33f78076ae7229aa9cb3a295ec3eea7" dmcf-pid="GWEyv0Ii0g" dmcf-ptype="general"><strong>◇일자리 감소...지역 경제도 타격</strong></p> <p contents-hash="04f01baa00bc67c55205d1111f0b2e1845959c6ce2f3451143aa623a75b827f7" dmcf-pid="HYDWTpCn7o" dmcf-ptype="general">미 서부 최대 항구의 부진은 지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날 롱비치 항구의 한 철광석 업체 야적장엔 약 9만7000톤의 철광석이 쌓인 채로 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미·중 무역 전쟁으로 중국으로 철광석 수출이 어렵게 되면서 지난 3월 문을 닫았다고 한다. 직원 20명이 해고됐고, 철광석을 채굴하던 미 유타주 광산도 가동 중단됐다. LA타임스는 “LA항에선 1575명의 하역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구하고 있지만 제공된 일자리는 733건에 불과했다”며 “관세 정책 시행 이후엔 일자리가 눈에 띄게 감소해 이전과 같이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독박 농사' 아내 "이장직 그만, 생활비도 내 몫" VS 남편 "집에 소홀 안 해" ('결혼지옥') 07-01 다음 오은영, 확실하게 루머 종결…'오은영 스테이' 통해 최초 공개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