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사상 첫 핵융합발전 전기 구매…빅테크 에너지 선점 경쟁 과열[송영찬의 실밸포커스] 작성일 07-01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lOaeJzTX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dbd69c7f0ff0272bfde0939e841aa51a8e08381d5ca48c115f1d92adad68307" dmcf-pid="pSINdiqyH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커먼웰스퓨전시스템(CFS)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ked/20250701090703351rsfo.jpg" data-org-width="1200" dmcf-mid="tuikLg9Ht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ked/20250701090703351rsf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커먼웰스퓨전시스템(CFS)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045a999d0c159f76f246ff5f3aec305f9c3c7a1947f402bff9e1f16be21a2f3" dmcf-pid="UvCjJnBWtC" dmcf-ptype="general">구글이 ‘꿈의 청정 에너지’라 불리는 핵융합 발전 전력을 구매하는 계약을 처음으로 체결했다. 인공지능(AI) 개발과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막대한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선 기존의 화석에너지 발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빅테크의 미래 전력 구매 계약이 소형모듈원전(SMR)에 이어 핵융합 발전으로까지 확대되며 혁신기업 선점 경쟁도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p> <p contents-hash="f7ee895f215cc4acf1e7608e67a9e776a2c31f712258b10e6aac7474b8074270" dmcf-pid="uThAiLbYXI" dmcf-ptype="general"><strong><span> 구글 "핵융합 발전 미래에 베팅"</span></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0355da86b64aabc2c2bb335ea5e97b78b9ef3ce1cda88ae04e6d561b9906337" dmcf-pid="7ylcnoKGX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REUTERS"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ked/20250701090704638ncpq.jpg" data-org-width="1200" dmcf-mid="Fpfd8PFOG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ked/20250701090704638ncp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REUTERS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2de36d5a28a6160376c8e8a9528f5256582a6f8a26b877e05c7d3fe9bb6af36" dmcf-pid="zWSkLg9HYs" dmcf-ptype="general">30일(현지시간) 구글은 핵융합 발전 기업 커먼웰스퓨전시스템(CFS)으로부터 200메가와트(MW)의 에너지를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0MW는 CFS가 미국 버지니아주에 건설 중인 첫 번째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아크(ARC)’의 전체 발전 용량(400MW)의 절반에 해당한다. 마이클 터렐 구글 첨단 에너지 총괄은 “세계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는 데 변혁적인 잠재력을 가진 핵융합 발전 기술에 장기적으로 베팅하기로 했다”며 “핵융합 발전의 상용화는 매우 어렵고 성공이 보장되지는 않지만 구현된다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7021dcd1ac5e1431dbcb9eddf1215c96246d1e106ef560dd49047e8f377b62d" dmcf-pid="qYvEoa2Xtm" dmcf-ptype="general">핵융합 발전 전력은 ‘꿈의 청정 에너지’로 불린다. 태양이 빛을 내는 원리로 핵융합을 활용하면 중수소 100㎏만으로도 석탄 300만t을 태운 것 같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데다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과 탄소를 배출하지 않아서다. 하지만 핵융합을 일으킬 수 있는 초고온 조건을 만드는 과정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투입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설립된 뒤 분사한 CFS는 2022년 자체 개발한 핵융합로에서 투입 에너지보다 생산 에너지가 더 많은 ‘순 에너지’ 달성에 성공하며 상용화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기업으로 꼽힌다. </p> <p contents-hash="cb58aae72cca14b9e59dd23762f763bfc4e95afa611af86712708ad2d69afa28" dmcf-pid="BUFvmOdzGr" dmcf-ptype="general">구글은 “CFS가 과학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CFS에 대한 지분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구글은 세부적인 재무 상황에 대해선 공개하지 않았지만, 2021년 시작한 CFS에 대한 투자 규모를 대폭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CFS는 과거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와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로부터도 총 20억달러(약 2조7000억원)가 넘는 자본을 조달했다. </p> <p contents-hash="5a2f9a0437d134660f578caf1240c4c79131cac85388288c9b72e98e6b5b13bd" dmcf-pid="bu3TsIJqGw" dmcf-ptype="general"><strong><span> 빅테크의 핵융합 베팅 늘어난다 </span></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e57f384bbab5709e3d7d3fb73cad18aed54132632e2156ffa8c3ee8b01107d5" dmcf-pid="K70yOCiBH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ked/20250701090705931tmec.jpg" data-org-width="1066" dmcf-mid="33XIkDQ01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ked/20250701090705931tmec.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dcb943ec672a276bda2af07af966a9a31b1ac66196ddc9a6a4f98039cf1d58ab" dmcf-pid="9zpWIhnbtE" dmcf-ptype="general">핵융합에 베팅하는 빅테크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AI 발전과 서비스 운영에 있어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데이터센터가 필요로 하는 막대한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선 ‘인공 태양’이라 불리는 핵융합 발전 기술을 선점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한 인터뷰에서 “에너지 돌파구 없이 범용인공지능(AGI)에 도달할 방법이 없다”며 “핵융합 발전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p> <p contents-hash="094c012f0f2455f317eb3e0080c8ccb348bcc6de7e5242aec982ce9b8658d42c" dmcf-pid="2qUYClLK5k" dmcf-ptype="general">빅테크가 눈독 들이고 있는 핵융합 기업은 CFS 뿐만이 아니다. CFS와 함께 양대 핵융합 스타트업으로 꼽히는 헬리온에너지는 지난 1월 4억2500만달러(약 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당시 이 투자에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이끄는 비전펀드가 참여했다. 2023년 MS는 헬리온에너지와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4c9363d8e2c601fc6fd86e33b5853eb237ae567ad324cfd2c44408dce411211d" dmcf-pid="VBuGhSo91c" dmcf-ptype="general">AI 패권을 둘러싼 미·중 경쟁이 핵융합 발전 기술 경쟁으로 옮겨가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기업이 주도하는 미국과 달리 중국은 국가 주도로 핵융합 에너지 연구개발(R&D)에 집중하고 있다. 중국은 허페이 일대에 핵융합 에너지 개발을 위한 대규모 연구시설 ‘CFETR’을 건설하고 있다. 중국은 CFETR에서 2040년대까지 200MW 규모의 핵융합 발전을 실증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p> <p contents-hash="a25032935fe4ad6deecbfe91bbcb6a1d9b358e77d02557eaf6857ea20c285ba5" dmcf-pid="fb7Hlvg2YA" dmcf-ptype="general">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인터뷰] 삼성SDS 김정민 상무 “국내 M/S 1위 RPA에 이어 에이전트 시대도 혁신 선도할 터” 07-01 다음 '女 당구, 김가영 울렁증 주의보!' 2차전 첫 판부터 애버 2.5, 이번에도 무적인가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