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자외선에 손상된 DNA, 두 단백질이 협력해 찾아낸다" 작성일 07-03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DNA 복구 방식 새롭게 규명…"색소건피증·피부암 예방·치료 도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Ou1gyNfU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74b7503cd39cc4c9b5e2a24ed5973ddc4a759ab65d9e49c4f11f8700c24953b" dmcf-pid="KjXvxmRup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연구진 모습 UNIST 이자일 교수(왼쪽)와 안소영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yonhap/20250703173535831ohyb.jpg" data-org-width="1200" dmcf-mid="BDbpcXEQ7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yonhap/20250703173535831ohy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연구진 모습 UNIST 이자일 교수(왼쪽)와 안소영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93873918d89b01c47eac738309e98f8ff036f842199eb7d93b2a006a9e0b49e" dmcf-pid="9AZTMse7zy" dmcf-ptype="general">(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강한 자외선으로 손상된 DNA 부위를 빠르게 찾아내 복구하는 우리 몸의 작동 방식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새롭게 밝혀냈다.</p> <p contents-hash="272be0f19df99c879963c7e39e2252ae6bae9d918530360f0a230f3313a48f8a" dmcf-pid="2c5yROdzuT" dmcf-ptype="general">UNIST는 생명과학과 이자일 교수팀이 'NER'(Nucleotide Excision Repair)이라는 DNA 복구 경로에서 손상된 부위를 찾아내는 두 단백질이 기존에 알려진 '순차적 전달' 관계가 아닌 '협력적 복합체' 형태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p> <p contents-hash="322befbe7f7b91df64a75c7af5a541ab6c25a81641796c9aff6c432b4555baf0" dmcf-pid="Vk1WeIJqUv" dmcf-ptype="general">NER은 자외선 때문에 생긴 'CPD'(Cyclobutane Pyrimidine Dimer)라는 손상 구조를 잘라내는 복구 경로다.</p> <p contents-hash="86f9cedb44c64d87e37085a4fa83bb2833c991dcb401f58cf5c8cbf21557dbce" dmcf-pid="fEtYdCiB3S" dmcf-ptype="general">DNA는 약 30억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져 있어 손상 부위를 얼마나 빠르게 찾아내느냐가 복구 효율을 좌우한다.</p> <p contents-hash="2ae333a264e87f838799dd6b13e15babe756c4048b19c6e48e42b0cfc2ca5bb4" dmcf-pid="4DFGJhnbUl" dmcf-ptype="general">구조 변화를 감지하는 XPC 단백질을 가동해 손상 부위를 찾아내는데, CPD 손상은 비틀림이 크지 않아 XPC 단독으로는 인식이 어렵다. </p> <p contents-hash="2ef488e1b88d87aadbacaf6a6cd6c82ef1a43f13712c4c6faadc16ac1d5b18c8" dmcf-pid="8w3HilLK0h" dmcf-ptype="general">이때 손상 인식을 돕는 것이 UV-DDB라는 단백질이다.</p> <p contents-hash="87ab2c66bb5fcc6c4b91a198b0f47549461da1102d2056e70a18057829562115" dmcf-pid="6r0XnSo9FC" dmcf-ptype="general">기존에는 UV-DDB가 먼저 손상 부위에 결합한 뒤 이를 XPC에 넘겨주는 순차적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이해돼 왔다.</p> <p contents-hash="79bf3099e3175a03646edc0627a1e082b4e445f7c88d002f8ce79af2f7438660" dmcf-pid="PmpZLvg2pI" dmcf-ptype="general">이와 달리 이번 연구에서는 두 단백질이 복합체(UX-complex)를 형성해 공동으로 DNA를 탐색하고, XPC가 UV-DDB의 결합력과 탐색 효율을 향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p> <p contents-hash="af43d556971e86056e80c097f106cc9abb7eb564005c0e00db8e0d140b15b014" dmcf-pid="QsU5oTaVUO"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DNA 커튼이라는 단분자 이미징 실험을 통해 이 내용을 뒷받침했다.</p> <p contents-hash="31bd56a9738fe52e0c3617f238a13ad18aea76c4c6cd99c3ea9c2d36ff4c47f8" dmcf-pid="xdlr9NVZFs" dmcf-ptype="general">DNA 커튼은 유리 표면에 정렬한 DNA 가닥 위로 단백질 분자를 흘려보내 형광 현미경으로 움직임을 추적하는 방식이다.</p> <p contents-hash="54bc9b4ebd53fca761e5dd215606d23a9dd196e1ebe95499697e313563c0bf79" dmcf-pid="yH8bs0Iium" dmcf-ptype="general">실험에서 두 단백질이 복합체를 이룬 경우 UV-DDB는 DNA 가닥에 더 잘 달라붙고, 가닥을 미끄러지듯 따라 이동하며 손상 부위를 더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것으로 확인됐다.</p> <p contents-hash="a0585742975e66c22ad87beaf883023d6317b53642241f9bfe61754d6d710d25" dmcf-pid="WX6KOpCnzr" dmcf-ptype="general">이자일 교수는 "자외선 손상을 인식하는 두 단백질이 서로 협력해 더 빠르게 손상을 찾아내고 NER 과정을 촉진한다는 점을 밝혀냈다"며 "분자생물학 교과서에 실린 NER 작동 원리를 새로 써야 할 만큼 의미 있는 결과"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682e14cf470be1046679cedb883b09938ffb148cdaa97fe246a0a5426b568ff" dmcf-pid="YZP9IUhLFw"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노화뿐 아니라 색소건피증과 피부암 예방·치료 전략 마련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11ee8b3c8cf969b710344eb71fa987037404b33212c29019658699e3a256319d" dmcf-pid="G5Q2CuloUD" dmcf-ptype="general">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지난달 18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p> <p contents-hash="fab784f9abd9d18fa728788078cf762d80a84bfa2e61e208ef9257dfdfb01e0b" dmcf-pid="H1xVh7Sg7E" dmcf-ptype="general">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p> <p contents-hash="93bb3030303e444b383eed2e71793e300527f65857827c9b8c8ddb397c9fceae" dmcf-pid="XtMflzva3k" dmcf-ptype="general">yongtae@yna.co.kr</p> <p contents-hash="d8adbd697d87a03d92eb8f61493e42e0cab6fd1b1e1ce3c82b8ca5b767489085" dmcf-pid="53e8vByjFA"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KT, 울산에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세운다 07-03 다음 이재명 정부 한 달, '실용 인사'로 AI 100조 공약 닻 올렸다 [AI브리핑] 07-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