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새벽 4시에 대지진?...일본 공포에 빠지게 한 만화의 예언, 전문가 의견은 작성일 07-03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내가 본 미래’라는 일본 만화서 예언<br>도쿄~규슈 이어지는 난카이 해구 위험<br>“지진 에너지 축적...대지진 확률 80%”</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Gyy9NVZk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4a1dd7814572815e4bb515202fd21591df9d29d4298354f0df4876fce555c3c" dmcf-pid="pHWW2jf5g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난카이 트로프 대지진 발생 상황을 가정해 NHK가 제작한 CG 동영상. [NHK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mk/20250703180608571ghjh.jpg" data-org-width="700" dmcf-mid="FK00eIJqc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mk/20250703180608571ghj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난카이 트로프 대지진 발생 상황을 가정해 NHK가 제작한 CG 동영상. [NHK 캡처]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4e1a7723d67ae331db78bcab863c39726cffd083135742356c7a862902a1cb5" dmcf-pid="UXYYVA41Aa" dmcf-ptype="general"> “언제 대지진이 일어나도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게 5일이라는 근거는 없습니다.” </div> <p contents-hash="38d52af9c11df61358edbb4a645803ebe46912bcdee872af63be5ad783447cba" dmcf-pid="uZGGfc8tNg" dmcf-ptype="general">‘7월 5일 대지진설’에 일본 안팎이 들썩이고 있다. ‘내가 본 미래’라는 일본의 만화책에서 시작된 가설일 뿐인데, 일본 내부는 물론 해외여행객이 발길을 끊을 만큼 불안이 커지는 분위기다. 이 만화책은 5일 새벽 4시에 일본에 대지진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한다.</p> <p contents-hash="b37cc76756c8c10aaca938b9b7f8253d14469ce9b799e877a9f3403417d49116" dmcf-pid="7hOOUd7vko" dmcf-ptype="general">공교롭게도 지난달 말부터 일본에는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6월 22일부터 규모 1 이상의 지진이 900회 가까이 발생했고, 지난 2일에는 규모 5.5 지진이 규슈 인근 해역을 흔들었다. 대지진의 전조 아니냐는 불안한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p> <p contents-hash="bedae1d995822c0a3a7020e61e67f7a7b3c00b58fa9e5653e5bc43ba249bdd4a" dmcf-pid="zlIIuJzTAL" dmcf-ptype="general">정말 예언이 맞을까. 물론 만화가의 예언은 과학적 근거가 없지만 전문가들은 가까운 미래에 일본 대지진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p> <p contents-hash="d50d95e67f333536aac70db3c46e0f40719ea30fe055a9902befb0109a529192" dmcf-pid="qSCC7iqyNn" dmcf-ptype="general">문제가 되는 지역은 일본 난카이 해구다. 지진학자들은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할 확률이 80% 이상이라고 추정한다. 난카이 해구에는 도쿄 앞바다부터 규슈 앞바다까지 이어진 700㎞ 상당의 단층이 위치해 있다. 이곳에서는 필리핀판이 유라시아판으로 매년 5㎝씩 섭입(아래로 들어감)한다.</p> <p contents-hash="2009c2c4aa89977c5262c5ee3b06230b9145b7c807672071572d187a57449bca" dmcf-pid="BvhhznBWNi" dmcf-ptype="general">지진은 섭입 지역에서 마찰에 의해 단층이 쪼개지며 발생한다. 판은 탄성이 있기 때문에 섭입하며 약간 휘어지다가 어느 순간 펴지면서 에너지를 방출한다. 판이 이동하는 속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매년 일정한 양의 에너지가 땅속에 축적되는 것이다.</p> <div contents-hash="70282cb863fa581a486ee1c73834fa0a0d95c5b04e877a53cff6b67aafa766ed" dmcf-pid="bTllqLbYaJ" dmcf-ptype="general"> <div> <strong>지진 단기 예측할 근거 없다는 의견도</strong> </div>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9bc7d19a22dda70c3711e9af845032d913bd9ab263becae52fe13a35284cd3a" dmcf-pid="KySSBoKGa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mk/20250703180609854dhxk.jpg" data-org-width="700" dmcf-mid="3kllqLbYN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mk/20250703180609854dhxk.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4735f564525a3a25757bf77fdd200809f2ed18157bc74d96437b5d4ccc20097d" dmcf-pid="9Wvvbg9Hke" dmcf-ptype="general">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난카이 해구에 지진은 지금 당장이라도 일어날 수 있다. 오늘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건 운이 좋을 뿐”이라고 했다. 시기상으로 난카이 대지진이 일어날 때가 됐기 때문이다. </div> <p contents-hash="c21cf7558b7232a51cbe2825e758e83f6054da79d425f7d7f3a4fe4c2b587b8c" dmcf-pid="2YTTKa2XNR" dmcf-ptype="general">대지진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지진 에너지가 쌓이는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쌓인 에너지는 반드시 방출돼야만 한다. 대지진이 일어나지 않을 수는 없다”고 했다. 난카이의 경우 약 100년을 주기로 대지진이 발생하는데, 1946년에 한 번 일어났다. 주기로 보면 곧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다고 학계는 본다.</p> <p contents-hash="e1b03e4ae4e83fa367d62f6c2f218b11af3f01fd33142e6bf03796bac8e29719" dmcf-pid="VGyy9NVZgM" dmcf-ptype="general">에너지가 쌓이면 대지진은 반드시 일어나야 하며, 작은 여러 차례 지진으로 넘어갈 수는 없다. 지진 규모별로 발생 빈도가 일정하기 때문이다. 지진 규모가 하나씩 커질수록 빈도는 10분의 1로 줄어든다. 홍 교수는 “이 규칙은 모든 단층에 해당된다”며 “난카이 해구에 쌓인 에너지가 아직 한참 남았다”고 했다.</p> <p contents-hash="cebceca935c4b7ca4bee8a4518ce595a89d63923b6774ea9df642d30fe204103" dmcf-pid="fHWW2jf5cx" dmcf-ptype="general">700㎞에 달하는 난카이 해구에서도 특히 위험한 건 단층의 양 끝인 규슈 앞바다와 도쿄 앞바다다. 1946년 난카이 대지진이 난카이 해구 중앙부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양 끝에는 아직 에너지가 축적돼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대지진이 늦어질수록 지진은 더욱 강력해질 뿐”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4402af1e4422700071b7f65d85963e58315abbeb8cb2cf542edcac2d82e90087" dmcf-pid="4XYYVA41aQ" dmcf-ptype="general">최근 일본에서 연달아 일어난 지진은 대지진의 위험을 더욱 키운다. 작은 지진들이 판을 약하게 만들고, 그러면 더욱 쪼개지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abec8ef5b1798d1c97ed7539170033d420cd304271ec60ab559d155d332ba40c" dmcf-pid="8ZGGfc8taP" dmcf-ptype="general">다만 난카이 해구가 위험하기는 해도 조만간 대지진이 일어날 거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는 견해도 있다. 송석구 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오래전부터 난카이 해구는 위험 지역이었지만 그게 하필 지금 터질 거라고 볼 근거는 없다”고 했다. 실제로 30년 전에도 난카이 대지진 가능성이 거론된 바 있다.</p> <p contents-hash="d8c41a1277cf40f7487d43ddabc47a5c1bc9f2c8b99b80497f27995c389f25f1" dmcf-pid="65HH4k6FA6" dmcf-ptype="general">송 센터장은 “지진은 100년 정도 장기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뿐 단기적으로 예측하는 기술은 현재 없다”고 했다. 최근 일어나는 수백 번의 지진에 대해서도 “전진(대지진 전에 일어나는 작은 지진)인지는 사후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뿐 지금 예단할 근거는 부족하다”고 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팩플] 반려견 짖는 이유도 통역될까?…반려동물 속마음 읽는 AI의 진화 07-03 다음 홍성찬·김채리, 대한테니스협회장배 대회 남녀 단식 우승 07-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