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K, 미국 AI 스마트 글라스 기업 '소프트아이' 전격 인수… AI 인터페이스 시장 선점 나서 작성일 07-03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 기반 스마트 글라스 기술 확보<br>차세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선도 전략 본격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vxKg81m5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a12f8c6eb12f8f1a18c17aac0915c7145199ed77443d86ddc680597cb96c8e0" dmcf-pid="KTM9a6tsH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TDK"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etimesi/20250703112805280wmql.jpg" data-org-width="562" dmcf-mid="qGaihNVZ1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etimesi/20250703112805280wmq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TDK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89fc746fd4e9c34fb47f05a55594477c6eb0988fd93c416b2f07c1b363a82ff" dmcf-pid="9yR2NPFOG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TDK"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etimesi/20250703112806582pene.png" data-org-width="700" dmcf-mid="BATrthnb5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etimesi/20250703112806582pene.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TDK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13465a68f296a742bd32e7244b2eda5d13b2caddfc3426c3866ba79962f43e5" dmcf-pid="2WeVjQ3ItK" dmcf-ptype="general">지난 19일 일본 도쿄에 본사를 둔 글로벌 전자 솔루션 부문 선두 기업인 TDK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둔 AI 스마트 글라스 기술 스타트업 '소프트아이(SoftEye Inc.)'를 인수하며, 차세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p> <p contents-hash="fd46161ef930e7869bef10d5e40936879936a56f4e54294f72b1e9453d453036" dmcf-pid="VYdfAx0Ctb" dmcf-ptype="general">이번 인수는 TDK가 스마트 글라스 분야에서 완전한 시스템 공급 능력을 갖추는 동시에, 생성형 AI와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가능한 혁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분석된다.</p> <p contents-hash="df300e1a87d496e4968316d84290a41fb6dee17e42364ab5ad5bec36d3b2936d" dmcf-pid="flPBLfZwXB" dmcf-ptype="general">소프트아이는 2022년 설립된 신생 기술 기업으로, 눈동자 움직임만으로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맞춤형 칩셋과 카메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합한 시스템 'eyeGenI™', 'eyeGI™'를 보유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초저전력 기반의 '눈의 의도(Eye Intent)'를 읽어내는 방식으로, 웨어러블 글라스에 탑재 시 사용자가 AI와 직접 눈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p> <p contents-hash="078aecf7d745e4a8c1e3033a0887ac15815dc66e3024b6d4b688f5cdce5b2434" dmcf-pid="4SQbo45rtq" dmcf-ptype="general">TDK 짐 트란 이사는 “소프트아이는 저전력 칩 설계와 시선 추적 기술,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에 특화된 기업으로, TDK가 AR/VR 및 AI 글라스 시장에서 주도적 입지를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인수 배경을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a4076793e50ad8ed3bc6bfa5ae3f9535c3e12c201f5e67c9111c679ee913148" dmcf-pid="8vxKg81mHz" dmcf-ptype="general">소프트아이(SoftEye Inc.) 이태원 CEO는 “TDK의 소형화, 배터리, 센서 기술은 우리의 AI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완벽한 시너지를 이룰 것”이라며 “양사의 협업을 통해 하루 종일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AI 글라스가 현실화될 것”이라고 설명을 덧붙였다.</p> <p contents-hash="3e9204364a11cfc3c026be8425d4022d1fafebbd69ecab99dcef58d193f58c04" dmcf-pid="6TM9a6ts57" dmcf-ptype="general">한편, 스마트 글라스 시장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진입으로 2030년에는 300억 달러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실제 상용화에서는 여전히 배터리 효율과 사용자 인터페이스(HMI) 측면의 한계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p> <p contents-hash="0ad93f157e71f55d081bc04083fb734dfd4c0fadf7778d8f1e6a195571344720" dmcf-pid="PyR2NPFOZu" dmcf-ptype="general">이러한 상황 속에서 TKD의 '소프트아이(SoftEye Inc.) 인수는 단순한 기술 확보를 넘어서, 스마트 글라스를 일상 속 '필수 기기'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기술 기반을 다진 결정적 전환점으로 평가되고 있다.</p> <p contents-hash="14fb4e5dfa0cc2e0a785ab994d8c9d0c415460c104fa56c0233893c30edda361" dmcf-pid="QWeVjQ3IZU" dmcf-ptype="general">이미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TKD의 AI 센서, 배터리, 전원 모듈 등의 핵심 하드웨어 역량과, 소프트아이의 정교한 '두뇌' 기술이 결합될 경우, 각 기술이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상호 증강 효과를 창출하며 통합 시스템 차원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p> <p contents-hash="926a242d04348aeb9b162eca3fa99e7021fab3159eb8f455b51439a52c1902d9" dmcf-pid="xYdfAx0C5p"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이번 인수가 단순히 웨어러블 기기를 넘어 자동차·제조·헬스케어 분야에서 AI 인터페이스 혁신을 가속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이태원 CEO를 비롯한 핵심 엔지니어 대부분이 한국 출신이며, 한국 내 대규모 R&D 센터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한국의 AI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결정적 기폭제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2c16b5c858f1f7ab751e47794914e2a87f97c409a47a97e6a35be8dc0d3fb4db" dmcf-pid="yRHCUyNf50" dmcf-ptype="general">서희원 기자 shw@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모태솔로지만' 카더가든 "연애 시작 늦게 해..모솔 출연자에 공감" 07-03 다음 IBS, 정확도·효율성 높인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 도구 'scICE' 개발 07-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