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 올인 李정부…AI 3대 강국 향한 100조 프로젝트 시동 작성일 07-02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이재명정부 한달]민간 전문가 장관·수석 기용…기대감 커져<br>인프라·인재양성 등 세부 전략 중요…양질 데이터 확보도 필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yFLEvg2z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55e12d19e21666e30466d8cb2c94a09ae39b1c5b3c4ecdb6e4c309e2b44422f" dmcf-pid="VW3oDTaV3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 참석자 발언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20/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WS1/20250702062140369bejw.jpg" data-org-width="1400" dmcf-mid="9ABEh5wMp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WS1/20250702062140369bej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 참석자 발언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20/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b45a0f5c20f372dbda04af8cfc23e629a79c035c59e8d757f05d527db5b3e8a" dmcf-pid="fY0gwyNf0L"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인공지능(AI)을 국가 전략 중심에 두고 빠르게 움직였다. 현장 경험이 풍부한 인사들을 기용하고,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는 등 AI 3대 강국 도약을 이끌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p> <p contents-hash="af080b8cda7d0d8259ecce88b1996d0cc834bd8f17a3e83e665565c9bdf64067" dmcf-pid="4GparWj40n" dmcf-ptype="general">이재명 정부 출범 한 달을 앞둔 2일 IT 업계 및 학계에서는 현재까지 이 대통령의 AI 관련 행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많다.</p> <p contents-hash="f19ceb041e96dbb4e95cc6c2527a46822211069543e6a957a3e1088313a0381a" dmcf-pid="8HUNmYA8ui" dmcf-ptype="general">이재성 중앙대 AI학과 교수는 "공약이 나왔을 때만 해도 지난 정권의 AI 정책을 답습하는 것 아니냐는 인상이 있었는데 실무에 있던 분들을 전격 기용하는 등 AI 전략 추진을 강력하게 하겠다는 것을 잘 보여준 것 같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dc464187a3960db3ec162c42d6dc9463060bc3927b3ff376261975bffe1a1b1" dmcf-pid="6XujsGc63J" dmcf-ptype="general">한 IT 업계 관계자는 "최대한 빠르게 인선이 마무리되는 등 속도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며 "장관, 수석 인사가 업계 상황을 잘 아는 분들로 이루어져 실효성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될 것 같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p> <p contents-hash="a61ce09a402bfb639f7793e9b45e0854291a55d49f8fbd7ae54365539028d539" dmcf-pid="P09rvFsdud" dmcf-ptype="general">이재명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AI 3대 강국 위상 확립을 위해 민관 차원에서 AI 분야에 10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54d399e3b2c25fe99a761412d27820a721f20f160b2b8eb42f5f97cb9ed0c982" dmcf-pid="Qp2mT3OJue" dmcf-ptype="general">이 대통령은 지난달 4일 취임사에서부터 AI 등 첨단 기술 산업에 대대적인 투자와 지원을 약속하며 미래를 주도하는 산업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천명했다. 지난달 20일에는 울산 AI데이터센터 출범식에도 참석해 AI 산업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국정기획위원회도 AI 국가전략을 수립할 AI TF를 구성했다.</p> <p contents-hash="a218f0e1b281699151797fd3731d91c5ad0101268292a3bbf73e6f09102952f5" dmcf-pid="xUVsy0Ii3R" dmcf-ptype="general">이 대통령은 AI 전략을 이끌 담당자에 전문성과 실용성이 반영된 민간 전문가를 발탁했다. 대통령실 AI미래기획 수석에는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혁신센터장을 임명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는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을 지명했다.</p> <p contents-hash="a962a6efb66b682fa8161e2c43c36d67f756d41088eee9c90b1efaf61bfaba06" dmcf-pid="yAI9xNVZ0M" dmcf-ptype="general">이뿐 아니라 AI 관련 경제 정책 등을 주도할 이재명 정부 초대 경제부총리에는 'AI 전도사' 자처해 온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을 지명했다. 구 후보자는 후보자 지명 후 간담회에서 "AI 등 신산업에 집중 투자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겠다"고 밝히기도 했다.</p> <p contents-hash="788b60998196f39f8c800dcbe3ac52381f4dc6dd23210ba65c2c0da69bdaab6d" dmcf-pid="WcC2Mjf5px"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이 대통령은 한성숙 전 네이버 대표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 지명하고, 윤창렬 LG글로벌 전략개발원장을 국무조정실장에 임명하는 등 정부 곳곳에 AI 전문가를 배치했다.</p> <p contents-hash="7d26dcc08ef7306ca9c17aba0d0455fdd6f98c965f870dc114ed1a79690d3ab2" dmcf-pid="YkhVRA41pQ" dmcf-ptype="general">민간 전문가 발탁은 인재들의 사기를 높이고 해외 유출을 줄이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재성 교수는 "AI 인재들에게 정부에서 우대를 해준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어 사기를 높이는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인재의 해외 유출 저지력으로도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351d910e2435aaa1268191980ba962748e0a715c044732dbe2ba571162cebff3" dmcf-pid="GElfec8t7P" dmcf-ptype="general">AI 정책을 이끌 라인업 구축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간 만큼 이제는 구체적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인프라 구축, 인재 양성, R&D 강화 등 세부 전략을 철저히 세워야 우리나라 AI 경쟁력 강화도 이룰 수 있다.</p> <p contents-hash="3986079d4b082bd91f20ada46dd220d1d257b19a5c157746ceb611e6dcd91559" dmcf-pid="HDS4dk6F36" dmcf-ptype="general">AI 육성에서는 데이터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경쟁력 있는 AI를 만들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다.</p> <p contents-hash="cc0d2f31ec58bd1f34dfee55957a6858da9cbbdf6c039a1dc1b4ec139837c2de" dmcf-pid="Xwv8JEP3p8" dmcf-ptype="general">김두현 건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인프라 확충은 강력 추진 의지가 있어 보여 될 것 같은데 데이터 문제는 해결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규제를 개선하거나 데이터 구매를 해주든 해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cee4b30c741725039be20f1911f3fef3acc09d85c549c77d46f3ef1420abae8" dmcf-pid="Zej3bMph34" dmcf-ptype="general">yjra@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스우파3' 범접 논란 딛고 1위, 알에이치도쿄 탈락…박진영 "레벨이 달라"[SC리뷰] 07-02 다음 넥슨 마비노기 IP의 위기… 모바일 뜨니 PC 흔들 07-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