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과방위 방송3법 단일안, 정치권 지배 공식화 논란 작성일 07-02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공영방송 이사 40% 국회 몫<br>안정상 중앙대 교수 “정치 후견주의 법제화” 비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FnfrulolM"> <p contents-hash="bde5dea1c992168a8ea26ecf76f8f1c74f9d75c760320546ddab0095ac3d6b13" dmcf-pid="Q7jxhKYcWx"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가 추진 중인 ‘방송3법 단일안’이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 확보는커녕, 정치권의 직접 지배를 제도화할 수 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KBS·MBC·EBS 등 공영방송 이사회의 최대 40%를 국회가 추천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면서, 정파적 개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p> <p contents-hash="f7749086d6f6b9a799851d935b2d8d37324be6b30939cd9514bb49159b403e26" dmcf-pid="xzAMl9GkWQ" dmcf-ptype="general">안정상 중앙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겸임교수는 2일 ‘민주당 과방위원 단일안 추진 공영방송지배구조개선법안 검토 및 개선방안 제언’ 보고서를 통해 “이번 단일안은 공영방송을 정권이 법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구조로 바꾸는 위험한 시도”라며 “정치적 후견주의를 공공연히 부활시키는 법안”이라고 지적했다. 과방위는 이르면 오늘 법안소위에서 단일안을 통과시킬 것으로 보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24922a2ebec619dbfb90197932f045d8e90384f4f414427ec9fddc64bf2a1d5" dmcf-pid="yEUW8se7h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안정상 중앙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겸임교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Edaily/20250702145256795yfcd.jpg" data-org-width="640" dmcf-mid="6j8UoHkPv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Edaily/20250702145256795yfc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안정상 중앙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겸임교수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28708463990a9a58b81b2e5436804eb6572cc0dd3f849a912300e79192b678ab" dmcf-pid="WDuY6Odzv6" dmcf-ptype="general"> <strong>KBS 이사 15명 중 6명 국회 몫…EBS도 교육부·교총·전교조 추천 포함</strong> </div> <p contents-hash="64417cbe2f47bc2037116560f8fb69aa609fb21df328dfc4bb4550f44452f255" dmcf-pid="Yw7GPIJqC8" dmcf-ptype="general">보고서에 따르면 민주당 방송3법 단일안에서 공영방송 이사회는 KBS 15명, 방문진(실질적 MBC 이사회) 및 EBS는 각각 13명으로 구성된다. </p> <p contents-hash="0dd8b4175c84739b8d0c9b55d26440c76bb75f96600ab82ce38be4ad93fe3161" dmcf-pid="GrzHQCiBC4" dmcf-ptype="general">이 중 KBS는 6명, 방문진과 EBS는 5명을 국회 교섭단체가 추천하게 되며, 여야 의석 비율에 따라 이사 수가 배분된다. 현 기준으로 민주당은 KBS에서 4명, 국민의힘은 2명을 추천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ee13af759b60f63831b60465f931a5b8995784a8238a86973b8855a1e3bdc0eb" dmcf-pid="HmqXxhnbhf" dmcf-ptype="general">EBS는 국회 외에도 교육부 장관과 교원단체(교총·전교조), 교육감 협의회까지 이사 추천권을 보유하고 있어 사실상 교육부의 영향력 아래 놓인 구조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반면 학부모 단체 등 수요자 중심 추천권은 배제되어 있어 형평성 문제도 지적된다.</p> <p contents-hash="1c32564dbe3f9320a3e42874ac159c6d7c08d6e07f1cc6b799a2e3217ddd8db0" dmcf-pid="XsBZMlLKvV" dmcf-ptype="general">또한 KBS·MBC에는 법조계 추천 이사(대한변협, 민변 각 1명)가 포함됐다. 안정상 교수는 “법조계의 방송 이사 추천은 입법적 명분이 없으며, 특정 이념 성향의 단체가 공영방송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p> <p contents-hash="f1fd4d413bcc1d1bc64b3538981c97e473e5d02d5ac0ed1d8a38e56a1ffdaee7" dmcf-pid="ZOb5RSo9y2" dmcf-ptype="general"><strong>사장 선출도 정치적 영향력 여전…“시민 손에 맡기자는 공약과 거리 멀어”</strong></p> <p contents-hash="66cad55c1a851b1bb4f67923f0f9570b0d7c64fb3023cfee797c16779eedaa16" dmcf-pid="5IK1evg2S9" dmcf-ptype="general">사장 선출 방식은 이사회 주도로 ‘사장후보추천위원회(사추위)’를 구성해 복수 후보를 추천받고 최종 선출하는 구조다. 이사회는 재적이사 5분의 3 이상 찬성으로 사장을 의결하고, 실패 시 결선투표(일반 다수결)를 통해 사장을 정하게 된다.</p> <p contents-hash="b729cf459ae8fa9fe62a064302f8c12574d6d750f5eca05ee97bf11d4f2ae34a" dmcf-pid="18IaZMphlK" dmcf-ptype="general">문제는 사추위의 구성과 운영 역시 이사회에 맡겨져 있어 정치권 추천 이사가 다수를 차지하면 절차 전반이 정파적으로 왜곡될 수 있다는 점이다. ‘성별·연령·지역을 고려한 무작위 구성’이라는 규정이 있으나, 추천위원의 자격 요건이나 결격사유에 대한 기준은 빠져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다.</p> <p contents-hash="bf062212c3c0bd6156609e2fee9c3407a67c46ebc330527126b4d1c1f9377c19" dmcf-pid="t6CN5RUlWb" dmcf-ptype="general">이에 대해 안정상 교수는 “사장 선임은 이사회 중심이 아니라 시청자 대표가 주도해야 한다”며 “사장후보자 평가에 있어 시청자평가단의 점수를 70% 반영하는 방식(김우영·서영교 의원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방식은 KBS에서 2018년 양승동 사장 선임 당시 일부 도입된 바 있다.</p> <p contents-hash="3eff34b407c816cdf04724faabd9c6d4dd8a1048174822432a229390e28c19cf" dmcf-pid="FPhj1euSWB" dmcf-ptype="general"><strong>이재명 대통령 공약과 괴리…“정치적 중립성·자격요건 규정 빠져”</strong></p> <p contents-hash="982773379561edf75ae918855ae45008e070911e7fdb17d686c66c27043f6fc6" dmcf-pid="3QlAtd7vvq" dmcf-ptype="general">보고서는 민주당 과방위 방송3법 단일안이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시청자 중심의 경영 구조’ 및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 보장’과도 배치된다고 비판했다.</p> <p contents-hash="b7cd650a425442bc715699ca0aefec1e050f0bbf1bcd81cb23510943c46be8c1" dmcf-pid="0xScFJzTlz" dmcf-ptype="general">이 대통령은 공약에서 △시청자 중심의 경영진 선임 △이사 및 사장의 자격요건 명문화 △정치활동 금지 등 중립성 강화 조항을 법제화하겠다고 약속했다. </p> <p contents-hash="e5960cf76af4fa17abde8fe6890ece45ca784afc139a2da5348e768afc8425e1" dmcf-pid="pMvk3iqyC7" dmcf-ptype="general">하지만 단일안에는 해당 조항이 빠져 있고, 오히려 정치권 추천 비율이 윤석열 정부 시절 방송3법(국회 몫 25% 이하)보다 높은 40%로 늘어났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0679080f12be05d253c90c16b849b9becc987881d8ff7dcfae1893ca4b5af20d" dmcf-pid="URTE0nBWCu" dmcf-ptype="general">시민단체의 침묵도 논란이다. 과거 ‘방송독립시민행동’ 등은 정당 추천 폐지를 주장했으나, 이번 단일안에 대해서는 별다른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p> <p contents-hash="fb235e22e0bdaa97abc7561f6654fb03a95a1df0603cf5080797eee0d291fb0e" dmcf-pid="ueyDpLbYhU" dmcf-ptype="general">안 교수는 “정당 추천을 반대하던 시민단체들이 이번 단일안에는 침묵하거나 묵인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이중잣대가 아니냐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86ba4c251423c8ec9fc3fea57596239a93db96300bba8b83ef6c915ad839663b" dmcf-pid="7dWwUoKGSp" dmcf-ptype="general">그는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신뢰를 회복하려면 정치권의 개입을 차단하고, 이사와 사장 선임에 시청자 중심의 투명한 참여 절차를 도입해야 한다”며 “방송을 국민에게 돌려드린다는 구호가 실현되려면, 법안 속 구조부터 다시 돌아봐야 할 때”라고 했다.</p> <p contents-hash="4fe3c95ee114f3dd5372c98134f812b56f4720a8d7ef6ee5275efe3463f428fb" dmcf-pid="zJYrug9Hv0"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챗GPT 먹통사태' 오픈AI, 韓유료구독자 대상 보상시작(종합) 07-02 다음 “동생아, 오빠 왔다”…이수근 아내 위해 신장이식 나선 친오빠 07-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