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광산업, 사업구조 재편에 조단위 투자…“교환사채 발행은 생존 위한 조치” 작성일 07-01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BdDOk6F1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4f60deae3a261977d8803c8121b778bdcc7bc9b9bd1df781c9c9ec9f8f643f7" dmcf-pid="ywHq27SgG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태광"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etimesi/20250701140307240ewlx.jpg" data-org-width="700" dmcf-mid="PB5slrMUX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etimesi/20250701140307240ewl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태광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4df66ce8a643757d877136f40ae5412969e5c45e4284d644d94b46aa36af90e" dmcf-pid="WrXBVzvatL" dmcf-ptype="general">사업구조 재편에 나선 태광산업이 화장품·에너지·부동산개발 관련 기업 인수와 설립을 위해 조단위 자금을 투입한다. 이같은 자금 마련을 위해 교환사채(EB) 발행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p> <p contents-hash="ede6a67ae45b8d7cac03adbe100bcb64f56d560ebff96ca98be7f7426de7c925" dmcf-pid="Y7Mcrjf5Yn" dmcf-ptype="general">1일 업계에 따르면 태광산업은 이날 오전 이사회를 다시 열고 투자자금 확보를 위한 EB 발행을 재논의했다.</p> <p contents-hash="223034de7e7144ce88a5d873be53657dcbaeb9b3becd012506c5b88f2ab53406" dmcf-pid="GzRkmA411i" dmcf-ptype="general">회사는 지난달 27일 이사회서 자사주 전량(지분 24.41%)을 교환대상으로 하는 3186억원 규모의 EB 발행을 의결했지만 금융감독원은 처분 상대방을 결의하지 않았다며 정정명령을 부과했다. 2대주주인 트러스톤자산운용도 위법행위 중지를 요청하는 가처분을 신청했다.</p> <p contents-hash="a4d81ae7f5a8c66b8ce3e0c9ba992417d072e7f680efb2e4361a11d206b28607" dmcf-pid="HqeEsc8ttJ" dmcf-ptype="general">다만 태광산업 측은 주력 산업인 석유화학과 섬유 부문의 업황이 극도로 악화한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를 통한 사업구조의 재편 없이는 미래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p> <p contents-hash="8a2db8cffa97010ac19a9e6df56a267364fd119bbed6c9c7ddb2365727e5c1b5" dmcf-pid="XBdDOk6Ftd" dmcf-ptype="general">태광산업 관계자는 “내년까지 집행할 투자 규모는 현재 보유 중인 투자가용자금을 크게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사업구조 재편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올인'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d6aedfa27bc15ecdc15a7515faab600ee8d22f46c9e9344bde31119c5a208aa" dmcf-pid="ZbJwIEP31e"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 태광산업은 올해와 내년에 1조5000억원 가량을 투입하는 투자 로드맵을 설정해 놓고 있다. 투자계획이 예정대로 실행되면 올해에만 연말까지 1조원 가량을 집행하게 된다.</p> <p contents-hash="1d2f29299f4bd1329e761a90cdaab196de5045a0e999b5380a34554dd3acc247" dmcf-pid="5KirCDQ05R" dmcf-ptype="general">태광산업은 신규 진입을 모색하고 있는 화장품·에너지·부동산개발 관련 기업의 인수에 자금의 상당 부분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미 투자 자회사를 설립해 뷰티 관련 기업 등에 대한 투자를 추진 중이다. 한편으로는 관심 업종의 신규 법인 설립도 진행하고 있다.</p> <p contents-hash="0f1bbcc3857883032e422ac17d13276082fec049521ca69ebe36294ca33c00f3" dmcf-pid="19nmhwxp1M" dmcf-ptype="general">태광산업은 현재 유보금으로는 투자자금을 충당할 수 없어 외부 자금 조달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5월말 기준 태광산업이 보유한 현금성 자금은 1조9000억원에 달하지만 실제 신규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은 1조원 미만으로 추산된다.</p> <p contents-hash="afaebca90734caa1ce721b78f0ada8efd03cd34631708bdb5f92496526ffff31" dmcf-pid="t2LslrMU5x" dmcf-ptype="general">우선 기존 석유화학 및 섬유 부문에 5000억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하다. 또 업황 악화에 대비해 3.5개월치 예비운영자금 5600억원도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한다. 여기에 석유화학 2공장과 저융점섬유(LMF) 공장이 가동을 중단하면서 시설 철거와 인력 재배치에도 상당한 자금이 소요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97637ef8086b75f40e8add1cae577cbbda84e2da8373cf60400bf87d1fa1bed6" dmcf-pid="FpPNEg9HZQ" dmcf-ptype="general">태광산업은 교환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3186억원도 사업구조 재편에 투입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805961cabfd69b915bb2c1f976ea10a6bd22cc945dc709d83978367e2a0c8ba9" dmcf-pid="3UQjDa2XHP" dmcf-ptype="general">태광산업 관계자는 “일부 나일론 생산공장과 중국 스판덱스 공장도 조만간 가동 중단이 불가피하다”며 “이들 공장은 생산 중단 시 매출 없이 고정비 지출만 발생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예비운영자금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2fb136965edcce95633fbda6c7313dd7d1f7b25e6edb5771934ecbdb8d62c05" dmcf-pid="0uxAwNVZY6" dmcf-ptype="general">석유화학 업종의 불황이 지속되면서 태광산업의 실적 악화도 지속되고 있다. 매출은 2022년 2조6066억원에서 지난해 2조1218억원으로 줄었고, 영업손익은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067cd8c1f57e9737ee0ab498f5632c0a1d9b65080ce7ccee9e34a0f31e560cc0" dmcf-pid="p7Mcrjf5G8" dmcf-ptype="general">태광산업 관계자는 “현 정부의 정책을 반영해 자사주를 소각하고 이를 통해 주식가치를 높이는 일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적극적 투자와 사업재편을 통해 생존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며 “교환사채 발행을 통한 투자자금 확보는 회사의 존립과 직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0eccec051af477efe347924dd13fef3024a3386cc5519b9230ae86bed28d1644" dmcf-pid="UzRkmA41X4" dmcf-ptype="general">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360도 파노라마 사진 한 장으로 3D 구현한다 07-01 다음 SKT, 통합계정접근관리 체계 구축한다…내부 보안 단속 강화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