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정부 독자 AI모델 프로젝트 참여...한국적AI 자체개발" 작성일 07-03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믿음 2.0 오픈소스 공개… 정부 독자 AI 사업도 정조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UhhpTaVMT"> <p contents-hash="7fd43053c2d0633bdc4ffb6bb76c6954a0e733bcf05c921c7a83046c71b3f219" dmcf-pid="BullUyNfdv"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진성우 기자)KT가 한국어에 최적화된 대규모 언어모델(LLM) ‘믿:음 2.0’을 공개하고, 오픈소스 생태계 확장과 정부 AI 프로젝트 참여 의지를 밝혔다.</p> <p contents-hash="9378d5cd7c1ec7bd0d67a2ba6e5909d3d94d3cd1986b7371d78fda6c0a89e8d2" dmcf-pid="b7SSuWj4LS" dmcf-ptype="general">KT는 3일 진행된 온라인 브리핑에서 한국적 가치와 문화, 언어 특성을 반영한 ‘믿음 2.0’을 공개하고, B2B 활용 중심의 한국형 AI 전략을 설명했다.</p> <p contents-hash="c8409fdb723bb499644dd42c5f808932e96676af9d088a58dda431b44a932b06" dmcf-pid="Kzvv7YA8il" dmcf-ptype="general">신동훈 KT Gen Al 랩장은 “KT는 AI의 모든 영역에 데이터 주권, 사용자 선택권, 한국적 가치, 책임 있는 운영이라는 네 가지 원칙을 담고자 한다”며 “믿:음 2.0은 이러한 소버린 AI 철학을 바탕으로 개발된 첫 모델”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d49a550ecff1f450519d17f677daed34b1281222176d1a1549eaf33d7831ffd" dmcf-pid="9qTTzGc6nh" dmcf-ptype="general">이어, “KT의 AI 철학과 방향이 맞기 때문에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하려고 준비하고 있다”며 “지난 1년간 한국적인 가치와 문화를 담아내기 위해 데이터얼라이언스와 노력·구축한 모델은 독자적 AI 구축에 큰 강점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7984a00697379b95bdb8ff1b6d0916886276970562167fadacc50f1e2f72654" dmcf-pid="2ByyqHkPM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ZDNetKorea/20250703120824848cuxq.jpg" data-org-width="639" dmcf-mid="pIy2g81mR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ZDNetKorea/20250703120824848cuxq.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fa1d4d5bf4b0990622168b9db19ffe3016ff3efc7b52e2b94bce4f2f4471b51c" dmcf-pid="VbWWBXEQnI" dmcf-ptype="general"><span>이번에 공개된 ‘믿:음 2.0’은 한국어 표현과 문맥에 특화된 LLM으로 ▲문서 기반 검색(QA) ▲보고서 요약 및 작성 ▲툴 호출 등 기업 환경에서 자주 쓰이는 업무에 맞춰 최적화했다. 특히 한국어에 맞춰 문장을 잘게 나누는 전용 도구(토크나이저)와 분야(도메인)별로 정리된 고품질 데이터를 함께 적용해 한국의 말투와 문화, 감정 표현까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span></p> <p contents-hash="1a4136f6f52662a7f4f883c4af036dc4c241fec223f351dec1f266967f74d9e2" dmcf-pid="fKYYbZDxMO" dmcf-ptype="general">KT는 믿:음 2.0을 경량형 ‘미니’와 중간급 ‘베이스’ 모델로 나눠 공개하며, 누구나 자유롭게 상업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MIT 라이선스를 적용했다. 대형 모델인 ‘프로’는 향후 단계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모든 모델은 KT의 자체 기술로 처음부터 끝까지 독자적으로 학습된 것이 특징이다.</p> <p contents-hash="490555f52e9789a7594beeb79f21419e3e0a35b0c5699b328363d9615fcfd905" dmcf-pid="4Fssthnbis" dmcf-ptype="general">아울러 정부가 추진 중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오픈소스 LLM 생태계 확대와 동시에 공공·금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AI 활용 저변을 넓히겠다는 전략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c48bf7b4badc3d064d35090e4d126fa803237f56ac52868a8bd9b574f15e70f" dmcf-pid="83OOFlLKi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KT intelligence 홈페이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ZDNetKorea/20250703120826109vqug.png" data-org-width="638" dmcf-mid="UMfEHmRuL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ZDNetKorea/20250703120826109vqug.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KT intelligence 홈페이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37153b1c8bba4296fbc572a75a13efc944a0f1fd64742f82505df5bd8e89838" dmcf-pid="60II3So9nr" dmcf-ptype="general">신 상무는 “한국형 AI 모델 개발에 가장 중요한 것은 양질의 한국어 데이터”라며 “KT는 ‘K-데이터 얼라이언스’를 통해 각 분야 대표 기업·기관과 협력하며 국내 최고 수준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fec4eedd0feeed91710ae415f3a588455744c41288dfc66da06db3218e1caa5" dmcf-pid="PpCC0vg2Rw" dmcf-ptype="general">이어 “공공 문서 등 고품질 국가 데이터가 AI 학습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16f9110ac1aa63e4522af0b525bd6db7817e9ce5d2189705fe43c5edd04b1133" dmcf-pid="QUhhpTaVJD" dmcf-ptype="general">또한 KT는 믿:음 2.0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인 ‘K-데이터 얼라이언스’의 세부 내용도 이달 중순 공개할 예정이다. 오승필 KT CTO는 “얼라이언스를 통해 어떤 기업들이 참여했고,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모였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7월 중순에 설명할 계획”이라며 “양질의 한국어 데이터를 함께 만들고 공유하는 생태계 조성이 앞으로 한국형 AI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70b80480f16f9b790d36fb5fe0c757f3f044b89408adec12eab81ff9ced0e20" dmcf-pid="xullUyNfME" dmcf-ptype="general">KT는 현재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업을 통해 GPT 기반 한국형 AI 모델도 개발 중이다. 다만, 자체 기술로 개발한 ‘믿음’ 시리즈는 KT가 장기적으로 확보해야 할 ‘AI 기술 자립’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전략적으로 분리해 운용된다는 입장이다.</p> <p contents-hash="05b660f4487f4252093cbb5c81ec602151eebcd1b98345ead314baeeb41f4be4" dmcf-pid="yc88Ax0Cnk" dmcf-ptype="general">진성우 기자(jinterview@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오징어 게임3' 위하준 "222번 아이·456억 받고 나도 '엥?' 싶어"[인터뷰]② 07-03 다음 세계 1위 사발렌카, 이변의 윔블던서 톱5 중 홀로 3회전 진출 07-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