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화를 향한 1년” 로드나인, MMORPG 새 기준 세운다 작성일 07-01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8uFu1rRG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ace964b1bc0be01ea398da02b20612081a2eaaf4e00125930b37efad7eaa3b" dmcf-pid="t6737tme5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재영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이사(왼쪽)와 김효재 엔엑스쓰리게임즈 PD"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etimesi/20250701140310966ykaf.jpg" data-org-width="700" dmcf-mid="5q626KYcH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etimesi/20250701140310966yka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재영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이사(왼쪽)와 김효재 엔엑스쓰리게임즈 PD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7667a926e081571c207336cd85085968f2dade706474b0933e24f6ec48b5edd" dmcf-pid="FPz0zFsdHH" dmcf-ptype="general">스마일게이트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로드나인'이 1주년을 맞아 저과금 이용자도 장기적으로 즐길 수 있는 콘텐츠 확대와 유저 피드백 기반의 유연한 설계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3분기 내 글로벌 진출을 예고한 가운데 각 지역 특성에 맞춘 빌드 조정과 비과금형 콘텐츠 강화로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구현하겠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4dbfb65d603aff46d8151ce71c3a724fee0125b537a085edd7ec38fd7fc77a04" dmcf-pid="3MbubpCnZG" dmcf-ptype="general">로드나인 개발을 총괄한 김효재 엔엑스쓰리게임즈 PD는 “상품 판매 중심이 아닌 재미 중심의 논의와 시도를 지속해왔다”며 “초기 서비스 장애 등으로 부족한 점이 있었지만 개발팀도 그만큼 성장했고, 장기 서비스를 이어갈 수 있는 자신감이 생긴 1년이었다”고 자평했다.</p> <p contents-hash="b035ae355fcbc078bb2b2a988e9b95a31c5daa3fe1dc39dba5745be81bd72852" dmcf-pid="0RK7KUhL1Y" dmcf-ptype="general">로드나인은 과금과 무관하게 즐길 수 있는 콘텐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 사례인 '호문 레이싱'은 순수 재미 중심의 콘텐츠로, 과금 요소 없이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하다. 김 PD는 “이용자 간 커뮤니티와 이야깃거리가 MMORPG의 핵심”이라며 “이런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b749298536c721b992ea3f7eae426eeed0d74f05a78106bb5c552a1b54bc16f9" dmcf-pid="pe9z9uloYW" dmcf-ptype="general">게임의 방향성 역시 유연하게 진화하고 있다. 초기엔 RPG 개발자의 고집이 반영된 설계가 많았지만 이용자 피드백과 시장 트렌드에 따라 콘텐츠 구조도 재설계됐다. '수련의 전당' 던전 등에서 유저 의견을 반영하며 합리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다.</p> <p contents-hash="5687071f9866643a75353c6d0f0754e02263e39098d96bc3214d98feb9461125" dmcf-pid="Ud2q27SgHy" dmcf-ptype="general">오는 3분기 로드나인의 글로벌 진출도 예고했다. 한국과 대만 이외 지역의 MMORPG 이용 행태에 맞춰 템포를 조정하고 진입 장벽을 낮춘 빌드를 준비 중이다. 특히 전투와 성장이 이용자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 마스터리·어빌리티 시스템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판단이다.</p> <p contents-hash="93cfe869c00301a18714842349122d0f75ab6c51186d7d76e723169e76f9bdf4" dmcf-pid="uJVBVzva1T" dmcf-ptype="general">한재영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이사는 “글로벌에서는 '한국형 MMORPG'라는 단어 자체가 장벽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콘솔 이용자와도 접점이 있는 게임”이라며 “글로벌 현지 유저와의 접점 강화와 유연한 콘텐츠 설계를 통해 장기적으로 자리 잡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9139f6c222e1785567a0df9e2d9f44061e42fadcdc957ec0b7d62b96b33502d7" dmcf-pid="7ifbfqTN1v" dmcf-ptype="general">이용자 반발이 있었던 아티팩트 비즈니스 모델(BM) 도입과 관련해서는 “즉각적 전면 배포보다는 단계별 보상 구조로 접근하고 있다”며 “기존 과금 유저와 신규 유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조율 중”이라고 설명했다. '뽑기형 상품은 도입하지 않겠다'는 기존 약속도 재확인했다.</p> <p contents-hash="d1044d5c2f694d6609584861826305440a6b20bf6aa20a4dcaa682e0e731e1b4" dmcf-pid="zn4K4ByjZS" dmcf-ptype="general">로드나인은 현재 서버 통합, 신규 콘텐츠, 라이브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병행하며 다음 1년을 준비하고 있다. 김 PD는 “다른 게임을 따라가기보다 차별화된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어갈 것”이라며 “유저들에게 오래 기억될 수 있는 게임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d512f58c48590b6cd057afb1ae186d6bea718f091f0c636e5a05b3a529dd79d" dmcf-pid="qL898bWA1l" dmcf-ptype="general">박정은 기자 jepark@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KT, 통합계정접근관리 체계 구축한다…내부 보안 단속 강화 07-01 다음 스포츠윤리센터, 임직원 참여 '플로깅 데이'로 ESG 경영 실천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