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 업고 시장 넓히는 네이버…글로벌 틈새시장 노린다 작성일 07-01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사우디와 디지털 트윈 협력, 아시아·EMEA엔 AI로 기술 현지화<br>자체 추론모델 '하이퍼클로바 X 씽크' 개발…디지털 주권 잡는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bHFz45rU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7e89c55fa466257a76d28657f1fbc8ac6848d925fac78c75b0e7189a065b2d5" dmcf-pid="6KX3q81mp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네이버의 기술로 만든 사우디아라비아 디지털 트윈 플랫폼 'KSA Digital Twin System'의 사용화면 (네이버 홈페이지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NEWS1/20250701164037956pqon.gif" data-org-width="600" dmcf-mid="VhBLcIJqF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NEWS1/20250701164037956pqon.gif" width="600"></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네이버의 기술로 만든 사우디아라비아 디지털 트윈 플랫폼 'KSA Digital Twin System'의 사용화면 (네이버 홈페이지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9edb947572cf63f0d1d712c757743f1de8d8690ab73c75eb0295fc27d75e1c3" dmcf-pid="P9Z0B6tsu3"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신은빈 기자 = 네이버(035420)가 네이버클라우드의 첨단기술과 인공지능(AI) 역량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곳곳에 손을 뻗고 있다. 중동과 동남아시아 등 기술 틈새시장을 파고들며 경쟁력을 확보하는 모습이다.</p> <h3 contents-hash="62cfb139b8573512f6641248d707952a53a26db2658846aa34e333d1fdd432a6" dmcf-pid="Q25pbPFOUF" dmcf-ptype="h3">네이버의 디지털 트윈, 사우디에 입힌다</h3> <p contents-hash="61f1b608a74d9a743a96a8d5341b89ce3675754331029470bfbcbeaeec3bded6" dmcf-pid="xV1UKQ3Ipt" dmcf-ptype="general">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미래 신도시 '뉴 무라바'(New Murabba)에 로보틱스·자율주행·공간지능 등 첨단 기술을 공급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달 30일 뉴 무라바와 이 같은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p> <p contents-hash="34d4881bc0082aba2dba060415e61c3ffe410df9502efc2c188f07b42f0a6fb2" dmcf-pid="ytITZulo71" dmcf-ptype="general">뉴 무라바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추진하는 대표 미래형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다. 현재 수도인 리야드에서 15㎢ 규모로 건설 중으로 대규모 주거·상업 시설과 학교, 병원 등 공공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0f666ecf0708d6fcfe787565fdff43bad7a3a7400d48d3248bd154c3fb7b8b7" dmcf-pid="WFCy57SgU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우디아라비아의 미래 신도시 '뉴 무라바'(New Murabba) 중심에 들어설 상징 건축물 '무카브'(The Mukaab). (뉴 무라바 홈페이지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NEWS1/20250701164040029eddq.jpg" data-org-width="877" dmcf-mid="f1Rsv5wM7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NEWS1/20250701164040029edd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우디아라비아의 미래 신도시 '뉴 무라바'(New Murabba) 중심에 들어설 상징 건축물 '무카브'(The Mukaab). (뉴 무라바 홈페이지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c49e3ba9a60a193f0433ffe48aee9577dea517475f6a551ab54189852729414" dmcf-pid="Y3hW1zva7Z" dmcf-ptype="general">네이버는 전부터 사우디아라비아와 협력을 이어왔다. 2023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로부터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한 뒤 지난해 7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p> <p contents-hash="27ac3b7703f048d3b5d38b7323e5173c9dc1be97eba741f378930809bce6dc49" dmcf-pid="G0lYtqTN0X" dmcf-ptype="general">6월 초에는 메카·메디나·제다 3개 도시에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했다. 3D 모델을 기반으로 토공량·경사도 등 지형을 분석해 도시를 개발하고, 홍수 시뮬레이션 기능으로 위험 지역을 시각화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을 적용한 도시 총면적은 서울시의 11배가 넘는 약 6800㎢다.</p> <p contents-hash="75fb309a514627a92a011fcfb72d1909e2b300dfa8e1959e273034db4e4b475a" dmcf-pid="HpSGFByjzH" dmcf-ptype="general">5월에는 네이버클라우드와 사우디아라비아 국립주택공사(NHC)의 합작법인 '네이버 이노베이션'(NAVER Innovation)을 신설했다. 지난해 9월 설립한 중동 지역 총괄법인 '네이버 아라비아' 산하의 첫 사업법인이다.</p> <h3 contents-hash="0d2c04e3f172552509ca98ce432acafb50134aee2bfd519e8b346e271fb79f54" dmcf-pid="XUvH3bWA3G" dmcf-ptype="h3">일본·태국·EMEA까지…AI 기술로 현지화 프로젝트</h3> <p contents-hash="4ce1dfd678fff26c4ff0ae89f315bb23fb3adf611dfcb28e8f0724c12b9eb66d" dmcf-pid="ZuTX0KYczY" dmcf-ptype="general">네이버클라우드는 AI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협력과 현지화 사업을 진행한다.</p> <p contents-hash="39b73668335777591909a0dce8f32df7bb26f0dc67187b92072d8b0a0056fa88" dmcf-pid="57yZp9GkpW" dmcf-ptype="general">지난달에는 일본 시마네현 이즈모시에 AI 안부 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CLOVA CareCall)을 도입하기로 했다. 클로바 케어콜은 대화형 AI가 독거노인이나 중장년 1인 가구에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다. 통화 중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즉시 복지사나 병원 등 지역 관계 기관에 연계해 준다.</p> <p contents-hash="fee6f24d64de4ba5327c333c07334fe5a9cb67107bef62d3a1c319fd6ac7880d" dmcf-pid="1zW5U2HE3y" dmcf-ptype="general">한국에서는 전국 229개 지자체 중 서울·경기·부산·대구·광주·강원 등 전국 140여 곳 시군구(5월 기준)에 이미 도입됐다.</p> <p contents-hash="579e08d10b5e74837717fdf0d415385683efe47849ebed7df726f2fee4929083" dmcf-pid="teqVxoKG3T" dmcf-ptype="general">동남아시아와 유럽·중동·아프리카(EMEA·Europe, the Middle East and Africa) 지역에서는 AI 기술 현지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p> <p contents-hash="67ef1223594ebbc0fd1c610bb3c7f1dea49b3c21e73a3a9a4fc65809fee2ace4" dmcf-pid="FdBfMg9HFv" dmcf-ptype="general">5월 태국의 AI 기업 '시암 AI 클라우드'와 협력해 태국어 기반의 초거대언어모델(LLM)과 AI 에이전트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태국이 독자적으로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LLM 구축 노하우와 기술력을 지원한다.</p> <p contents-hash="5b32d064392a9cc586eec2f212ae439e76d5d8c1870752b839a57ab53efd6dee" dmcf-pid="3Jb4Ra2X3S" dmcf-ptype="general">모로코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구축에도 참여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 플랫폼 운영 주체로 참여해 데이터 저장·처리·운영 전 과정을 현지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버린 클라우드·AI 구조 구축을 돕는다. EMEA 지역에 소버린AI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d8f39ececcf5392c94e4264a543887f68640413ce1319b26f956b5f29d26581" dmcf-pid="0iK8eNVZ0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네이버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NEWS1/20250701164041528djgw.jpg" data-org-width="1400" dmcf-mid="42vH3bWAu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NEWS1/20250701164041528djg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네이버 제공)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50a396bfc60c6c8d12dcd9a9400ab4f7ceb695ea0444e734a9b4c44daf5fb31a" dmcf-pid="pn96djf57h" dmcf-ptype="h3">자체 AI '하이퍼클로바 X'로 디지털 주권 강화</h3> <p contents-hash="5ad63173c876f04a9bba749b280c05c3bf57f849bfa6346e1632bed2c4cb228a" dmcf-pid="UL2PJA41uC" dmcf-ptype="general">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AI 모델을 동력 삼아 기술력은 물론 디지털 주권을 강화하고 있다.</p> <p contents-hash="a0b06bf54810e53787fe02b956d7f40023f6fa80ebcf47ae226cae62ac3e41cb" dmcf-pid="uoVQic8tFI" dmcf-ptype="general">최근 개발을 완료한 '하이퍼클로바 X 씽크'(HyperCLOVA X THINK)는 언어모델(HyperCLOVA X)과 멀티모달 모델(HyperCLOVA X Vision, HyperCLOVA X Audio, HyperCLOVA X Video 등)에 이은 추론 모델이다.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추론 능력을 기반으로 생각해서 대답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95090d028e6d7c2586bee71f6aff2026b462ec8c12763aaabbaa07c4bb3a8670" dmcf-pid="7gfxnk6FpO" dmcf-ptype="general">특히 이 추론 능력으로 한국어 이해도를 높였다. 한국어 성능 평가 지표 'KoBALT-700'과 'HAERAE-Bench' 벤치마크 측정에서도 국내외 주요 추론모델과 오픈소스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f69dab730290ff0cf03730e13edb59f07432296721bbd70b97b213c18fd94823" dmcf-pid="za4MLEP3Fs" dmcf-ptype="general">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기술 패러다임에 발맞추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용자에게 실질적 가치를 제공할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f6abf98f691299729ce5404cb5ebd380dfad95971eeae8266c0011690df30b6" dmcf-pid="q25pbPFO3m" dmcf-ptype="general">bean@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디지털 트윈<br>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현실 세계의 사물, 시스템, 공간 등을 디지털 공간에 똑같이 복제해놓은 가상 모델을 의미한다. 현실 속 기계나 건물, 도시의 쌍둥이(copy)를 컴퓨터 안에 만들어 센서나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원본과 연동되며, 변화도 같이 반영된다.<br><br>■ 소버린AI<br>특정 국가가 외부 의존 없이 독자적으로 개발·통제·운영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과 생태계를 의미<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오리엔텀-EQ테크, '양자전기 그리드'로 글로벌 전력망 혁신 시동 07-01 다음 "이 집 어니언 링은 꼭 먹어봐라", AI가 사람 처럼 음식 추천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