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한미 관세 협상, 거세지는 디지털 통상 압박 작성일 07-03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美 하원 43명, 韓 플랫폼 규제 해결 촉구<br>디지털 비관세장벽, 협상 테이블 화두로<br>ITIF 회장 “韓, 협상에 선택적 양보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YgW7iqyt1"> <p contents-hash="66649335a0cf42798a07660ea47cc27af1472f1dea9abbe1ff6e056253e3320d" dmcf-pid="PGaYznBWt5" dmcf-ptype="general">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도출하면서 다가올 한미 관세 협상에도 시선이 쏠린다. 오는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미국 정치권과 정보기술(IT)업계를 중심으로 디지털 통상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플랫폼법 등 국내 디지털 규제가 비관세장벽(NTB)으로서 향후 협상의 주요 화두에 포함될 것으로 점쳐진다.<br><br> 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연방 하원의원 43명은 지난 1일(현지시간)자로 작성한 서한을 통해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미국 디지털 기업을 겨냥한 규제를 주요 쟁점으로 다룰 것을 트럼프 행정부에 촉구했다. 서한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에게 전달됐다.<br><br> 특히 이 서한에선 한국정부가 국내외 거대 플랫폼의 지위 남용이나 독과점에 따른 폐해 방지 목적으로 추진해온 플랫폼법을 문제 삼았다. 해당 규제는 문재인 정부부터 윤석열 정부까지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온플법), 플랫폼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 등으로 제정 논의가 이어졌으나 지난해 말에는 공정거래법을 개정하는 방향으로 선회된 바 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도 온라인플랫폼법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을 공약에 담았다.<br><br> 이에 미국의원들은 이번 서한에서 "유럽연합(EU)의 노골적으로 차별적인 디지털시장법(DMA)과 유사하다"면서 "중국 디지털 대기업들은 (규제대상에서) 제외하면서 미국기업들을 과도하게 겨냥해 중국공산당의 이익을 진전시킬 것"이라고도 주장했다.<br><br> 이날 미국 첨단기술 분야 대표적 씽크탱크인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이 '기로에 선 한미 통상: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 한국의 대응 전략은?'을 주제로 연 웨비나에서도 플랫폼법이 도마 위에 올랐다. 로버트 D. 앳킨슨 ITIF 회장은 "EU DMA 같은 규제는 해외 빅테크뿐 아니라 한국 플랫폼의 성장에도 해가 될 수 있다"며 "한국은 의미 있는 선물을 들고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할 것이다. 그러지 않으면 25% 관세가 현실이 될 것"이라 경고했다.<br><br> 앳킨슨 회장은 협상이 어그러질 시 "한국의 디스플레이 등 전자, 반도체, 자동차 분야 타격이 클 것"이라며 "선택적인 양보"를 권했다. 그는 "한국 입장에 서보자면 철강·자동차는 절대 양보하지 않는 대신 쌀·석유·가스를 더 사 주는 식으로 쉬운 승리를 안겨주겠다. 예컨대 대한항공이 향후 5년간 보잉 기종만 도입하겠다고 하면 에어버스 등 유럽서 불만이 있겠으나 실제 보복은 어려울 것"이라 설명했다.<br><br> 미국 측이 양보를 바라는 영역엔 디지털 분야가 핵심적으로 거론된다. 여기엔 플랫폼법 외에도 해묵은 망사용료 문제나 정밀지도 데이터 반출 금지,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등에 따른 해외 클라우드 이용 제한 및 AI기본법의 규제 내용 등도 포함된다. 국가 미래 성장동력과 관련된 사안들도 있어 우리정부의 판단과 대응이 더욱 중요해진 시점이다. 플랫폼법 제정의 경우 국정기획위원회가 최근 공정거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사실상 제동을 건 것으로 전해졌다.릴라 노라 키스 슘페터 경쟁정책 프로젝트 선임 정책연구원은 "규제는 주권국의 권리지만 한국이 말하는 공급망 자급자족은 현실적 목표가 아니며, 한국 디지털 경제의 기반은 미국 플랫폼·클라우드·네트워크와 긴밀히 얽혀있다. 한미 동맹은 안보뿐 아니라 첨단기술 협력의 핵심 축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DMA식 사전규제를 철회·재고하고, 현행 경쟁법을 근거·증거 기반으로 정밀 보완하는 동시에, 혁신 생태계 강화와 동맹 기술협력 심화로 주권을 확보하는 '개방형 주권' 전략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br><br> 팽동현 기자 dhp@dt.co.kr<br><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bd69248dea58ebe34c3ac7b05cfe9c0daaff83d3b1ad543b704c484dfa26651" dmcf-pid="QHNGqLbYY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ITIF가 3일(한국시간) 한미 관세 협상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진행한 웨비나 화면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3/dt/20250703193342633ajuf.jpg" data-org-width="640" dmcf-mid="8AYVLvg2Y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dt/20250703193342633aju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ITIF가 3일(한국시간) 한미 관세 협상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진행한 웨비나 화면 캡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6f4e4d2357f2a193954dbbf9da56c8c69309ef61a4f37f56b40aa523d866558" dmcf-pid="xXjHBoKGGX" dmcf-ptype="general"><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송해나, 20대 男에 납치 당할 뻔…"뛰어와서 내 입 막았다" 충격 07-03 다음 윤가이, 'SNL' 하차 득 됐다..한지민→서강준→이보영 '3연속 캐스팅' (메리킬즈피플' 07-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