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위 "AI·양자·바이오 등 국제협력으로 미래 주도권 확보" 작성일 07-01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정위 경제2분과, 과학기술외교 정책 간담회<br>"범부처 차원 과학기술 거버넌스 조속 마련해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W7N2uoKGlo">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a5f02060ccca7a36ff0f8f7d9b681279b52395e6d533052ee6ae80daac6d81c" dmcf-pid="YzjV7g9HW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newsis/20250701212334141bayo.jpg" data-org-width="700" dmcf-mid="y92GhbWAS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newsis/20250701212334141bayo.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399cb84d5b7bc4d9ac79dafdf514a5e18d405a0f96b1e3e97b381d362ce0a48a" dmcf-pid="GqAfza2Xhn"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 인공지능(AI)·과학기술·우주항공방위산업소위에서는 1일 과학기술외교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ac82927b7285c1d7abf8df3295bab7305fe2171c4de009360981059fa132911a" dmcf-pid="HBc4qNVZWi" dmcf-ptype="general">간담회에는 황정아 위원을 비롯한 기획·전문위원과 과학기술계 연구현장의 다양한 민간전문가들이 참여해 미래 기술주권 확보를 위한 과학기술 외교의 국정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p> <p contents-hash="c815ad50cd6c0f9562d062d4803c6dd526438628ac37b822ba99a1f439a34215" dmcf-pid="XxlnQIJqvJ" dmcf-ptype="general">참석자들은 AI, 양자, 바이오 등 핵심 원천기술 분야에서 국제협력으로 우리나라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고 봤다. 또 글로벌 패권 경쟁 속 글로벌 공급망과 국제사회 논의에 참여해 글로벌 연구산업 생태계에 포함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feff4db30e7770335e86d3533cbb81c95f8936b99cc5926c02d019c54b461b47" dmcf-pid="ZMSLxCiBhd" dmcf-ptype="general">미래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외교를 강화하고 범부처 차원의 과학기술 거버넌스를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를 위해 범부처, 전문기관, 연구기관간 일관적인 협업과 함께 지속 가능한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관련 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p> <p contents-hash="2d44c1f475d1837dc91a9b1f431e2e720f73fa625a968dfe5e45e590028916d1" dmcf-pid="5RvoMhnble"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이미 구축된 과학기술 민·관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과학기술 전문부처·전문가 중심 과학기술외교 강화 ▲우리나라 연구 자산과 핵심인력 유출 방지를 위한 다층적 연구안보 시스템 구축 ▲우리나라 주도 다자 연구협력 플랙폼 구축, G20·세계은행 등 적극 참여 통한 과학기술외교 의제 선도 등 의견이 공유됐다.</p> <p contents-hash="fa5a413de81d3e0bfa73a601faa2d94e9d6052619f2f8fc26ac3c713d33ea384" dmcf-pid="1eTgRlLKCR" dmcf-ptype="general">이춘석 국정위 경제2분과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는 대선 정책 공약으로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범부처 전략 수립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공동연구 지원, 국제 사회 논의 적극 참여를 제시했다"며 "이날 논의한 내용들이 충실히 국정과제에 담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047dba8d8dfae913771f10428befaa9c9ada202cbdf4eab337b3003fd768d7c" dmcf-pid="tdyaeSo9WM"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lverline@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TBS·YTN 찾은 국정위…"방송3법 개정 등 구조적 기반 마련" 07-01 다음 정용화 “김연아, 본 사람 중 제일 예뻐..사람 이상의 신비한 아우라”(먹을텐데)[순간포착]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