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온2 테스터 "거짓 없이 정식 버전 기대된다" 작성일 07-02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구조 및 콘텐츠 퀄리티 훌륭… 과금 영역도 치장 아이템과 배틀패스 위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unaD5wM3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433dfbdaed316912fb00fd347958319bd153b3c462f1c44d10287b45e07662" data-idxno="276906" data-type="photo" dmcf-pid="BbNkO0Iiz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2/HankyungGametoc/20250702171327658bfan.jpg" data-org-width="1280" dmcf-mid="USD20Mphp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2/HankyungGametoc/20250702171327658bfan.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62485fb618487e63dff876d74da4ddbb168a1995155cfa38228a91af14f9352b" dmcf-pid="K9ADCUhLFt" dmcf-ptype="general">엔씨소프트 '아이온2' 포커스 그룹 테스트(FGT) 종료 후 참여 유저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과거 아이온이 보여준 찬란했던 영광의 재림도 기대해 볼만하다.</p> <p contents-hash="d09355f13a5bbdf33b59dceff45c804c7778d1db5cd863e7226366992a172672" dmcf-pid="92cwhulop1" dmcf-ptype="general">엔씨소프트는 지난 6월 28일부터 29일까지 양일간 판교 R&D센터에서 포커스 그룹 테스트를 진행했다. 비공개 테스트였지만 참여한 유저들과 인플루언서들의 후기를 통해 다양한 정보가 흘러나왔다.</p> <p contents-hash="af8544e1737d07dcb3f982b636bed38eb809bd5213b4bc03baae8850033d3d20" dmcf-pid="2Vkrl7SgU5" dmcf-ptype="general">FGT 후기는 여러 유저들의 우려와 달리 상당히 호평일색이었다. FGT 단계인 만큼 아쉬운 평가도 없진 않았으나 가장 중요한 게임의 구조나 콘텐츠의 퀄리티 면에서 상당히 좋은 평가가 이어졌다. </p> <p contents-hash="295aa6479ac683b96a71c9e13a079fa45f57b9b3ea4023a412fdf12c7303672a" dmcf-pid="VfEmSzvaFZ" dmcf-ptype="general">아울러 비지니스 모델에 대한 우려도 종식됐다. 아이온2의 BM은 '쓰론 앤 리버티(TL)'과 유사한 구조로 강도가 세지 않다는 게 참여자들의 의견이다. 별도의 뽑기 시스템은 없고, 치장 아이템과 배틀패스가 주요 상품이라고 밝혔다. </p> <div contents-hash="4c4ac9d92bc21c25d9c9392f8c0c1c3b2de9a56f1b20b87d31ea77fa7d0e7b51" dmcf-pid="f4DsvqTN7X" dmcf-ptype="general"> <p><strong>■ 크로스플랫폼 위한 편의성 가득 챙겼다 </strong></p> <br> <br> <div> </div> </div> <div class="video_frm" dmcf-pid="48wOTByjUH" dmcf-ptype="embed">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WmkdVjf50L" dmcf-mtype="video/youtube"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WmkdVjf50L" scrolling="no" src="https://www.youtube.com/embed/6A_0cHn3NWE?origin=https://v.daum.net&enablejsapi=1&playsinline=1" width="100%"></iframe> </div> </div> </div> <div contents-hash="59601c1a8f9b0caca5983c58c3fa1171a971af340746b6a8e59aa9778c621695" dmcf-pid="86rIybWApG" dmcf-ptype="general"> <div> </div> <p>유튜버 쏘민은 아이온2의 스킬이 편의성을 중점으로 편성됐다고 후기를 밝혔다. 바로 자동 연계다. 기존 액티브 스킬 일부가 패시브화 됐고, 몇몇 스킬이 하위 효과로 들어오며 연계가 훨씬 편해졌다는 평이다.</p> <br> <br> <p>모바일 및 콘솔 플랫폼에서도 출시되는 만큼 직접 눌러야 하는 액티브 스킬 수를 줄여 펀의성을 증진시켰다. 쏘민은 원작을 좋아하던 기존 유저들에게는 단점으로 작용할 여지는 있다고 덧붙였다.</p> <br> <br> <p>하지만 차별화를 둘 수 있는 요소도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일반 스킬 8개와 스티그마 4개로 다양한 조합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같은 직업이어도 어떤 스킬을 사용하냐에 따라 전투 경험이 달라진다.</p> <br> <br> </div> <div contents-hash="f268c5ae84f20325b185b5bf44346ddfaaa3c254e39b54b0c872d8085f54c6e2" dmcf-pid="6I7b8k6F3Y" dmcf-ptype="general"> <p><strong>■ 스킬 연계 재미 있으나 조작감 개선은 필요하다</strong></p> <br> <br> <div> </div> </div> <div class="video_frm" dmcf-pid="PCzK6EP30W" dmcf-ptype="embed">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GEpWmFsdFi" dmcf-mtype="video/youtube"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GEpWmFsdFi" scrolling="no" src="https://www.youtube.com/embed/7ex77TKNjXc?origin=https://v.daum.net&enablejsapi=1&playsinline=1" width="100%"></iframe> </div> </div> </div> <div contents-hash="1cee52d741c602e798d16601e644a70acdda070e9b9962c3419b7d228485c609" dmcf-pid="Qhq9PDQ0Fy" dmcf-ptype="general"> <div> </div> <p>전투는 아이온 1의 방식에 가깝다는 의견이 주류다. 다만, 조작감에 있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게임 전체적으로 좋은 평가를 내린 BJ 김진솔은 아이온 1의 전투를 '검은사막' 시점으로 하는 오묘한 조작감이라고 평가했다.</p> <br> <br> <p>논타겟 기반의 전투에 일부 타게팅 스킬이 혼합된 방식은 직관성을 떨어뜨리고 조작 난이도를 높였다는 지적이다. 논타켓 전투를 즐기는 와중에 또 스킬 대상자를 클릭해야 하는 과정이 불편했다고 회상했다.</p> <br> <br> <p>쏘민과 마찬가지로 스킬 수는 적지만 하나의 스킬로 연계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많아 조작하는 재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조작감만 개선하면 보다 높은 몰입감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 평가했다. </p> <br> <br> </div> <div contents-hash="bc61ff327328337ad1044e0acfc00d182e50125837bea369e0d66426e4baec33" dmcf-pid="xlB2QwxpuT" dmcf-ptype="general"> <p><strong>■ 자유도 높은 게임 설계 일품이다 </strong></p> <br> <br> <div> </div> </div> <div class="video_frm" dmcf-pid="y8wOTByjuv" dmcf-ptype="embed">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XxifUeuSpd" dmcf-mtype="video/youtube"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XxifUeuSpd" scrolling="no" src="https://www.youtube.com/embed/tretN_gHTbg?origin=https://v.daum.net&enablejsapi=1&playsinline=1" width="100%"></iframe> </div> </div> </div> <div contents-hash="82143836194f087f85044e36a308c66e184d3b15aca003048b7d5c87a86d79b2" dmcf-pid="W6rIybWAFS" dmcf-ptype="general"> <div> </div> <p>유튜버 진환은 게임 설계에 대해 칭찬했다. 특히, 생활 콘텐츠를 강조했다. 채집을 하건, 벌목을 하건, 채광을 하던 간에 통합적으로 레벨이 오르는 덕분이다. 덕분에 '시간을 녹여여 하는' 과거 노가다식 생활에서 탈피해 가벼운 템포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평가다.</p> <br> <br> <p>또한, 조각이나 장비 업그레이드에 들어가는 재료를 사냥을 통해 얻는 등 자연스러운 콘텐츠 연계에 높은 점수를 줬다. 생활 콘텐츠와 각종 재료를 수급하는 방식에 있어 직장인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p> <br> <br> <p>이동의 자유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육해공 구분없이 자유로운 탐험이 가능한 높은 자유도가 게임의 장점이라는 생각이다. 아이온2는 육지를 달리고, 공중을 비행하거나 수중에서 잠수를 하던 간에 구분없이 이동이 가능해 높은 만족감을 준다고 말했다. </p> <br> <br> </div> <div contents-hash="62007682a11b6d986664ee24bf0a865c282992abd7ff3db6b27e583c5875f20f" dmcf-pid="YPmCWKYcFl" dmcf-ptype="general"> <p><strong>■ PvE 콘텐츠 분량과 품질 뛰어나다 </strong></p> <br> <br> <div> </div> </div> <div class="video_frm" dmcf-pid="GQshY9GkFh" dmcf-ptype="embed">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58zxboKGuR" dmcf-mtype="video/youtube"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58zxboKGuR" scrolling="no" src="https://www.youtube.com/embed/qVh0HHuaFwY?origin=https://v.daum.net&enablejsapi=1&playsinline=1" width="100%"></iframe> </div> </div> </div> <div contents-hash="117f91910ad7186616fe3e0e25b366eb13e32bc28b5e4d355c7bdf4e6da9ebf1" dmcf-pid="HxOlG2HEzC" dmcf-ptype="general"> <div> </div> <p>PvE 콘텐츠의 분량과 품질에 대한 칭찬도 이어졌다. 유튜버 이드는 싱글 콘솔 게임과 비교하면 그래픽 퀄리티는 떨어지는 편이지만 근래 출시된 MMORPG와 비교하면 상당히 준수한 품질을 갖췄다고 강조했다.</p> <br> <br> <p>FGT에서는 4인 던전인 '불의 신전'을 포함한 던전이 콘텐츠적으로 상당히 완성도가 높고 패턴의 재미도 분명했다고 전했다. 보스 등장 연출이나 던전 비주얼 등도 나무랄 데 없이 훌륭했다는 평가다.</p> <br> <br> <p>크로메데 보스전은 압박감이 뛰어났다고 밝혔다. 다만, 모바일 환경에 대한 우려도 표했다. 던전 자체는 군더더기 없이 잘 설계됐으나 모바일에서 플레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p> <br> <br> </div> <div contents-hash="08ae0d1fe563bd5c7bbac297409ed3a4b4b18f5e979cf3fc2ac5e0c46f5082cc" dmcf-pid="XMISHVXDpI" dmcf-ptype="general"> <p><strong>■ 페이 투 윈 상품 없었다 </strong></p> <br> <br> <div> </div> </div> <div class="video_frm" dmcf-pid="Zdly581mUO" dmcf-ptype="embed">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4bLmSzva3n" dmcf-mtype="video/youtube"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4bLmSzva3n" scrolling="no" src="https://www.youtube.com/embed/Y0OrNb7SJx0?origin=https://v.daum.net&enablejsapi=1&playsinline=1" width="100%"></iframe> </div> </div> </div> <div contents-hash="e3b1c122deac44f0ff393d825eb3265e2b4de37aaeb550924e728f94a2b5feaf" dmcf-pid="5JSW16tszs" dmcf-ptype="general"> <div> </div> <p>FGT에 참여한 인플루언서 대부분이 많은 유저들이 걱정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없었다고 일축했다. 날개, 의복 등의 치장 아이템 및 배틀 패스가 핵심 상품이었다고 밝혔다. 날개의 경우도 인게임 재화로도 구매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p> <br> <br> <p>쓰론앤리버티에 가깝다는 의견이 다수다. 강화 재료를 캐시로 구매하는 등의 '페이 투 윈' 요소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한다. 거의 모든 게 인게임 플레이와 연계돼 얻을 수 있게 만들었다. </p> <br> <br> <p>유튜버 진환을 비롯한 몇몇 인플루언서는 '부활석' 등 일부 편의 아이템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쿨타임 없이 무한으로 부활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어비스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밸런스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선이다. </p> <br> <br> </div> <p contents-hash="06ce44db7cf32f7e8867eb286ad4dd0df838da6bf43fcff7be5c5a0f17cce14c" dmcf-pid="1ivYtPFOUm" dmcf-ptype="general"> anews9413@gametoc.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오겜3’ 호불호 …“주역 이정재는 위대해” 07-02 다음 '전자정부법 개정안' 의무 시행 D-6…디지털 행정 신뢰 강화 '신호탄' 07-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