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디지털 신원 지갑 국제표준 개발 나선다 작성일 07-01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nNIYhnbv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350c88759508ba26f40a8b637bb485f112e13ffed96790667db3ace9115e641" dmcf-pid="zUBxoRUll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내 연구진이 디지털 신분증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 신원 지갑'의 국제표준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dongascience/20250701135736991cyff.jpg" data-org-width="594" dmcf-mid="uAOHpZDxW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dongascience/20250701135736991cyf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내 연구진이 디지털 신분증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 신원 지갑'의 국제표준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36f44eedb015b264b898280069b21de68c0bfa30d0c6363f9b1dd9f31bed9a9" dmcf-pid="qubMgeuSv0" dmcf-ptype="general">국내 연구진이 디지털 신분증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 신원 지갑'의 국제표준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디지털 신원 지갑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학생증, 신용카드 등 다양한 신분증을 스마트폰에 안전하게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인증 기술이다.</p> <p contents-hash="d27d4eb55623e00438543ca1eb88a9b221bd7fd53ad5e9b5860833c777f8690e" dmcf-pid="B7KRad7vv3" dmcf-ptype="general">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사이버보안연구본부 차세대시스템보안연구실이 중심이 돼 디지털 신원 지갑 기술의 국제표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2021년 국내에서 모바일 공무원증으로 시작된 디지털 신원 지갑은 현재 모바일 운전면허증, 모바일 주민등록증 등으로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p> <p contents-hash="10c96089d22b191b7ab0f7c375a390a723484f774ad1ff809abc7fc8a2308695" dmcf-pid="bz9eNJzTCF" dmcf-ptype="general">ETRI는 그간의 신원 인증 기술 연구를 통해 디지털 신원 지갑의 기반이 되는 △사용자 중심 ID 관리 기술 △멀티팩터 인증 기술 등을 개발해왔으며 다수의 핵심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7daffbaf3cff69085591d86862e9e54602001fa526c7834f79e0fb0b9917fac0" dmcf-pid="Kq2djiqySt" dmcf-ptype="general">특히 사용자 중심 ID 관리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 정보를 직접 통제하고 선택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이다. ETRI 연구팀은 분산 식별자(DID)를 기술에 적용해 개인정보보호와 신뢰성을 강화했다. DID는 블록체인 같은 분산 네트워크를 활용해 중앙 기관 없이도 신원 정보를 증명하고 통제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ID다. </p> <p contents-hash="7cad1bf3d0e360f63d1cd59408a55765f1e61ebc182eca4183becefddcf22953" dmcf-pid="9BVJAnBWl1" dmcf-ptype="general">ETRI 연구진은 국제표준 개발을 통해 △디지털 신원 지갑의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국제표준 특허 개발 △공적표준화 기구와의 연계 기술 개발 △금융·공공·산업 분야에서의 실증 적용 확대 등을 추진한다. ETRI는 디지털 신원 인증 기술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금융보안원'과 협력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5ce5aba7aa4e6ddcc7ba3d7454b1b122cce47ff1a5696a742a61017cc0fd0327" dmcf-pid="2bficLbYl5" dmcf-ptype="general">또 디지털 신원 지갑 기술을 위한 엔진을 개발하는 글로벌 협의체인 ‘오픈월렛파운데이션(OpenWallet Foundation)’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업체 '호패'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유럽과 국내 시장에서 기술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디지털 신원 인증 법률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 규정(eIDAS 2.0)이 올해 5월 발효됐다. 2030년까지 유럽연합(EU) 시민 80%가 디지털 신원 지갑을 사용하는 게 목표다.</p> <p contents-hash="77014df614060d2bd999093cfc54e1d40c8dd664100cf72fa1cc57d6297dfefb" dmcf-pid="VK4nkoKGSZ" dmcf-ptype="general">또한 국제표준화기구 ITU, 리눅스재단 산하 오픈월렛포럼 등도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대를 위한 협력을 강화중이다.</p> <p contents-hash="efe069fdc080d9eb0bca286c2152a1c47226afe2adb0c30c2690e4962bd3998b" dmcf-pid="f98LEg9HyX" dmcf-ptype="general">ETRI 사이버보안연구본부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국민의 디지털 삶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고, 디지털 신원 인증 산업 전반에 걸쳐 기술적 파급효과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p> <p contents-hash="8d54b8fd34f1ab3a9dd24eaaf5727024718efd67f7b5097d4741089ba51fbc1b" dmcf-pid="426oDa2XyH" dmcf-ptype="general">방승찬 ETRI 원장은 “국제표준화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국가 차원의 전략적 활동이다"며 "디지털 신원 인증 기술에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db0711c100e8dbb10118853b26612da4e14b9fc3a33a46d458ee0c96ac31b72" dmcf-pid="8VPgwNVZTG" dmcf-ptype="general">ETRI가 추진하는 표준화 과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정보통신방송 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이다. ETRI가 주관하고 금융보안원과 호패가 공동으로 사업에 참여한다. </p> <p contents-hash="c201eff81db45e0599c1c669ab928da351f8484a741e5e3c732452d256a446a4" dmcf-pid="6fQarjf5yY" dmcf-ptype="general">[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초지능’ 개발로 선두”···AI 인재 빨아들인 메타의 승부수 07-01 다음 ‘AI 대 AI’의 전장이 된 사이버 보안…진정한 방어막은?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