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美 “알루미늄 원산지 표기 미흡하면 200% 관세”…수출기업 '초비상' 작성일 07-02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Z96BLbYXW"> <p contents-hash="8ed4e77ab6a04ddd353093ed64404678e816e5c30741b6ea5ea6632009cd3d6e" dmcf-pid="152PboKG5y" dmcf-ptype="general">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파생제품의 제련·주조국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200%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지침을 시행, 국내 수출 기업에 비상이 걸렸다.</p> <p contents-hash="d9f16b3eebba278f0fd898e2783aec9a23250b1ef994d49fbf4f5fa31d682da2" dmcf-pid="t1VQKg9HXT" dmcf-ptype="general">가전은 물론 알루미늄 사용 비중이 높은 냉난방공조(HVAC)·기계설비 등 수출 기업은 협력사에서 조달하는 부품의 알루미늄 원산지 등을 파악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현실에서 이렇다 할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p> <p contents-hash="1621bb32f07531f7f082f319abdb5c9938ae045efbb4d79c0a3c309f49d8144d" dmcf-pid="Ftfx9a2X5v" dmcf-ptype="general">반도체와 차량용 부품을 제외한 다수 수출 기업이 자칫 200% 초고율 관세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529fc65ff9288ccf6af26a6e971c91d9d8b7a019145fd87e9e0a6c26c2fe877" dmcf-pid="3F4M2NVZH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경기도 평택항에 쌓여 있는 철강 제품 (사진=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etimesi/20250702160250387rlbu.jpg" data-org-width="700" dmcf-mid="H3QwgTaV5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etimesi/20250702160250387rlb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경기도 평택항에 쌓여 있는 철강 제품 (사진=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7a691031e1382ac938b9b2acfb7f703d7a8738f6192b73cb68f2854a7091685" dmcf-pid="038RVjf5Gl" dmcf-ptype="general">2일 관계부처와 업계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달 13일(현지시간) 알루미늄과 파생제품에 대해 제련·주조국 정보를 제대로 기입하지 않으면 기존 50%가 아닌 200% 관세를 부과한다는 수입 지침을 발표했다. 이어 지난 달 28일부터 시행에 돌입했다.</p> <p contents-hash="0ba554dfecdb8cc28870d9084b6224ef32a28c6af29e23e80ee48bd0f358c537" dmcf-pid="p06efA41Hh" dmcf-ptype="general">CBP는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파생제품 모두 △가장 많은 양과 두 번째로 많은 양의 알루미늄을 제련한 국가(primary and secondary country of smelt) △마지막 주조국(country of most recent cast)에 대해 국가코드(ISO)를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했다.</p> <p contents-hash="075cd4c47896439bbf7f2fc2e41a1b68315d65cf29b0ca31260442df7f25389d" dmcf-pid="UpPd4c8tZC" dmcf-ptype="general">필요한 경우 사후 정정신고(PSC)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했지만, 200% 관세를 돌려받을 수 있을 지는 불투명하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869d092282b762f0eebb5b22b5ec5dba15b2531b2a6ecb6c1d9f15a9530c610" dmcf-pid="uATXl7SgH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이 지난달 13일(현지시간) 배포한 알루미늄과 파생제품에 대한 원산지 표기 지침."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etimesi/20250702160251700lswd.jpg" data-org-width="700" dmcf-mid="ZF8RVjf5G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etimesi/20250702160251700lsw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이 지난달 13일(현지시간) 배포한 알루미늄과 파생제품에 대한 원산지 표기 지침.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21295b9b0ef55c14ec0031f579e88452361a378dba540854d5346f8c001762c" dmcf-pid="7cyZSzvaXO" dmcf-ptype="general">200% 관세는 미국이 2023년부터 러시아산 알루미늄에 적용한 관세율과 동일하다. 알루미늄 원산지 등 국가 표기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에 러시아산으로 간주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p> <p contents-hash="9e9eddfe96688c519502927ac2071125512afe06bd8d83c2aea194523e6f373f" dmcf-pid="zkW5vqTNGs" dmcf-ptype="general">산업통상자원부와 업종별 협회는 수출 기업과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분위기다.</p> <p contents-hash="f3ff06196dfd6019ef5aa01c8c5bc16ddf204e5acc8f064283e6d9d1568918f2" dmcf-pid="qEY1TByj1m" dmcf-ptype="general">당장 개별 기업은 원자재 함량 비중이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정보 공유를 꺼리고 있다. 정부 혹은 협회 차원의 종합 대책 마련이 어려운 이유다.</p> <p contents-hash="983950da59356d5259eb97c64a3fb0b3c219fafc2f381285ab6c9fff2bf929ac" dmcf-pid="BDGtybWAtr" dmcf-ptype="general">대기업이 아닌 이상 전체 협력사의 원자재 사용량과 수입국 정보를 일괄 파악해 산출하는 게 쉽지 않다는 점도 애로 사항이다.</p> <p contents-hash="352cc08de3a6750d4e0b15f5efb598fb6dfa47896db752734564e2e91c3b0c84" dmcf-pid="bwHFWKYcYw" dmcf-ptype="general">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불과 두어 달 전 알루미늄과 파생제품에 대해 별도 제련·주조국 표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가, 지난 달 갑자기 변경된 지침이 나왔다”면서 “소명 이후 환급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현재로선 환급 여부도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71d020d951f84c85a9bddadae4360244cfbafe9a3d4ec2c0953ab955e980b1ea" dmcf-pid="KrX3Y9GkYD" dmcf-ptype="general">200%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 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 우려된다. 민·관 협력을 전제로 정부 차원의 조율과, 글로벌 공조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p> <p contents-hash="853a9c4b1d8aedcebe78ef6067d6dc1db7139f1c8c9c6560259a229d7d571f76" dmcf-pid="9mZ0G2HE1E" dmcf-ptype="general">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러블리 빌런' 지혜원, 청순가련 싱그러운 여름 비주얼 07-02 다음 서울 양재에 40MW 데이터센터 문 열었다…'AI 개발 지원에 중점' 07-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