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작성일 07-02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英 연구팀 "특정 영역 간 연결-수학 연관성 확인…전기자극으로 개선 가능"</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leDsZDx3C"> <p contents-hash="7156808ad383b6355fe4bebf969df0455e932a5d505413f83c7808b6b83fca91" dmcf-pid="xSdwO5wMUI"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뇌 특정 영역의 신경 연결 강도를 측정하면 수학을 얼마나 잘 배울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고, 이 영역을 약한 전기 자극하면 수학 학습 능력을 향상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29b27a86bfeefe05d73953b83e0f073ea4226c8662cd115b8e99e4ef0212925" dmcf-pid="y6HB2nBWz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수학 학습 관련 기능적 연결성 분석에 사용된 뇌 3D 구조 수학 학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왼쪽과 오른쪽의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과 두정후부 피질(PPC)의 연결성을 3D로 묘사한 그림. [Zacharopoulos G et al., 2025, PLOS Biology, CC-BY 4.0.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yonhap/20250702085738352devh.jpg" data-org-width="452" dmcf-mid="PyahTUhLp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yonhap/20250702085738352dev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수학 학습 관련 기능적 연결성 분석에 사용된 뇌 3D 구조 수학 학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왼쪽과 오른쪽의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과 두정후부 피질(PPC)의 연결성을 3D로 묘사한 그림. [Zacharopoulos G et al., 2025, PLOS Biology, CC-BY 4.0.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abe589bdca3d07fe5f0172a30b31df26340a6a2fcfb4500dc3e6f343324958e" dmcf-pid="WPXbVLbY7s" dmcf-ptype="general">영국 서리대 로이 코언 카도시 교수팀은 2일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서 남녀 72명을 대상으로 한 뇌 영역 간 연결 강도 측정과 전기 자극 및 수학 과제 수행 실험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34bbb42e185a5ad291ef52df5179cc49be84f72e2d069697756b5bb0c9c899d" dmcf-pid="YQZKfoKG0m" dmcf-ptype="general">카도시 교수는 "지금까지 교육 향상 노력은 대부분 교사 훈련, 교육과정 재설계 등 환경 변화에 집중돼 왔고 학습자의 신경생물학 측면은 간과돼 왔다"며 이 연구는 생물학적 요인이 수학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7bf34dbc99e23538966f8997bb57e94bc4226ff07d1a34ebd07688de61a9baf" dmcf-pid="Gx594g9H0r" dmcf-ptype="general">학습자들이 자주 어려움을 겪는 영역 중 하나가 수학 학습이다. 수학 능력은 어렸을 때 이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는 읽기 같은 인지 능력과 달리 어린 시절부터 성인기까지 정체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 <p contents-hash="0e75fb763a39a27769cd330cc99e68e15f40087494d3ac97af07695c5cc172bb" dmcf-pid="HM128a2Xzw"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는 선천적인 뇌 특성이 수학 학습을 결정할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최근 신경생물학 연구에서 수학 학습에 뇌의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 두정후부 피질(PPC), 해마(hippocampus)가 관여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0bac3c8d983f08ccb5eaff238ed4ab1a431ed9f3fe9c926dae1057f8b4f8013" dmcf-pid="XRtV6NVZ7D" dmcf-ptype="general">이들은 이 연구에서 18~30세 남녀 72명을 대상으로 배외측 전전두피질과 두정후부 피질, 해마 등을 연결하는 '전두두정 네트워크'(Frontoparietal network) 연결 강도를 측정하고, 이들에게 5일간 단순 암기와 계산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수학 과제를 수행하게 했다.</p> <p contents-hash="b11c52b6e65a3df227e89fa784d735119403f07e3a0dbd861a2de504b73c285d" dmcf-pid="ZVyuBeuSUE" dmcf-ptype="general">참가자들은 수학 과제를 하는 동안 3개 그룹으로 나눠 집행 기능과 계산에 중요한 배외측 전전두피질, 기억 회상과 관련된 두정후부 피질, 위약(플라시보) 조건 중 하나로 약간 전기자극을 받았다.</p> <p contents-hash="e9bff946050606988ebf5a245473748300185e3f11e94ea1c3c7c311bbed9299" dmcf-pid="5fW7bd7v0k"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처음 측정 때 배외측 전전두피질과 두정후부 피질 간 연결성이 강한 사람일수록 해답을 계산하는 수학 과제에서 더 나은 수행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연결성은 암기 과제 수행과는 관련이 없었다. </p> <p contents-hash="2c66bf29e4587797a84e7df10ebd3140f628655fd813e9ec80803d507cdb3597" dmcf-pid="14YzKJzT0c" dmcf-ptype="general">또 전기 자극이 각 그룹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배외측 전전두피질과 두정후부 피질 사이 연결성이 약한 사람들은 배외측 전전두피질에 전기 자극을 준 후 계산 학습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51f96d936ba5668ebed1cf16bbb1ee8298d141c263453e3a29870a7302e5c19b" dmcf-pid="t8Gq9iqyFA"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 연구는 생물학적 특성 때문에 수학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신경 자극을 통해 도울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이런 방법이 실험실 외부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f56f54dddabec3d9eedc585625a9e934b9c7696cfa0cab6696c21c70dea5488" dmcf-pid="F6HB2nBW0j" dmcf-ptype="general">카도시 교수는 "심리학, 신경과학, 교육학을 통합해 신경생물학적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을 개발하면 더 많은 사람의 잠재력 실현과 다양한 진로 접근을 돕고 장기적으로 소득, 건강, 복지 불평등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fc7ff9f7ea2c2176ed351cb81fb9dfccbc4ef853ae1b1d65496394d5f701cde" dmcf-pid="3PXbVLbYzN" dmcf-ptype="general">◆ 출처 : PLOS Biology, Roi Cohen Kadosh et al., 'Functional connectivity and GABAergic signaling modulate the enhancement effect of neurostimulation on mathematical learning', http://dx.doi.org/10.1371/journal.pbio.3003200</p> <p contents-hash="e1905ceb35b7c52f3aa7490c71e284a3e93390eb7a7640b7a62bc0cac47ce79d" dmcf-pid="0QZKfoKGua" dmcf-ptype="general">scitech@yna.co.kr</p> <p contents-hash="310597acbd556d770c6c90f2dbf11ec19d0896e82c7d13e6aa2b3c9ad98aa3ae" dmcf-pid="UM128a2Xpo"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에스콰이어’ 이학주, 든든한 변호사로 변신‥각진 슈트핏 07-02 다음 사람 행동 따라 하며 학습하는 AI 07-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