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Science, We Live’ 로봇, 인간의 삶을 돕는 안전한 도구 작성일 07-01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WyBgdoKGr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c3d8c9a28cf89ac2dccb449461acd0d05861798ea77ac616164ffba5e91b6f0" dmcf-pid="YWbaJg9HO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3952yldi.jpg" data-org-width="1100" dmcf-mid="6AchrCiBr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3952yld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a8a5f021e7635c2620411d4913ca9ecaaafba9d029ed5532fd140d2899bb9b3" dmcf-pid="GYKNia2Xrz" dmcf-ptype="general"><br><br>글로벌 채널 아리랑TV가 세계 석학들과 함께하는 과학 토크콘서트 ‘With Science, We Live’의 여정을 시작했다.<br><br>과학은 이제 연구실 안에 머무는 지식이 아니다. 삶을 이해하는 도구이자, 불확실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다. 아리랑TV는 이러한 과학의 본질에 주목하며, 삶과 연결된 과학, 인간을 향하는 기술, 그리고 세계가 주목하는 석학들의 통찰을 담은 새로운 과학 교양 시리즈 ‘With Science, We Live’를 선보였다.<br><br>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강연이나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직접 연구 현장을 찾아가고, 과학자들의 언어를 대중의 언어로 풀어내는 ‘지적 탐사’이자, 사람과 과학을 잇는 교양 콘서트다.<br><br>이번 시즌에는 듀크대학교 김정상 교수, 카네기멜런대학교 오혜진 교수, 카이스트 김재경 교수, 서울대학교 주한별 교수까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세계적 활약을 펼치고 있는 석학들이 차례로 무대에 선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91eb680c6cb9a8f410a47710c1853d304ae8ef0a90b5165c70c57d6f45f5450" dmcf-pid="Hesp50IiE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5352ahux.jpg" data-org-width="1100" dmcf-mid="PO02z9GkO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5352ahu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6b1fc0445067154031ae327442f4883f35cf4c3a7760196300f3a4aa45244c0" dmcf-pid="XdOU1pCnmu" dmcf-ptype="general"><br><br>김정상 교수는 양자 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 공동 창립자이자, 듀크대학교 수석 과학기술 전략 고문으로 학내외 기술혁신과 연구 생태계를 설계하고 있다.<br><br>단순한 이론가가 아닌, 기술과 미래를 설계하고 실천하는 석학이다. 오혜진 교수는 카네기멜런대 로보틱스 연구소에서 안전하고 창의적인 로봇을 설계하는 핵심 연구자이며, 김재경 IBS 의생명수학그룹 책임연구자는 복잡한 질병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정밀 의료로 연결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br><br>주한별 교수는 인간의 움직임을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해 인간 동작을 모사하는 AI 모델을 개발, 연구하고 있다. 이처럼 출연진 한 명 한 명이 과학계의 한 획을 그어온 인물들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With Science, We Live’는 시작부터 특별하다.<br><br>‘With Science, We Live’ 1회는 “로봇은 인간의 삶을 돕는 안전한 도구”가 방송된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2b06a42c708a459f4cc2facd4ca9ac9d0f128a54cb413d396c92a32e9847481" dmcf-pid="ZJIutUhLD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6653xndb.jpg" data-org-width="1100" dmcf-mid="QweCwIJqr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6653xnd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560c5abf3e9e227e59da751511796aeedf08e7572ee5f75aa51e8c8b330459a" dmcf-pid="5iC7FuloEp" dmcf-ptype="general"><br><br>1회는 카네기멜런대학교 로보틱스연구소 오혜진 교수의 강연으로 문을 연다. 아리랑TV 제작진은 이번 촬영을 위해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를 직접 찾아가 그녀의 실험실 ‘Bot Intelligence Group’을 밀착 취재했다.<br><br>오 교수는 사람의 설명을 받아들이고 붓을 드는 AI 화가 ‘프리다(FRIDA)’ 프로젝트를 통해 “로봇은 인간을 대체하는 존재가 아닌, 함께 일하고 상상하는 파트너”라고 정의한다.<br><br>프리다는 그림을 ‘그리는’ 로봇이지만, 그 행위 안에는 언어 해석, 감성 추론, 불확실한 물리 환경 대응이라는 고도의 로봇공학적 도전이 숨어 있다.<br><br>그녀는 인터뷰에서 “지금껏 AI는 주로 스크린 안에 존재해왔지만, 로봇은 현실 세계에서 ‘행동’하는 AI다. 그만큼 어렵고, 인간을 닮은 사고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프리다는 사람의 손동작을 학습한 곡선을 구현하고, 비정형 도구와 유동 물감의 특성을 고려해 예술적 표현과 기술적 실현의 간극을 좁혀가고 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f60a997765a7f1638b5eb0447a2b5e78410fb46f32ecbdfece0f2eb3d9422b2" dmcf-pid="1nhz37Sgw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7972vbzg.jpg" data-org-width="1100" dmcf-mid="xoX8K45rs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7972vbz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25419f1e6fcabaa4e4223012d6399e57e2003c19b18fdc504ac388c4d29b14b" dmcf-pid="tLlq0zvaE3" dmcf-ptype="general"><br><br>프리다 외에도 오 교수는 촉각과 청각 센서를 내장한 말랑한 외피, 사회적 직관(AI instinct) 시스템, 헤어스타일링 로봇 등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기술’을 다방면에서 연구 중이다.<br><br>1부 후반부 스튜디오 강연에서 오 교수는 “로봇이 우리 삶 속에 들어오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패널들과 함께 공감, 신뢰, 책임, 감성, 안전성 등 로봇이 넘어서야 할 심리적 기준과 사회적 기대를 함께 나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b4eb58b62003bbae9cd689b698784f4092ba8a6b551d501ee50012c316db8e2" dmcf-pid="FoSBpqTND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리랑TV"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9400mgqp.jpg" data-org-width="1100" dmcf-mid="ycMOEse7r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1/sportskhan/20250701234409400mgq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리랑TV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00a8b7ad981ac556f82b20b59f025a10516216f4ff4a1d26bd46835510cfca5" dmcf-pid="3luixJzTrt" dmcf-ptype="general"><br><br>예측 불가능한 세계에서 기계가 어떻게 의미 있는 ‘행동’을 만들어낼 수 있는가? 로봇이 사람을 만질 수 있으려면, 그 감각과 책임은 누가 설계해야 하는가? 오 교수는 이 질문에 과학자로서, 인간으로서의 대답을 제시한다.<br><br>아리랑TV 과학 교양 시리즈 ‘With Science, We Live’는 아리랑TV를 통해 매주 화요일 오후 3시에 방송되며 아리랑TV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br><br>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트와이스 모모, 친언니 위해 오사카 오죠 갱 지원사격…“10년 만에 같이 춤춰” (‘스우파3’) 07-01 다음 고교학점제 후 '자퇴생 폭증'…"尹정부 상대평가, 잘못된 정책 아쉬워" ('PD수첩') [종합] 07-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