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작성일 07-01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스웨덴 연구팀 "게놈 이용한 진화 연구…노르웨이레밍, 3만5천년 전 분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91sAEP37t"> <p contents-hash="11655bdee693a912b9b959c823fd76173bdef488d3a447528788c7917a69d411" dmcf-pid="U2tOcDQ031"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전체 유전체(게놈)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동물 진화 연구에서 북유럽에 사는 설치류인 노르웨이레밍(Lemmus lemmus)이 3만5천년 전 개별 종으로 분화해 가장 최근에 진화한 포유류 중 하나로 밝혀졌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791ebe6feb59584a4669950f0017e7c1dce36ad23be66d649480b4d306454a8" dmcf-pid="uVFIkwxpu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스웨덴 사렉 국립공원 바위 사이의 노르웨이레밍 [Love Dalé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yonhap/20250701050204284smot.jpg" data-org-width="700" dmcf-mid="FRf1yGc6p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yonhap/20250701050204284smo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스웨덴 사렉 국립공원 바위 사이의 노르웨이레밍 [Love Dalé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c590f18f5bb83852660e3814e8e001217a1f82602651ba1075aa914ff40282e" dmcf-pid="7f3CErMU0Z" dmcf-ptype="general">스웨덴 스톡홀름대 다비드 디에스 델 몰리노 교수팀은 1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현대 레밍과 고대 레밍의 게놈을 분석, 노르웨이레밍이 3만5천년 전 마지막 빙하기에 시베리아레밍(Lemmus sibiricus)에서 분화해 독립한 종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6945daa25fbd20fd1be52cda205e29d071074b0417e8453f3f04341051a5050" dmcf-pid="za63GZDx7X"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 결과는 노르웨이레밍이 알려진 포유류 중 가장 최근 진화한 종 중 하나이며 비교적 근래의 기후변화도 종의 빠른 형성과 고립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또한 이 연구는 게놈 분석이 오랜 진화학적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096b34cdf5645782ffdf64e4a67570f37fecf21d04251de7dde34d63454a37f" dmcf-pid="qNP0H5wM7H" dmcf-ptype="general">몰리노 교수는 "노르웨이레밍은 북유럽 페노스칸디아 툰드라 생태계에서 북극여우 같은 멸종 위기 포식 동물 등의 주요 먹잇감이 되는 핵심 생물종"이라며 "진화 생물학적 관점에서도 매우 흥미로운 종이지만 유전체학적으로는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581f5c599d67113a7ddf63b7a361d01197799450c76dbb3c18cfb06f6af8e17a" dmcf-pid="BjQpX1rRpG"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북극권 주변에서 채집한 현대 레밍 표본 9마리와 고대 레밍 표본 2마리에서 게놈을 추출, 첨단 분석기법으로 전체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비교해 이들 사이의 진화적 역사를 재구성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e5b5ea9fa8d68aa47404810de452d4acc8aeffd145b92cf25fa677daa5de6f5" dmcf-pid="bAxUZtmeF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현대 레밍 9마리와 고대 레밍 2마리 표본 채취 위치 노르웨이레밍(L. lemmus;연두색), 고대 레밍(Lemmus;진녹색), 서시베리아레밍(L. sibiricus West;분홍색), 동시베리아레밍(L. sibiricus East;보라색), 근극지갈색레밍 (L. trimucronatus;파란색). [PNAS / Edana Lord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yonhap/20250701050205504xpxj.jpg" data-org-width="1152" dmcf-mid="0wxUZtme3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yonhap/20250701050205504xpx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현대 레밍 9마리와 고대 레밍 2마리 표본 채취 위치 노르웨이레밍(L. lemmus;연두색), 고대 레밍(Lemmus;진녹색), 서시베리아레밍(L. sibiricus West;분홍색), 동시베리아레밍(L. sibiricus East;보라색), 근극지갈색레밍 (L. trimucronatus;파란색). [PNAS / Edana Lord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dc6178a7c3e1d935a44c718e2778d8ddbcda5df45bf4e5ab7095b6ff05c07f8" dmcf-pid="KcMu5FsdFW"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노르웨이레밍은 진화적으로 볼 때 매우 근래에 해당하는 약 3만5천년 전인 마지막 빙하기의 극대기 직전에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서시베리아레밍에서 별도 종으로 분화해 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p> <p contents-hash="0f7407e5c2ed67db860848597acd8fe261011bf82266a487716acddb42770d05" dmcf-pid="9kR713OJ7y" dmcf-ptype="general">노르웨이레밍에서는 고유의 돌연변이 수백 개가 확인됐다. 특히 털 색깔, 지방 대사, 공격성 등 행동과 관련된 유전자 등에 돌연변이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3f382ed5b968e668f4a5021bd6caa8e7798f629b178a3781d87603d131766062" dmcf-pid="2Eezt0IizT"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런 유전체적 차이들은 노르웨이레밍 특유의 검정-노랑 무늬 털, 겨울철에도 활발한 활동성 등과 관련이 있다며 이는 혹독한 페노스칸디아 툰드라 환경과 포식 압력에 적응한 결과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55fd49da3e41a6a5498bafbde68063ea8cab6460822a90108f883b65f16c527" dmcf-pid="VDdqFpCnuv" dmcf-ptype="general">또 노르웨이레밍과 시베리아레밍은 갈라진 뒤 서로 교잡 흔적이 전혀 없었다며 이처럼 두 종 사이에 유전자 흐름이 없는 것은 분화 시점이 매우 최근이고 분포 범위까지 거의 겹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4d317397e53a5c35ce1e62c4e68224af71ac44f53c04f21c8f161096c59dec4" dmcf-pid="fwJB3UhL3S" dmcf-ptype="general">논문 제1 저자 겸 공동 교신저자인 에다나 로드 박사는 "이 연구는 노르웨이레밍이 가장 최근 진화한 포유류 중 하나이고, 그 시기가 진화 시간 척도상 매우 최근임을 보여준다"며 "두 종은 분화 후 서로 격리돼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e3cb8c04436bcee25286c1b8bbb37d19ee664f58ec241e1fc0d3aa1a9045fe9" dmcf-pid="4rib0ulo3l" dmcf-ptype="general">논문 공동 저자인 러브 달렌 교수는 "이 연구는 레밍 종의 분화 및 진화에 대한 이해에 큰 진전"이라며 "고대 유전자의 흐름을 추적하고 노르웨이레밍에서 관찰되는 고유한 유전적 적응이 언제부터 나타났는지 정밀하게 규명하는 향후 연구에 토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a1b4b56f1c017e1a39f00b2f168857919453e6a2cd6955a7b98b3534bd45fcd8" dmcf-pid="8mnKp7SgUh" dmcf-ptype="general">◆ 출처 : PNAS, Edana Lord et al., 'Genome analyses suggest recent speciation and post-glacial isolation in the Norwegian lemming', http://dx.doi.org/10.1073/pnas.2424333122</p> <p contents-hash="b9455ae7a03c89918ac68fbdb6ccb65ab3c288bcb4f4d452fc3d088ab6850943" dmcf-pid="6RBYCSo97C" dmcf-ptype="general">scitech@yna.co.kr</p> <p contents-hash="9e84dd9f2890bce57e48114fbc43a6569500763187bc90e89345946644b8b0a1" dmcf-pid="QdKHlTaV0O"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나에겐 너뿐이야"...'챗GPT 정신병' 죽음의 문턱까지 가는 사람들 [쓸만한 이슈] 07-01 다음 '이혼 경험' 서장훈 "결혼 급하게 하면 이상하다"는 우즈벡 유학생에 공감('물어보살')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