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크, 9일 만에 200만 찍은 이유 있다 작성일 07-01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스팀 판매 순위 1위, 최고 동접자 10만 명, 매우 긍정적’ 인디게임 피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Je9syNfF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0f7425836290108e28c7f99318c62a6e99cfc18cb38d6a6fb20feeb3e0b12c2" data-idxno="276838" data-type="photo" dmcf-pid="7nJVIYA8U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46744stqh.png" data-org-width="1280" dmcf-mid="t2Hfz45r3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46744stqh.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4feec2c75185391433ed5af0f66915e13cd5e1033acd183d488487506e3fc23a" dmcf-pid="qon4hHkP0v" dmcf-ptype="general">인디게임 'Getting Over It with Bennett Foddy' 흥행 후 '항아리류 게임'이란 하나의 장르가 탄생했다. 목적지까지 높은 곳을 오르는 간단한 방식의 게임이지만, 불친절한 환경요소들로 인한 높은 난도가 기본 베이스로 깔려있다. </p> <p contents-hash="5437221b213477220ff66c50dabe9f695976ffe4074758a54198df707a7e8572" dmcf-pid="BgL8lXEQpS" dmcf-ptype="general">난도가 어려워 대중적인 장르는 아니지만, 언제나 유저들의 관심이 높은 장르다. 스트리밍 콘텐츠로 최적의 게임이기 떄문이다. "태초마을로 돌아간다"라는 밈을 탄생시킨 장르인 만큼 관련 게임이 출시되면 다양한 스트리머들이 게임을 즐긴다. </p> <p contents-hash="a1507fe32096c3576299a5c017509c518fd56cf51adc1b0eedc22fa6d71428c9" dmcf-pid="bao6SZDx0l" dmcf-ptype="general">어크로 크랩과 랜드폴 게임즈가 공동 개발한 '피크' 역시 잘 만든 항아리류 게임의 포텐셜이 어느 정도인지를 잘 보여준다. 더욱이 잘 만든 항아리 게임에 대중성이 결합되면 어느 정도의 폭발력을 보여주는지 명확히 증명했다. </p> <p contents-hash="6ad36684f020d98c2da67a9db59874797794308c6b0352c61ff0974021308765" dmcf-pid="KNgPv5wM3h" dmcf-ptype="general">피크는 스팀 판매 순위 1위에 올랐고 지금까지도 약 10만 명에 달하는 최상위 동시 접속자를 유지 중이다. 동접 순위로 보면 쟁쟁한 게임들을 제치고 6위에 올랐다. 인디게임임에도 출시 9일 만에 200만 장을 판매했다.</p> <p contents-hash="a0f2f39bb451fce4d98f20d26d09ab81c51328435266ece2bc286c3e827f885d" dmcf-pid="9BzXJA41uC" dmcf-ptype="general">여타 항아리 게임들에 비하면 상당히 라이트하다는 게 피크만의 강점으로 작용했다. 그리고 이 점이 유저들의 좋은 평가와 더불어 많은 유저수를 끌어모으는 계기가 됐다. 장르 자체가 하드코어하다 콘텐츠적인 이슈와는 별개로 대중성을 확보하긴 어려웠다.</p> <p contents-hash="f66cdbedc8ef02dda5f9c7054447cb0aebc82026c3bf35711c2ee6fff50d1740" dmcf-pid="2bqZic8tFI" dmcf-ptype="general">하지만 피크는 항아리 게임들 중에서는 꽤 라이트한 편인데다가 주류인 솔로 플레이가 아닌 멀티 협동을 강조해 대중성을 확보했다. 그리고 장르적 특성과 협동 플레이가 만나며 유쾌한 해프닝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5721db12a0bd9f437a81615aa94c7747eaaee21cc93f18d41be6928c7b672ec" data-idxno="276840" data-type="photo" dmcf-pid="f9b1LEP3F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피크는 출시 후 높은 동시 접속자 수를 유지 중이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48176dtya.png" data-org-width="993" dmcf-mid="FxjKp9Gku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48176dtya.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피크는 출시 후 높은 동시 접속자 수를 유지 중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52358610d8ee0565023a26d484503955fbfb10eb70d188982f7650f08151615" dmcf-pid="8V9Fgwxppr"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91db3f0ce6e546dabf09625d8e936583b242adc2a77a24bbed457964b27f8c03" dmcf-pid="6f23arMU3w" dmcf-ptype="general"><strong>■ 피크의 찐재미? 친구들과 함께 웃고 떠드는 모든 과정</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e26606a082d74134e775e7b026be5bf8861a8ad3c48695246273fc712065b04" data-idxno="276841" data-type="photo" dmcf-pid="Q8fpjse7F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친구들과 함께 웃고 떠드는 모든 과정이 피크의 매력이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49725rxvd.gif" data-org-width="600" dmcf-mid="3V0rNmRuF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49725rxvd.gif" width="600"></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친구들과 함께 웃고 떠드는 모든 과정이 피크의 매력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0e99b8895e932baa06925b95f101652338e892deb79dd5ead4439515b47c060" dmcf-pid="yvlcuVXDzc" dmcf-ptype="general">피크는 섬 중앙에 우뚝 솟은 산을 등반하는 간단한 방식의 게임이다. 여타 항아리 게임처럼 독특한 물리엔진이 기인하는 극한의 컨트롤을 요구하진 않는다. '협동'이란 키워드에 초점이 맞춰져 전체적인 시스템이 작동한다. </p> <p contents-hash="625a67dc658531ca8c9306d4d6fbc77a1af313bcf5bfb439b760d4de150b7342" dmcf-pid="WTSk7fZwzA" dmcf-ptype="general">밧줄과 못을 활용해 서로를 끌어주고 당겨줘야 한다. 절벽 사이에 몸을 대 이동 경로를 확보해주는 등 팀워크 중심의 플레이가 요구된다. 실제 암벽 등반처럼 다양한 루트가 있기 때문에 전략적이고 창의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단 점도 피크의 매력 포인트다.</p> <p contents-hash="09f04e485887a00c08d277df5bbfb1dc30c1d904b987dd02376ff1df3d581526" dmcf-pid="YyvEz45r3j" dmcf-ptype="general">이런 과정 속에서 어느 한 명이 실수하면 함께 나락으로 향하는 만큼 친구와 함께 할 때 그 즐거움이 배가 된다. 태초마을행이 일반적인 항아리 게임에선 스트레스라면, 피크는 하나의 코미디가 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8daa3f963506d176045d8ab2b47089736222f2ae036bfdf75643203fa1034b1" data-idxno="276845" data-type="photo" dmcf-pid="HYywB6tsz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배고픔과 질병 등 생존 요소가 있어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줘야 한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52568ivok.png" data-org-width="1280" dmcf-mid="pIj8B6tsU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52568ivok.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배고픔과 질병 등 생존 요소가 있어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줘야 한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1a0308f2fe478087c0b6c5fd29e097930bc0689b83d2a964201f1b4e4a012b2" dmcf-pid="ZHYmKQ3I3o" dmcf-ptype="general">또한, 스태미너 소모를 비롯해 배고픔과 질병 등 생존 요소가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게 피크의 가장 큰 특징이다. 맵에 존재하는 음식이나 회복 아이템을 찾아 파티원 서로가 나누어 써야 한다. 협동의 연장선상에 있는 시스템이다.</p> <p contents-hash="41ab7822b56e662e3f03684be0582a7e94efead32d6ddc17b6da41f8faf15c72" dmcf-pid="5XGs9x0C3L" dmcf-ptype="general">생존 요소도 다양한 해프닝을 낳는다. 버섯을 잘못 먹고 식중독에 걸리거나 배고픔을 못이겨 스테미나 부족으로 절벽에서 떨어지는 등 다양한 상황이 연출된다. 친구와 함께 하다보면 배꼽 잡고 웃느라 시간 가는줄 모르고 플레이하게 된다.</p> <p contents-hash="42e2552cc1e52e864924e8039f6c66d6553200f32d519391bc58a0361f430b8e" dmcf-pid="1ZHO2Mphpn" dmcf-ptype="general">여러 난관을 극복하며 정상에 오르는 게임 그 자체의 즐거움과 성취감도 있겠지만, 피크의 진면목은 친구들과 함께 웃고 떠드는 모든 과정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히트한 협동게임들의 장점을 공유하는 셈이다.</p> <p contents-hash="c47a836ca1fc7e1e2fa38119773dc4c7fc409387955aa5e701bb5315086f22b1" dmcf-pid="tF1l8JzTui" dmcf-ptype="general">아울러 최근 협동게임 주류가 '리썰컴퍼니'의 성공 이후 공포 장르로 굳어진 상황이다 보니 이에 거부감을 느끼는 유저들에게 더 높은 호응이 나오고 있다. 고착화된 게임 시장의 틈새를 잘 파고들었다고 할 수 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e498d141000d86dcc1aed99cd77621c1ba9bc54dd86de764822b96722a4b0de" data-idxno="276842" data-type="photo" dmcf-pid="30FvPnBWz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협동으로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51176wwia.png" data-org-width="600" dmcf-mid="0BqhDlLKu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51176wwia.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협동으로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c4fdd9af1fe9f9bf9b5cea4f888de14c60bfcb07c3ada26e8ff2f62cc3229d2" dmcf-pid="pU0yxoKGpR"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3eaa66ae7e7bed6ca2c91453f8870b0e13e124da87080ff77252f280b6a68215" dmcf-pid="UupWMg9H0M" dmcf-ptype="general"><strong>■ 함께하는 재미와 도전의 성취감 모두 잡았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9932f02762864821b32c12c67f896e535c1882fc00d0d3dacd6255eb6892f0c" data-idxno="276847" data-type="photo" dmcf-pid="7zuGeNVZF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단계가 올라갈수록 난도가 어려워진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53987uizf.png" data-org-width="1280" dmcf-mid="UOzyOWj40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53987uiz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단계가 올라갈수록 난도가 어려워진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f4316ef578737029cc61df0c02357232f470e990a9bbacebab3572d7fd0c4b7" dmcf-pid="qANxytmeU6" dmcf-ptype="general">함께 울고 웃는 과정이 피크의 매력인 건 분명하지만 "최대한 높이 올라간다"라는 명확한 목표와 이를 이루기 위한 끊임없는 도전과 좌절에 반복, 그리고 성공했을 때 느껴지는 성취감과 희열 역시 동접 10만을 달성할 수 있던 이유다.</p> <p contents-hash="7f2140a4ffd8ae9c941e6c3f195623ddd6262c305ca843702ea92e93d4fd28e5" dmcf-pid="BcjMWFsdU8" dmcf-ptype="general">동기부여를 전하는 시스템적인 특징으로는 24시간 마다 새로운 맵으로 변환된다는 점이다. 이 같은 시스템 때문에 하루 만에 모든 챌린지를 마쳐야 하는 시간 제한이 생긴다. 또한, 반복적으로 플레이해도 질리지 않게 만들기도 한다.</p> <p contents-hash="cdbf2896a8a36bda519b57af6055c5164ecbab84f9eeea64776a7e1f4948346e" dmcf-pid="bkARY3OJ34" dmcf-ptype="general">또한, 다양한 스펙트럼의 유저를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난도가 마련돼 있다. 처음에는 '풋내기'와 '정상' 난이도만 선택할 수 있지만, 개방된 최고 난도를 클리어할 때마다 '승천'이라 불리는 상위 단계가 하나씩 해금되는 방식이다. </p> <p contents-hash="c9f87ca78eb6431c7814b237b09541672e3c21219aec48d40991a7e124295588" dmcf-pid="KEceG0Iipf" dmcf-ptype="general">재밌는 점은 승천 단계가 높아질수록 이전 단계의 패널티가 누적돼 보다 도전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가령, 승천1의 페널티 '낙하 피해 증가'에 더해 승천2에서는 '허기 피해 속도 증가'가 추가된다. 마지막 승천7 단계는 페널티만 7개나 된다.</p> <p contents-hash="debe94006ae64799d2c9ddfcc222e397473347d43091ef156531963596f3f118" dmcf-pid="9DkdHpCnpV" dmcf-ptype="general">당연히 단계가 올라갈수록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 그리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컨트롤이 필요하다. 이처럼 도전 욕구를 자극하는 하드한 단계도 마련돼 있는 만큼 피크는 라이트 유저는 물론 하드 게이머까지 사로잡을 수 있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7aa5c914ec591b5b7676ac0d3d995cd4727a7eb7428c310d0f7627592dcdf8" data-idxno="276848" data-type="photo" dmcf-pid="VrDiZuloz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목표를 달성했을 때의 성취감도 명확하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55354ajbw.jpg" data-org-width="1280" dmcf-mid="umNtWFsdu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HankyungGametoc/20250701172055354ajb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목표를 달성했을 때의 성취감도 명확하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e092ed8014f5a2b2ebfc1a58fb2bfecb0b4e47edfaa67335fa5d23224281012" dmcf-pid="4srL1zvapb" dmcf-ptype="general"> anews9413@gametoc.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거울 말고 무대"…아홉, 눈물로 전한 진심과 각오(종합) 07-01 다음 위믹스, 코인 5000만개 바이백 요청 거절… 이미르에 100억원 투입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