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쓰레기 위에 우글우글” 끔찍한 ‘벌레’인 줄 알았더니…알고 보니 [지구, 뭐래?] 작성일 07-02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2magXEQF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79c258ffea1880747013b99ac9aafdbf70f46d07f5a51ff1efc9174400142c8" dmcf-pid="6VsNaZDx0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버려진 쓰레기 봉투에 구더기가 들끓고 있다.[X(구 트위터)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5504unkc.jpg" data-org-width="1280" dmcf-mid="URqp0nBWz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5504unk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버려진 쓰레기 봉투에 구더기가 들끓고 있다.[X(구 트위터)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7ef13fe0a9599df5838ab70e789fd91b69b10ed42e4426f7b51e193b9603566" dmcf-pid="PpaMxhnbz2"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strong> “쓰레기, 고작 며칠 놔뒀을 뿐인데”</strong></p> <p contents-hash="43055da6296708a123accf881300139122cf17b9aa3bf4886d536aedf57cccfd" dmcf-pid="QUNRMlLK09" dmcf-ptype="general">쓰레기 더미에서 종종 포착되는 파리의 유충 ‘구더기’. 한 번에 수백마리가 꿈틀대는 모습을 보면 비명이 절로 나온다.</p> <p contents-hash="24171fec862101c7b6aaa352e1984f25ec5987c5ad9bf3f6f9efa997fc3c1d88" dmcf-pid="xujeRSo97K" dmcf-ptype="general">특히 여름철에는 구더기 고민은 흔해진다. 부패한 음식물에 서식하는 특성상, 단 며칠만 쓰레기를 방치하더라도 구더기가 생길 수 있기 때문.</p> <p contents-hash="b142c967fd01630843fe34e366d73b3abb49566a0f86eed55c6ec70b83debccc" dmcf-pid="ycpGY6ts3b" dmcf-ptype="general">하지만 이같은 구더기를 일부러 키우는 사례가 늘고 있다. 바로 어마어마한 속도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능력 덕분이다.</p> <p contents-hash="0c3b8cf327654c1a31c739786b99ad6a2e6c81f764c08c5c16cfa6e3ec4c91b6" dmcf-pid="WkUHGPFO3B" dmcf-ptype="general">실제 구더기를 이용한 쓰레기 처리는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방식으로 여겨진다. 이에 일부 해외 지자체에서는 공식적으로 구더기를 이용한 쓰레기 처리에 나서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eca95ca3eaec420e69533f17b6209c28e6ba0e69e2f7509bdb4b8ae7377a030" dmcf-pid="YEuXHQ3IF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동애등에 유충.[국립농업과학원 홈페이지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5776fcsv.jpg" data-org-width="400" dmcf-mid="uToQPIJq0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5776fcs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동애등에 유충.[국립농업과학원 홈페이지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042d88a312ea085a41328fa1b935975fcc90d9870068db58f6015d24b8867d1" dmcf-pid="GD7ZXx0C3z" dmcf-ptype="general">농촌진흥청은 구더기의 한 종류인 동애등에(검은군인파리 유충)를 활용해 대량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p> <p contents-hash="027d21d7bd1ad8943d1b9425d7dfdf83ed8b8501722f2a7bda746a9d560fbfe9" dmcf-pid="Hwz5ZMphu7" dmcf-ptype="general">실제 연구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10kg에 구더기의 한 종류인 동애등에(검은군인파리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할 경우, 3~5일 만에 80% 이상이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fe9881687bc8e37155e8911f11a46220e1f2cfadebc4318c8a0a7741ad4fca6a" dmcf-pid="Xrq15RUlpu" dmcf-ptype="general">구더기는 파리의 유충으로 음식물쓰레기, 썩은 고기, 과일, 채소, 배설물 등 유기물이 풍부한 곳에서 성장한다. 특히 음식물쓰레기에 파리가 알을 낳으면, 구더기는 그 안의 유기물을 먹이로 삼아 빠르게 성장한다. 그리고 음식물쓰레기는 자연스레 줄어든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c39a320cb1a559b97430041af949f50b9ec5c5de5bc74cac07c6faee3774c1a" dmcf-pid="ZmBt1euSu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음식물쓰레기 통에 버려진 일반 쓰레기들. 김광우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6026ewhp.jpg" data-org-width="1280" dmcf-mid="ziM9Kk6FU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6026ewh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음식물쓰레기 통에 버려진 일반 쓰레기들. 김광우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b0cbb28e22bb31b9fb52d5b6984e36c42302ad5f87e719f80d15c955b830294" dmcf-pid="5YxKbc8tUp" dmcf-ptype="general">이같이 구더기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손꼽힌다. 구더기를 통해 유기물을 분해할 경우, 통상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수반되는 메탄 등 온실가스 발생량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c926a1e48d0bd695d776da1a8f096ed9dbb60bddd80fcb740a4d683d4ab032c0" dmcf-pid="1GM9Kk6F00" dmcf-ptype="general">이 외에도 장점이 적지 않다. 구더기는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다. 이에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이용된 뒤에는 가축, 어류, 애완동물 등에 주는 사료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구더기의 배설물은 영양소가 풍부해, 작물의 비료로 재활용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9a01a107a710602acc3c9ecd2106884a5e09f55f2dfc9038625c6e9a16d56b4" dmcf-pid="tHR29EP3z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구더기.[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6390sckw.jpg" data-org-width="1280" dmcf-mid="2glEk3OJF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6390sck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구더기.[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d5d94b0efad3d98e0f1adc0b2701090a2d664964165e188e71ff557bd8ba62e" dmcf-pid="FXeV2DQ0uF" dmcf-ptype="general">구더기 활용에는 큰 규모의 설비가 필요하지도 않다. 이에 음식물쓰레기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사업 모델로 평가받는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분해 후 나오는 부산물인 분변토는 비료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충과 번데기는 사료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cd29449957d39718afe6cae32b338fdd4c941227735c780c690915c99f26ec96" dmcf-pid="3ZdfVwxp7t" dmcf-ptype="general">해외에서는 이미 지자체 차원에서 구더기를 통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상용화한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유럽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뉴스시는 최근 구더기를 활용해 60만7000명의 시민에서 매년 수거하는 2700톤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b948f8674c5779e18a1db7a380c0f741767baaeede35e872465c32ec89b46ac" dmcf-pid="05J4frMU7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시 쓰레기통에 버려진 음식물쓰레기들. 김광우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6726rmsy.jpg" data-org-width="1280" dmcf-mid="V07ZXx0CU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6726rms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시 쓰레기통에 버려진 음식물쓰레기들. 김광우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2849e0d20e322e711f778d34d2db569d0f7db62ec63370de816d155625a0d39" dmcf-pid="p1i84mRu75" dmcf-ptype="general">주목할 점은 관련 업체에 별도의 처리 비용을 납부하지 않는다는 것. 구더기를 사료 원료 등으로 판매하며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절약할 수 있는 예산만 연간 최대 200만유로(한화 31억94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p> <p contents-hash="5315faddecdc1709b90f3874ca09f412885236c4296d1a29cd31560d191c1542" dmcf-pid="Utn68se70Z" dmcf-ptype="general">이밖에도 인도네시아에서는 정부와 민간기업이 협력해 동애등에 유충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호주 시드니에서도 곤충 스타트업과 협력해 구더기를 통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b131f811d4d39b8fd3bec8a42636058b9c415f3734a54e612978f384befd0df" dmcf-pid="uFLP6Odzu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6986taab.jpg" data-org-width="650" dmcf-mid="fESDE0Ii0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6986taa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2cc3df5f3157514f2186a75f05b3552d2bdb390599d2983696dbcc9150f803a" dmcf-pid="73oQPIJqpH" dmcf-ptype="general">국내에서도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쓰레기 처리 예산을 절약하면서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지속가능한 산업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7년 동애등에분 생산시설기준 및 검사기준시설을 마련하는 등 규제 개선에 나서기도 했다.</p> <p contents-hash="314edca742acb7651efd681a74deb53377ebfacf822d8322f9f5e6b663afb83d" dmcf-pid="z0gxQCiB3G" dmcf-ptype="general">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우리나라 연간 음식물쓰레기 처리 비용이 약 8000억원”이라며 “동애등에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곤충을 새로운 산업으로 진입시키고 산업체 양성 및 농업인 일자리 확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7ffa3ce4e5629602bebaac7e9ec536800c93593e547a282454110c12abb88bb" dmcf-pid="q1i84mRu0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7230cgkk.jpg" data-org-width="1280" dmcf-mid="4EDLnYA8p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ned/20250702154027230cgkk.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오겜3' 박규영, 스포일러 논란에 사과…"위약금 언급은 없었다" 07-02 다음 이노스페이스, 민간 기술력 첫 상업 발사 미션 수행 나선다 07-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