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울산에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세운다 작성일 07-03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 데이터센터는 돈 버는 AI 실현 위한 핵심 인프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S7ntQ3Ijs"> <p contents-hash="48dd04f0a81c727bb5d5715d615123588515b96d2c84f7e161424beb1b1ea30c" dmcf-pid="QvzLFx0Cam"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SK텔레콤이 울산에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세운다. 글로벌 클라우드 공룡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아시아태평양(APAC)까지 연결되는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본격 가동하는 셈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aaa08b4a1957c4897f340501795d756bbfdfe28ffc59db1d81b49550964fcc4" dmcf-pid="xTqo3MphA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WIS 2025에서 선보인 SK텔레콤 AI 데이터센터 전시 부스 이미지. [사진=SK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inews24/20250703173432743ikqa.jpg" data-org-width="580" dmcf-mid="8yE1gyNfg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inews24/20250703173432743ikq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WIS 2025에서 선보인 SK텔레콤 AI 데이터센터 전시 부스 이미지. [사진=SK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7abd485c1b050afee7136fb251fd6e3254f5aa0336c11c3d12c485fe1cb2858" dmcf-pid="yQDtaWj4Aw" dmcf-ptype="general">3일 하민용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AI DC 사업부장(부사장)은 SK텔레콤 뉴스룸에 올린 임원 칼럼을 통해 울산 AI DC 사업 계획을 소개했다. 하 부사장은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단순한 저장 공간을 넘어 AI 학습과 추론이 가능한 고성능 연산 인프라의 본보기"라며 "국내 어떤 사업자도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수준의 데이터센터"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4dbe8bb2a05230aac89d6d8ba67e265a1cbf01edf2e41ead1c97e4e6025f8b2" dmcf-pid="WxwFNYA8oD" dmcf-ptype="general">하 부사장에 따르면, 울산 AI DC는 고도화된 AI 연산을 뒷받침하기 위해 초고집적 랙 밀도와 수냉·공냉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 DCIM(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 기술 등을 접목한 차세대 인프라로 설계된다. 하이퍼스케일급 전력 공급은 울산 북신항 인근 SK멀티유틸리티 발전소를 통해 확보된다.</p> <p contents-hash="3b2cb27c9fda6fb6c17c7965a829262cd2306f23a74389fd4da509378952557d" dmcf-pid="YDZ6TbWANE" dmcf-ptype="general">부지는 울산 산업단지 내 SK케미칼이 소유한 대규모 부지를 SK브로드밴드가 인수해 확보했다. 민원 부담이 적고 확장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여기에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의 전국망과 부산 해저케이블을 활용한 글로벌 네트워크까지 더해져 국내외 연결성도 보장된다.</p> <p contents-hash="29a947bc93c60a580c3bdcbe61c8a7f410b4460f85e65211179975d363601f73" dmcf-pid="Gw5PyKYcak" dmcf-ptype="general">울산은 부산 국제해저케이블 육양국과 약 40km 거리다. 동북아 AI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지리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를 바탕으로 울산을 테스트베드 삼아 '가장 저렴하고 효율적인 AI DC 솔루션을 가장 빠르게 공급하는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p> <p contents-hash="ccbee1766ddb47e056291df309f90f03f2af5142e914b098e34d5e5c7f43c05d" dmcf-pid="Hr1QW9GkAc" dmcf-ptype="general">울산이라는 지역 특성도 긍정적이다. 제조업 기반의 도시인 만큼 스마트팩토리, 공정 자동화 등 AI 기반 제조 혁신을 실현하기에 최적지다. 하 부사장은 "AI 인프라와 제조산업의 융합을 통해 울산이 한국 산업 혁신의 전초기지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c8f101ccfb03151f3c4fe4a771614f51187626882d62ea66708d26cbef4eca0" dmcf-pid="XmtxY2HEoA"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울산 AI DC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서울 구로 등 전국적으로 300MW 이상의 AI DC 용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하 부사장은 "이 사업이 안정적으로 궤도에 오르면 데이터센터 사업만으로 연간 1조 원의 매출을 창출할 수 있다"며 "국내 No.1 AI 데이터센터 운영 사업자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다짐했다.</p> <p contents-hash="533df6074aeae902cc0a22d79215c27fc202f5e4a907996fb0d112d75b613fec" dmcf-pid="ZsFMGVXDjj" dmcf-ptype="general">울산 AI DC는 단순한 시설이 아닌 SK텔레콤의 AI 미래를 상징하는 구조물이 될 전망이다. 하 부사장은 "AI 데이터센터는 SK텔레콤이 돈 버는 AI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라며 "그룹사 역량을 결집해 국내 AI 인프라 시장을 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글로벌 시장에서 확실한 존재감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p> <address contents-hash="6b5d5068c78438d0edd48be80fb28c60109e3d57cbf4d22a946ebac21956e961" dmcf-pid="5O3RHfZwAN" dmcf-ptype="general">/안세준 기자<span>(nocount-jun@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유퀴즈’ 이효리 눈물과 함께 300회 금자탑, 유재석 조세호 “앞으로도 달릴 것” 07-03 다음 UNIST "자외선에 손상된 DNA, 두 단백질이 협력해 찾아낸다" 07-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