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정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참여” 작성일 07-03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T, ‘믿:음 2.0’ 오픈소스 공개…AI 대중화 본격 시동<br>정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참여 공식화<br>한국적 가치 반영한 LLM…MS 협업 ‘투트랙 전략’ 병행<br>“GPT도 한국적으로”…기술 자립과 글로벌 대응 동시 추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3QiWDQ0hy"> <p contents-hash="6b35cf326ca1884824b11294dac8a72b56b24eb59dcd76df78fcb4c7249fff73" dmcf-pid="q0xnYwxpCT"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윤정훈 기자]KT(030200)가 자체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 ‘믿:음 2.0(믿음2.0)’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본격적으로 대한민국 AI 대중화의 포문을 열었다. 동시에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할 의향도 공식화하며, 한국형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 경쟁에 본격 가세한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d6d18f879195f974c94b2fed99a5edf299557574c27aa23a46f21b91f6f82f3" dmcf-pid="BpMLGrMUy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K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Edaily/20250703112455119raes.jpg" data-org-width="550" dmcf-mid="u6PJyEP3S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Edaily/20250703112455119rae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KT)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02879ea44ca74146c1b36be5d9a06968b662de3e538a2331ad6374d625be187d" dmcf-pid="bURoHmRuvS" dmcf-ptype="general"> KT는 3일 오전 ‘KT AI 기술’ 온라인 브리핑을 열고 자체 개발한 언어모델 믿음2.0을 공개했다. </div> <p contents-hash="1493ffc23d66ac9ebaf1a5a990aa87b51b6d97c256ceb9c7f9169cc79d350b31" dmcf-pid="KuegXse7vl" dmcf-ptype="general">신동훈 KT Gen AI Lab장(CAIO) 상무는 “믿음 2.0은 일반적인 생성 능력을 갖추면서도 한국의 문화와 언어를 깊이 이해하도록 고도화된 AI 모델”이라며 “이는 KT가 국내 사용자들에게 고성능 한국적 AI 모델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한편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게 될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4890813f2087335213303bab4ad93f6ebc88ca2c5cbf016d42bcb8d558bbf161" dmcf-pid="97daZOdzCh" dmcf-ptype="general">KT는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참여한다는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며, 글로벌 파급력 있는 국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하기 위해 역량 있는 국내 사업자 등을 공모·선정하는 프로젝트다.</p> <p contents-hash="5ffea8d07ed38971b083c30d3f450f95356b24dd898ba378ae42aeb954b03c78" dmcf-pid="2zJN5IJqTC" dmcf-ptype="general">신 상무는 “KT의 AI 철학과 방향이 맞기 때문에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하려고 준비하고 있다”며 “지난 1년간 한국적인 가치와 문화를 담아내기 위해 데이터얼라이언스와 노력·구축한 모델은 독자적 AI구축에 큰 강점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1f9ca1d976ac31f19a51e0e98af89c754c0c5b87629c62c516904d86ddf5568" dmcf-pid="VTqfriqySI" dmcf-ptype="general">이어 “믿음2.0으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되고 안되고를 떠나서 계속 개발할 것”이라며 “한국적 데이터를 오픈소스화 한다던지, B2B와 B2C 측면에서 다양한 사회 구성원에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644c93109165a1cf18d2253b2e526b57eecd5b060b4a176af86bd1a70250885" dmcf-pid="fyB4mnBWhO" dmcf-ptype="general">이재명 정부는 대통령의 1호 공약인 ‘AI(인공지능) 3대 강국’ 실현을 위해 소버린AI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소버린AI는 주권 국가가 자력으로 구축해 운용하는 AI체계다. 이에 KT는 정부의 정책 기조에 맞춰 믿음2.0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해 만든 GPT-4 기반의 한국어 특화 모델을 개발하는 투트랙 전략을 세웠다.</p> <p contents-hash="f8f5fab7885d0e4412abea5f2476d4203bae1fd2a6a86c5604b7a8500da16db8" dmcf-pid="4Wb8sLbYys" dmcf-ptype="general">신 상무는 “국가 기간 통신사업자로 자체 AI 기술 개발을 한번도 포기한 적이 없다”며 “생성형AI 원천기술 확보하고 만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cd83ef335f02f345ec019f7017c44371e73d1e508964b54296733b65dd15b7c4" dmcf-pid="8YK6OoKGCm" dmcf-ptype="general">이어 “믿음 고도화 작업을 지속하고, 시장에서 고객이 훨씬 강력한 AI성능으로 AI 전환을 하고자 한다면 현재로선 기술 확보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MS와 협업을 통해서 GPT같은 모델을 제공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965bf57b5f271698e444a92ff36cfea1a5a6e6aa2698686683119beea5865d5" dmcf-pid="6G9PIg9Hh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T AI ‘믿:음2.0’ 벤치마크 평가(사진=K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Edaily/20250703112456655qrjv.jpg" data-org-width="546" dmcf-mid="781ug81ml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Edaily/20250703112456655qrj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T AI ‘믿:음2.0’ 벤치마크 평가(사진=KT)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ea7fa91d0a8f27348bf001d27afae07eaab95a8b87ec6baa98550184fdd8fb09" dmcf-pid="PH2QCa2Xhw" dmcf-ptype="general"> KT는 2022년 자체 초거대 AI 믿음의 상용화를 발표하고 AI컨택센터(AICC)에 적용하는 등 AI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왔다. 이번에 공개한 믿음2.0 모델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및 사회 등의 전문 분야에서 기존의 국내외 주요 모델을 상회하는 이해력과 생성 성능을 입증했다. KT와 고려대학교가 공동 개발한 한국어 AI 역량 평가 지표인 ‘Ko-Sovereign(코-소버린)’ 벤치마크에서 유사 규모의 국내 기성 모델을 비롯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오픈소스 모델을 능가하는 점수를 기록했다. 코-소버린은 한국적 AI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언어, 문화, 사회, 역사 등의 한국적 맥락을 정밀하게 반영한 전문가 수준의 문항으로 구성됐다. </div> <p contents-hash="a633060ebbea9b757022498f6bf61e767769fb8733a4ca080b83d82c7aa9e84c" dmcf-pid="QXVxhNVZWD" dmcf-ptype="general">KT는 115억 파라미터 규모의 ‘믿음2.0 베이스’와 23억 파라미터 규모의 ‘믿음2.0 미니’ 2종을 먼저 공개하고 추후 글로벌 LLM 모델과 경쟁하게 될 ‘믿음2.0 프로’를 선뵌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2b24c956d2ae34687526a7c52fe64a1d787a478ced5c401e9f06330a67b0e6bd" dmcf-pid="xZfMljf5lE" dmcf-ptype="general">오승필 KT 기술부문 부문장(CTO)은 “모든 AI 모델 라인업에 대해 한국적 정신을 집어넣고 쓸수 있도록 하는게 저희의 목표이고 철학”이라며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글로벌 AI를 사용하더라도 한국적 지식을 학습시키고 운영될 때 데이터가 유출되지 않는 형태로 운영돼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3ce4f91f8057f4db08cef88613626030fd27030b7d915c57b6b4f8c63f265714" dmcf-pid="yiCW8pCnWk" dmcf-ptype="general">윤정훈 (yunright@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 효율성·정확도 높였다…분석도구 개발 07-03 다음 스포츠토토, 7월 4일 오후 2시부터 발매 재개 07-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