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업계, 전용폰 시즌 도래…공짜폰도 등장? 작성일 07-04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SKT '와이드8' 이어 KT '점프4'로 이용자 유인<br>"수요 분명해 매출 기대…가입자 유치 사활" </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ZAV9wxpkW">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24db801ed8106694a0f8b0ddb7f68c6463d2c7bb140916b4dc70272d5b71c38" dmcf-pid="75cf2rMUj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시내 한 휴대폰 판매 대리점에서 가입 상담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BUSINESSWATCH/20250704063141730jjvu.jpg" data-org-width="960" dmcf-mid="4qXcjFsdk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BUSINESSWATCH/20250704063141730jjv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시내 한 휴대폰 판매 대리점에서 가입 상담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dd40e313ac45c1300820767706db0587af23ae80cb19721eab06fafefe47021" dmcf-pid="z1k4VmRujT" dmcf-ptype="general">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전용 스마트폰을 다시 선보이며 경쟁에 돌입했다. 삼성전자 갤럭시 이름표를 단 중저가 보급형 폰을 내세워 가성비를 따지는 수요를 충족시키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최근 점유율 확대 경쟁이 가열된 상황에서 이통사들은 전용폰으로 가입자 유치를 노리고 있다. </p> <p contents-hash="33ecb8d305c2562ebb517c23cf312e81d1d2006ddd1a3bdf1a0910ff048343f3" dmcf-pid="qtE8fse7Av" dmcf-ptype="general">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전용폰인 '갤럭시 점프4'를 지난달 24일 출시했다. 점프4는 KT가 2021년 처음 출시한 전용 5G(5세대 이동통신) 스마트폰 시리즈인 '갤럭시 점프'의 네 번째 버전으로 2023년 11월 '점프3' 이후 1년8개월여 만이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a7cad7ee3f1f417704b4f246c8b68b59da606db954c061062dd393b51e4757e" dmcf-pid="BFD64Odzk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T의 '갤럭시 점프4'/사진=K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BUSINESSWATCH/20250704063143053lndq.jpg" data-org-width="412" dmcf-mid="p5nzuNVZa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BUSINESSWATCH/20250704063143053lnd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T의 '갤럭시 점프4'/사진=K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d1f03e5d6d28233ac62dacfb0fa8b9279c0860fe5295c82ba94030f92e6e3b1" dmcf-pid="b3wP8IJqkl" dmcf-ptype="general">갤럭시 M36 5G 모델로 6.7인치 디스플레이에 1300만화소 전면카메라, 후면에는 1200만화소 광각, 800만화소 초광각, 200만화소 접사카메라까지 총 3개를 탑재했다. 또 128GB 저장용량, 6GB 램, 5000mAh 대용량 배터리를 지원한다. 스마트폰 두뇌로 불리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삼성전자 엑시노스 1380이다. 출고가는 44만9900원이다. </p> <p contents-hash="d5d25754ece72fb203cdd2ec565ff5980a45b084d4c4cc3d8c7c7346a370da50" dmcf-pid="KyLq7jf5kh"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한발 앞서 움직였다. 갤럭시 M16을 기반으로 한 '갤럭시 와이드8'을 KT보다 일주일 빨리 출시했다. 점프4와 마찬가지로 6.7인치 디스플레이에 1300만화소 전면카메라를 달았다. 후면에는 5000만화소 광각을 비롯해 500만화소 초광각, 200만화소 접사카메라를 장착했다. 저장용량은 128GB, 램은 6GB다. 5000mAh 대용량 배터리를 지원하고 AP는 엑시노스 1330이다. 출고가 37만4000원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f44de181badd459edc31c1b3d9bed73bdee3243cf7b8708fc1621a1c01ab07a" dmcf-pid="9WoBzA41a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K텔레콤의 '갤럭시 와이드8'/사진=SK텔레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04/BUSINESSWATCH/20250704063144357cmii.png" data-org-width="590" dmcf-mid="UNygLXEQN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4/BUSINESSWATCH/20250704063144357cmii.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K텔레콤의 '갤럭시 와이드8'/사진=SK텔레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6bcdad67da2a9980a9d72a98819a1aeefa0e39e4174613b8cc41bce779f48bd" dmcf-pid="2Ygbqc8taI" dmcf-ptype="general">갤럭시 와이드 시리즈도 SK텔레콤이 2016년부터 보급형으로 매년 출시해 온 전용폰이다. 지난해 6월 선보인 '갤럭시 와이드7(갤럭시M15)'부터 갤럭시M 모델이 공급됐다. SK텔레콤의 또 다른 전용폰인 '갤럭시 퀀텀' 역시 연내 출시가 점쳐진다. 갤럭시 A56 모델로 양자 기술 기반 보안 기능을 담을 것으로 알려져 기대를 모은다. </p> <p contents-hash="041ec8bbd882caa24d67acf153d0dbac8a7a102f9e5dbe969aa25ea841339ae4" dmcf-pid="VGaKBk6FAO"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의 경우 두 통신사에 앞서 지난 5월 전용폰 '갤럭시 버디4'를 선보인 바 있다. 2021년 6월 처음 출시한 전용 5G 스마트폰 시리즈 '버디'의 네 번째 버전이다. 버디4도 출고가가 39만9300원인 실속형 스마트폰이다. 갤럭시 A16 모델로 디스플레이와 저장공간, 램, 전면카메라, 배터리 사양이 KT의 점프4, SK텔레콤의 와이드8과 같다. AP는 엑시노스 1380이다.</p> <p contents-hash="cba16a21b091e465fa271bc9a6eb9e2ec0412dfe134ed0da3e2d638eaa270615" dmcf-pid="fHN9bEP3os" dmcf-ptype="general">전용폰 시장은 가성비를 따지는 이용자들 덕분에 수요가 꾸준한 편이었다. 특히 올해 여름에는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유심해킹 여파로 가입자 이탈이 많았던 SK텔레콤이 점유율 회복을 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오는 22일 단통법 폐지로 지원금 상한이 없어지고 보조금 책정이 자유로워지면 '공짜 전용폰'이 나올 가능성도 점쳐진다. </p> <p contents-hash="95519d1205bfe72a7dfa74e547eed9107e1e71d38c352d90a3365e90e70f596e" dmcf-pid="4Xj2KDQ0km" dmcf-ptype="general">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사들이 최근 알려진 것보다 가입자 유치에 더 사활을 걸고 있다"며 "중저가 전용폰은 수요층이 분명해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2a5dd71f64b5d490d966a8c7d3b8d498a418571ed234df7926bac7a70fdea616" dmcf-pid="8ZAV9wxpar" dmcf-ptype="general">한수연 (papyrus@bizwatch.co.kr)</p> <p contents-hash="dc6a48e8b7ce5d19f0aaa0fc48a5809cb62985df086f07c29f6ccbb8999db9df" dmcf-pid="65cf2rMUAw" dmcf-ptype="general">ⓒ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상민 행복해져야 돼" 이혜영, 전남편 재혼에 진심 어린 축하 07-04 다음 아시아 e스포츠연맹 사무총장에 김태형 선임 07-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